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e Term 텔넷 써보신분... 정보
Pine Term 텔넷 써보신분...본문
워츠케해야 텔넷 접속이 되는건지...
알려주세요~~~~
댓글 전체
잘... 접속하시면 됩니다.
텔넷 접속하는 방법은 아시겠지요?
단지 pine term 사용법을 모르시는 것이라 여겨도 억측은 아니겠지요?
telnet 포트 : 23
ssh : 22
이던가요?! 헷갈리는군요...
대충 접속될때까지 포트 지정하면 되겠지만...
pine term자체에서 telnet서버에 관한 포트지정은
자동으로 지원합니다.
address : 접속주소 ( 예 : sir.co.kr )
account : 접속계정 ( 예 : sepin )
password : 비밀번호 (자동연결 스크립트에는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는 센스)
텔넷 접속하는 방법은 아시겠지요?
단지 pine term 사용법을 모르시는 것이라 여겨도 억측은 아니겠지요?
telnet 포트 : 23
ssh : 22
이던가요?! 헷갈리는군요...
대충 접속될때까지 포트 지정하면 되겠지만...
pine term자체에서 telnet서버에 관한 포트지정은
자동으로 지원합니다.
address : 접속주소 ( 예 : sir.co.kr )
account : 접속계정 ( 예 : sepin )
password : 비밀번호 (자동연결 스크립트에는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는 센스)
감사합니다...ㅎㅎㅎ
그런데 안되는군요 ㅜ.ㅜ
그런데 안되는군요 ㅜ.ㅜ
접속 주소 정보는 어찌 됐당가요?
포트는 열려있나요?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편적인 질답의 반복은,
질문자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답변자야 질문(자)의 구체적인 실마리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어디까지나 추측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지요.
포트는 열려있나요?
꼬리에 꼬리를 무는 단편적인 질답의 반복은,
질문자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답변자야 질문(자)의 구체적인 실마리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어디까지나 추측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스크린 샷이라도 한 방.....
간편하고 SSH 지원하는걸 원하시면
zterm을 추천합니다 ㅋ
http://www.brainz.co.kr/brainz_2005/products/products_ztools_02.php
zterm을 추천합니다 ㅋ
http://www.brainz.co.kr/brainz_2005/products/products_ztools_02.php
저도 pineterm보단 zterm을 추천합니다.
상용도 사용가능하시다면 Secure CRT라는것도 있습니다
http://www.vandyke.com/download/securecrt/index.html
상용도 사용가능하시다면 Secure CRT라는것도 있습니다
http://www.vandyke.com/download/securecrt/index.html
http://www.pinesoft.co.kr/
그 많던 pineterm 사용설명서는 자취를 감추고,
그 많던 스크린샷은 어디로 사라졌으며,
작년까지만 해도 상당량이 검색되던 자료는 어디로 갔으려나!!!
그 많던 pineterm 사용설명서는 자취를 감추고,
그 많던 스크린샷은 어디로 사라졌으며,
작년까지만 해도 상당량이 검색되던 자료는 어디로 갔으려나!!!
참조...
작고 간편한 것에 비해 강력한 기능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zterm을 막아 놓은 서버들이 몇몇 되는 것 같습니다.
작고 간편한 것에 비해 강력한 기능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zterm을 막아 놓은 서버들이 몇몇 되는 것 같습니다.
헐... zterm을 막는다구요?
어떻게 막는지 궁금하군요..
아직 zterm으로 막힌곳은 들어가보질 못해서...
거의 Secure CRT로 작업을 합니다만.. 보조로 zterm도 사용합니다 ^
어떻게 막는지 궁금하군요..
아직 zterm으로 막힌곳은 들어가보질 못해서...
거의 Secure CRT로 작업을 합니다만.. 보조로 zterm도 사용합니다 ^
out of memory라는 프로그램 자체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시키고
종료시키는 서버가 있는 반면(대부분의 경우),
터미널창만 보이는 상태에서 접속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출력시켜주는 서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터미널 접속 프로그램처럼...)
제 경우는 out of memory라는 상태가 출력되어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군요.
경고메시지는 출력하지 않으나 서버측에서 zterm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접속과 동시에 조용히(?!)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차단 방법도 겪는 중입니다.
종료시키는 서버가 있는 반면(대부분의 경우),
터미널창만 보이는 상태에서 접속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출력시켜주는 서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터미널 접속 프로그램처럼...)
제 경우는 out of memory라는 상태가 출력되어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군요.
경고메시지는 출력하지 않으나 서버측에서 zterm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접속과 동시에 조용히(?!)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차단 방법도 겪는 중입니다.
out of memory는 로컬 시스템을 체크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체크해보니 zterm 하나당 5M 정도의 메모리를 잡는것 같습니다.
체크해보니 zterm 하나당 5M 정도의 메모리를 잡는것 같습니다.
http://bbs.kldp.org/viewtopic.php?t=58925
또 한가지 제가 잊은 부분을 체크해 준 것 같습니다.
ssh1을 지원하지 않는 서버인 경우...
못 들어갑니다.
또 한가지 제가 잊은 부분을 체크해 준 것 같습니다.
ssh1을 지원하지 않는 서버인 경우...
못 들어갑니다.
요즘엔 거의 putty만 사용하게 됩니다.
한/영 전환시의 버그가 있긴 하지만,
역시나 손에 익으니 상당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telnet(만) 지원되는 서버는 pineterm 사용.
한/영 전환시의 버그가 있긴 하지만,
역시나 손에 익으니 상당히 괜찮은 것 같습니다.
telnet(만) 지원되는 서버는 pineterm 사용.
감사드립니다..성의껏 열심히 배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