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d선언 방법.. > 그누4 팁자료실

그누4 팁자료실

그누보드4와 관련된 팁을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하세요.
나누면 즐거움이 커집니다.

dtd선언 방법.. 정보

dtd선언 방법..

본문

1.<!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가장 범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선언 형식입니다.
언어 규격을 XHTML 1.0을 따르며 문법 형식을 Transitional 형식으로 작성 했다는
뜻입니다.  XHTML 1.0 의 경우 현재 최신 HTML 권고 표준인 HTML 4.01 의 형식을 포함 하고 있습니다.
 
2.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이경우는 XHTML 형식의 페이지 작성은 하지 않는 경우에 언어 규격을 HTML 4.01 형식을 따르겠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문법 형식에 대해서 loose.dtd를 참조 했습니다.  (아마 Transitional 보다 더 덜엄격한 문법 형식 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3.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이경우에는 문법 형식에 대해서 생략되었지만 작성 문법 참조 경로에 보면 strict로
되어 있습니다.  말 그대로 STRICT 형식의 문법을 사용한것으로 간주 하고 페이지를 렌더링 하겠지요.
(근데 브라우저 마다 틀릴수도 있습니다 -..-)
 
4.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웹 표준 선언에 위배는 아닌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번의 경우와 유사한 선언 입니다.

돌아다니다 보이길래 한번 올려봅니다..
추천
1
  • 복사

댓글 1개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