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포워딩 , 외부접속관련하여 질문드려요..
본문
제가 현재 해외 거주하며
현지인터넷을 사용중에 있는데요..
한국과는 조금 다르고 구글링을 해봐도 잘나오지 않아 ㅠㅠ
여기에 질문드려요 ~!
아래 사진의 경우에는
Virtual Server Settings
란에 있는 목록이구요..
포트포워딩하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해서요..
ip타임이라면 구글링해서 금방할수있을거 같은데
죄다 영어라..혹시나 잘못하면 문제가 생길꺼같아 이렇게 질문드려요 ㅠㅠ
순번대로 어떻게 넣는지 팁이라도 부탁드릴게요~~
답변 1
Enable 은 말그대로 사용할건지 말건지 결정하는 거구요
Description 단순히 설명이구요
포트 포워딩인에 Remote IP가 있는걸로 봐선 이부분은 특정 IP만 접속시키기위한 용도가 아닐까(추측!!)싶구요.
따라서 모든 IP가 다 접속되게 하기 위해서는 Remote IP와 Network Mask는 공란으로 두면 되지 않을까(역시 추측!!!) 싶구요.
External Port는 인바운드 트래픽에 대해서 리스닝을 포트를 정의하는거니까 웹서비스 하시려면 80-80으로 두시면 될듯 하구요.
Internal Port랑 IP는 로컬 컴퓨터에서 할당받은 내부 IP와 포트 입력하시면 될것 같군요.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