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설정 페이지로 된 사이트 서브페이지 기억 설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정보
프레임설정 페이지로 된 사이트 서브페이지 기억 설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본문
우선 프레임을 나누었습니다.
<frameset border="0">
<frame src="./gnu/" name="main" marginheight="0">
</frameset>
이렇게 나눈후 서브페이지를 접속하면 주소가 변하지 않고
항상 초기 접속한 주소만 나오잖아요.
예로 접속 도메인 은 http://www.test.net
서브페이지의 게시판 글을 읽을 경우의 상단에 표시되어져 있는 주소는 항상
http://www.test.net
으로 유지 하지요.
리프레쉬후에 그냥 무조건 메인페이지로 넘어 가다가 서버업그레이드[페도라3]한후에는 홈페이지의 별다른 설정없이도 서브페이지에서 리프레쉬 해도 현제페이지를 유지하더라구요.
이것은 php설정이나 버젼에 관계 되어 있는것 같은데 예전버젼은 예전버젼이라함은 php4.0.8 이하를 의미합니다.
제가 너무 색깔리게 말씀드리네요...^^;
이부분은 프로그램관 전혀 상관이 없고 php버젼이나 php.ini설정에 관계 된것 같은데 원인이 무엇인지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이전질문답변에
<?
$LastModified = gmdate("D d M Y H:i:s", filemtime($HTTP_SERVER_VARS[SCRIPT_FILENAME]));
header("Last-Modified: $LastModified GMT");
header("ETag: \"$LastModified\"");
?>
이런방법을 제외한 방법을 강구 하고 있습니다.
서버 자체의 세팅값이 틀려진것 같은데 ... ^^
하루는 주말에 노가다로 이전전의 php.ini와 이전후 php4.0.11의 php.ini를 노가다로 비교해보아도 못찾겠더라구요.
그래서 결론은 버젼의 차이구나라고 그냥 미루고 있었는데..
역시나 이런문제가 날 울리게 하는군요..@,.@
정안되면 주소를 푸는수밖에 없단 말인가요..ㅠ,.ㅜ
<frameset border="0">
<frame src="./gnu/" name="main" marginheight="0">
</frameset>
이렇게 나눈후 서브페이지를 접속하면 주소가 변하지 않고
항상 초기 접속한 주소만 나오잖아요.
예로 접속 도메인 은 http://www.test.net
서브페이지의 게시판 글을 읽을 경우의 상단에 표시되어져 있는 주소는 항상
http://www.test.net
으로 유지 하지요.
리프레쉬후에 그냥 무조건 메인페이지로 넘어 가다가 서버업그레이드[페도라3]한후에는 홈페이지의 별다른 설정없이도 서브페이지에서 리프레쉬 해도 현제페이지를 유지하더라구요.
이것은 php설정이나 버젼에 관계 되어 있는것 같은데 예전버젼은 예전버젼이라함은 php4.0.8 이하를 의미합니다.
제가 너무 색깔리게 말씀드리네요...^^;
이부분은 프로그램관 전혀 상관이 없고 php버젼이나 php.ini설정에 관계 된것 같은데 원인이 무엇인지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이전질문답변에
<?
$LastModified = gmdate("D d M Y H:i:s", filemtime($HTTP_SERVER_VARS[SCRIPT_FILENAME]));
header("Last-Modified: $LastModified GMT");
header("ETag: \"$LastModified\"");
?>
이런방법을 제외한 방법을 강구 하고 있습니다.
서버 자체의 세팅값이 틀려진것 같은데 ... ^^
하루는 주말에 노가다로 이전전의 php.ini와 이전후 php4.0.11의 php.ini를 노가다로 비교해보아도 못찾겠더라구요.
그래서 결론은 버젼의 차이구나라고 그냥 미루고 있었는데..
역시나 이런문제가 날 울리게 하는군요..@,.@
정안되면 주소를 푸는수밖에 없단 말인가요..ㅠ,.ㅜ
댓글 전체
주소줄에 주소 몇글자 감춘다고 모르는것도 아니고, 실제 주소파악하면 다 나오는데 굳이 꼭 그렇게 감춰야 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음 그런 논리라면 의미없는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하실수 있나요?
그냥 하고 싶어서 그렇게는 왜 안될까? 이렇게 하고 싶은데...
라는 욕구 아닐까 합니다.
sjsjin님도 그런 욕구를 안가지고 있으신가요?
그냥 성취욕이죠. ^^;;
머 안되는거 그렇게 꼭 하실려는 이유를 이해를 못하시겠다는 말뜻으로 보여서 기분이 약간 상하네요..^^*
다시 질문의 요지를 말씀드리면 이렇게 안되는구나 라고 포기 했는데 환경의 변화로 아 이렇게 해도 되는구나 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과연 그런 차이점이 어디서 나왔을까하는 그런 의문에서의 질문 사항입니다. 아직 초보자입니다. 서버와 프로그램쪽에 관심이 많아서 두개의 관련되 사항에 대해서 민감하게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은 학구열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 물론 제가 생각해도 별로 쓸모없는 것이지만.. 그래도 머리에서는 통제가 안되구 왜그럴까라는 의구심이 자꾸 드네요. 지금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때 나도모르게 클릭해서 찾고 다닙니다. 물론 원점으로 돌아와 직장업무로 다시 돌아오지만.. 하하..
무튼 좋은 하루되세요.
그냥 하고 싶어서 그렇게는 왜 안될까? 이렇게 하고 싶은데...
라는 욕구 아닐까 합니다.
sjsjin님도 그런 욕구를 안가지고 있으신가요?
그냥 성취욕이죠. ^^;;
머 안되는거 그렇게 꼭 하실려는 이유를 이해를 못하시겠다는 말뜻으로 보여서 기분이 약간 상하네요..^^*
다시 질문의 요지를 말씀드리면 이렇게 안되는구나 라고 포기 했는데 환경의 변화로 아 이렇게 해도 되는구나 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과연 그런 차이점이 어디서 나왔을까하는 그런 의문에서의 질문 사항입니다. 아직 초보자입니다. 서버와 프로그램쪽에 관심이 많아서 두개의 관련되 사항에 대해서 민감하게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은 학구열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 물론 제가 생각해도 별로 쓸모없는 것이지만.. 그래도 머리에서는 통제가 안되구 왜그럴까라는 의구심이 자꾸 드네요. 지금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때 나도모르게 클릭해서 찾고 다닙니다. 물론 원점으로 돌아와 직장업무로 다시 돌아오지만.. 하하..
무튼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