상업적으로 쓰기규정의 기준을 어디다 두는건지요? > 이십년전오늘

이십년전오늘

20년전의 흑역사를 꺼내보자 ㅋ

상업적으로 쓰기규정의 기준을 어디다 두는건지요? 정보

기타 상업적으로 쓰기규정의 기준을 어디다 두는건지요?

본문

스킨제작자님들의 스킨사용을 하는데 있어서
상업적으로 쓸때는 허락을 맡아야 한다고 합니다.

상업적이라는 기준이 이런건지요?

첫째: 돈버는 사이트
둘째: 광고가 나가는 사이트
세번째: 접속자가 많은사이트 (이부분이 애매모호합니다.)

비상업적
첫째: 사이트로 돈버는게 전혀없음
둘째: 광고가 없음
셋째; 접속자는 많지만 돈벌이하고는 무관함 (예= 종교적사이트 )

위에서 내가 정리한게 맞는지요.
맞다면 스킨제작자님한테 승락을 받을건 받고.
그냥 쓸수 있으면 승락안받고 그냥 쓸려고 합니다.

또 질문합니다.
상업적 사이트가 두 세개(여러개)라면 사이트수대로 승락을 두 세번(여러번) 다 받아야 하는지요?

넘 원초적인 상식인데
질문하는건 분명히 하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4-09-04 15:02:57 포럼(으)로 부터 이동됨]
  • 복사

댓글 전체

허접하지만.... 제 스킨은 그누와  같은 라이센스 ㅡ.ㅡ

돈주고 팔지만 않는다면 그 어디에 쓰던 ok...

ps. 전 홈피 자체도 gpl?  이죠... 어렵게 쓴 강좌글이고 뭐고.... 상업적 이용이 아닌이상 완전 open
상업용으로쓸때는 허락을 맡아라는말은곧 이말이겠죠.
돈을버는데에 이스킨이 필요로하는가 필요로하지 않는가에 따라 상용인지 아닌지가 결정이 되는것이라 생각이됩니다..

A라는 회사에서 물품을 신청받는데 쓴다면 이건 상업적이고
B라는 회사에서 무료회원가입이며 돈이되는홈페이지가 아니며 100% 배너나 광고글로 돈을버는데에 쓴다면..
이건 비상업적이겠죠..

아마도.. 맞을겁니다 제생각이
전 주로 꽃사진을 자주 찍어러 다닙니다~~~^^
예전에는 필카로 하지만 지금은 디카로~~~
필카로 찍을때는 필름값이랑 인화비랑 스캔까정 장난이 아니었더랬습니다~~~
그리고 사진 찍으러 다니는 경비까지~~~
그리고 과연 이사진들이 돈이 될까 하는생각도 하여 보았구요~~~
지금도 마찬 가지 입니다~~
사진을 찍으서 인터넷에 올리고,,,
누군가 사진이 필요하다고 하면 그냥 가져다 쓰라고 합니다...
사진을 찍는것은 내가 좋아서 찍은것이고,, 그사진을 좋아서 가져다 쓴다는데 고마울뿐이지요...
그리고 만일 돈을 받는다면 얼마를 받아야 할지도 모르겠구요~~^^;;
그런데 요즈음 저작권이라는게 일상생활에 자주, 아니 제가 몸소 겪다보니 가끔은 이런생각도 듭니다...
차라리 사진 하나 하나를 좋아서 가져가는 사람은 두고,,,
내사진으로 상업적으로 쓰고자 하는사람,,
예를 든다면 내사진으로 달력을 만든다든지,,, 아니면 카다록을 맹근다든지. 또는 엽서를 만든다든지..
그렇지 않으면 내사진을 전부 다운 받아 자기가 찍은 것인양 하는 사람은 돈을 받구 싶고요~~
그렇지 않고 단지 꽃사진이 이쁘서, 그리고 내가 만든 사진들이 좋아서 게시판에 글남기고 가져가는 것들은
오히려 제가 고마울 따름이지요~~~~저를 아니 제 사진을 높게 평가 해주는 것이니깐요~~~^^;;
어쩌면 생각의 차이 일듯 합니다...
저역시 사진을 찍어러 다니자면 무지 많은 경비를 지출합니다...
산속을 헤메어 다니면서, 온몸엔 생채기가 나기도 하구요~~~
풀섶이든 어디든 가리지 않구 야생화를 찍어러 다닙니다..
본전 생각이 않나는것은 아니지만~~~~~^^;;
그래서 방법을 생각 했지요~~~^^ 내 홈에 들러서 회원으로 가입하고 하나 하나 다운 받아 가는것은
별 상관이 없겠다 하구요~~~,, 일단 회원 가입으로서 사용자의 의무는 했다고 생각 하면 나도 편하고, 가져 가는 사람도 편하고,,,좀더 덧붙이자면 포인트 만큼 가져 가게금 하는것을 생각 중인데요~~~^^
내홈에 와서 회원가입하구 홈에서 활동도 하면 포인트가 늘어나구,,, 그러면 그만큼 자료들을 가져 가구~~~
어찌보면, 무료지만 어찌보면 그사람은 그만큼 수고를 한다고 생각 하기에....
위의 내용들과 별 상관이 없는지도 모르지만,
갑자기 생각이 들어 글올리게 되었습니다~~~..
결론은 스킨역시 상업적인 스킨과 단지 사용해줘서 고마운스킨이 있다고 생각 합니다...
지금 같이 그누 보드는 무료이고, 그샵은 돈을 받고...
마찬가지라고 생각 합니다...
상업적으로 꼭 쓰야만 하는 스킨은 돈을 받고 판매하고....
상업적인것의 예를 들자면... 그샵에 필요한 템플릿 형태의 스킨,,, 또는 폼메일 카다록 작성 관련 스킨...
등등~~~
그리고 비상업적인 스킨은
일반적인 그누 게시판 ,또는 로그인 게시판  이런것들 까지 돈을 받고 또는 저작권을 강조 한다면
조금은 우습지 않을 까요~~~?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겉도는 꽃집남자 였습니다~~~^^;;
제 생각으론 상업적 사이트라함은 좁은 의미론 물건을 매매하는 사이트로 볼 수 있겠구여, 조금 넓은 의미로 보자면 일반 사이트이긴 하지만 상업적 광고로 이익을 얻고자 하는 사이트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일반 개인사이트의 경우에도 조금 차등을 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재단법인의 경우 영리를 목적으로 하진 않지만 필요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얼마의 수수료를 받는 것이 허용되듯 광고를 한다고 모두 상업사이트로 볼건 아니구 사이트의 회원수/방문자수 등에 따라 개인사이트도 차별화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입니다.

그누보드가 무료로 배포되긴 하지만 스킨은 얼마든지 상업적으로 활용되어도 된다는 입장입니다.
GNU를 따르는 그누보드의 정신에도 어긋나지 않구요. 이렇게 해두 그누보드 제작자님께도 손해는 없을 거구 반대하는 입장은 아닐거라 생각되는 군요.

제 생각엔 그누보드를 엔진으로한 스킨 무료/유료사이트가 생겨도 그누보드정책에 어긋나는 건 아니라 보구요, 이런 사이트들이 몇개는 자체적으로 커나가는것이 좋을 듯 싶군요. 물론 그누보드와 함께 말이죠.

그리고 끝으로 그누보드를 사랑하고 발전을 기대한다면 그누보드의 좋은 점만 지나치게 칭찬하는 것도 보기에 그렇습니다.  그누보드 엔진 좋습니다. 그누보드 기본스킨 아직 그냥 가져다 쓰기 그렇습니다.
좋은 스킨을 많이 나와야 합니다.

제가 건방져 그런진 모르지만 아직 그누보드 스킨 가져다 쓸만할게 없습니다. 죄송합니다.ㅠㅠ 개인차를 인정해 주세요 ^^

전에 TT보드를 흉내내 올린적이 있었는데 호응이 없더군요. 아, 참고로 저는 주는게 인색해 이틀째 호응이 오지 않으면 바로 삭제했습니다. 나름대론 졸라 고생했는데...-,.-;;;

제가 보기엔 스킨에 관한 문제는 그누보드의 여러 무료스킨을 중심으로 하데 외국 처럼 유료스킨 이미지도 준비해 한정판매하는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가뜩이나 얼어있는판에...

사실 광고가 문제지 좋은/독창적인 스킨들이 등장한다면 판매엔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하고 있습돠.

그렇다면 그누보드를 어떻게 하든 활성화 시켜야 하는데 그걸 사실 의논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싶군요.
댓글 다신분들과 비슷한 생각이지만..
상업적인 것에 대한 명시가 애매한 부분도 있습니다.

상업적인 용도는 두가지 정도로 생각이 듭니다.
첫째...........
Mong님 말씀처럼
첫째: 돈버는 사이트
둘째: 광고가 나가는 사이트
세번째: 접속자가 많은사이트 (이부분이 애매모호합니다.)
이러한 의미의 상업적이라함은 상업적인 사이트에서 스킨을 이용했을 때입니다.
즉 스킨에 대한 디자인과, 스킨의 기능 등을 상업적인 싸이트 안에 포함합니다.
그러나 상업적인 수익은 다른 곳에서 창출될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신발 쇼핑몰에서 ㅇㅇ님의 스킨을 이용하였다면 신발에서 상업적인 수익이 창출 된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
스킨 자체를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여, 스킨이 수익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스킨 자체가 하나의 지적 상품이되며, 이러한 용도로 쓰기 위해 약간의 수정에 의해 사용할 가능성이 많을 듯 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업적인 용도로 스킨 사용을 한다는 의미는 후자(두번째)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아니 후자에 가깝도록 생각하고 싶습니다.
그누보드가 저작권 표시가 없고, 쇼핑몰과 연동된다는 것은 상당히 큰 메리트가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그누보드 자체가 상업적인 싸이트에 주된 기능을 담당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싸이트가 상업적이라고 해서 모든 소스가 상업적이라는 의미로 여긴다는 것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다가옵니다.

대부분의 무료 소스들이 수정, 재배포에 대한 규정만 명시 되어 있는 경우 많은 것 같은데 이러한 경우는 두번째의 의미를 함축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첫번째의 경우도 무시할 수 없는 경우이고....
관리자님께서 한번 명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블로그 공개버전의 경우 상업적 이용시 반드시 허락을 맡도록 할 예정입니다.
적어도 지속적인 버전업까지 생각하고 있는것이므로 상업적이용은 마땅히 저의 허락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마치면 공개버전 내놓을겁니다.^^
아마 제가 상업적 사용일 경우 허락을 받으라고 명시한 아마 첫번째 놈일겁니다. 오늘 보니 스킨 맨 위에 상업적인 용도일 경우는 제작자의 허락을 받으라고 관리자님께서 명시해놓으셨더군요. 그렇다면 저를 포함한 3분 이외의 모든 스킨 제작자 분들이 포함된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어쨌든, 저같은 경우는 제가 공짜로 풀어놓은거지만.. 누군가 이걸 이용해서 돈을 번다면- 저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하든지 하지 않든지, 저의 허락을 받지 않으면 안된다는 입장일 뿐입니다. 저작권에 대한 환기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어차피 그누보드 자체가 공짜인 마당에- 몸체가 공짜인데 옷을 돈받는다는것도 좀 찜찜하기도 하구요.
제일간단한건 .. 제작님한데 상세한 설명을 깃들인 문서를 보내고 허락을 맡으면 간단합니다만.
내가 생각하는 비상업적기준일때는 굳이 허락을 맡을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어떤땐 귀찮아서
어떤때 잊어버리고..

현재. 그누에서 상업적 허락을 맡아야 할 스킨제작자님은 세분입니다. (2.대 버젼과 3.대버젼 합해서)
일일이 물론 내가 상업적으로 하는건 뚜렷할경우에는 당연히 맡아야 합니다.
허나 기준이 애매모호한게 있어요..

그래서 허락을 맡아야 할지.. 아니면 그냥 써야될지

나스카님은 공무원이라 세심한 부분까지 지적을 해주셧군요.
미처몰랏던 사실입니다.

요즘은 저작권이 넘 엄해서.. 사실 두렵기도 합니다.
제작자라는 개념과도 전혀 어울리지(^^) 않지만 한 말씀 드리죠.

>>> 또 질문합니다.
>>> 사이트가 두 세개(여러개)라면 사이트수대로 승락을 두 세번(여러번) 다 받아야 하는지요?

까다로운 소스저작권자라면,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해당 사이트 마다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물론, 저작권에서 명시하는 부분도 그러하구요.
그렇지만, 대부분은 비슷한 업종(?)의 성격을 지닌 사이트의 경우에는 사전에 저작권자와의 합의(협의)하에 추가될 내용에 관해서도 언급합니다.

[[[예]]]
[사용자]; 만약 내가 운동화 판매 사이트에서 당신네 저작물의 사용권을 얻어서 사용하다가 비슷한 부류의 등산화 전문 판매 사이트를 운영하게 될때에도 현재 체결하는 사용권으로도 제약없이 당신의 저작물을 사용해도 되겠습니까?

[저작권자]; 만약 당신이 사용하려는 판매 업종이 [신발]이라는 부분에서만 사용한다는 한계를 이행 할 수 있다면, 충분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yes, no에 따라서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
만약 yes일 경우에는 저작권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추가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고, 승인 및 허락한 사이트 갯수만큼만 원래 계약시 지불하는 비용만큼 주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 말고도, 같은 상호(사용자)를 유지하는 사이트에 대해서 -몇개가 되던 상관없이- 저작권자 승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물론, 계약당시 추후 추가비용에 관한 부분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