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에 대한 아주 보편적인 네비게이션 입니다.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아래 글에 대한 아주 보편적인 네비게이션 입니다. 정보

아래 글에 대한 아주 보편적인 네비게이션 입니다.

본문

 아랫글에서.. 그누보드5 CSS 에 대한 아쉬운점을 말씀드렸는데요..
 개인적으로 아래 방식의 네비게이션이 그누보드라는 코어에는 더 어울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들 이렇게 코딩 많이 하시는 걸로 아는데.. 이 구조의 CSS 네비게이션 어떤가요?
aa.JPG
 
추천
0

댓글 75개

마우스 따라가기 힘듬....

탑메뉴에 줄줄이 하위 메뉴를 보여줄필요가 있나 모르것소

몰론 저런게 편한사람들도 있지만...
사람마다기호가 다 있고 탭메뉴 안쓰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사이트마다 장 단점이 될수 있는데..

흐음.. 일단 단순하게 그누보드5에 탑재되어있는 네비게이션을 참고삼아서 만든거라.. ㅎㅎ 컨셉이 텝메뉴였네요.
이쁘네요....^-^
중대형 사이트의 경우엔 딱 좋은것 같습니다...

샘플 바로 접근이 않되서
http://zonzal.com/bbs/board.php?bo_table=zzal01_01&wr_id=1 로 접근해서 봤습니다.

일반 사이트라면 그냥 저냥 하면 되지만....
부하 문제와 리소스 생각이 습관이 되서 그런지
페이지 로딩할때마다
php 소스코드에서 메뉴 생성하는게
좀 마음에 걸리더라구요.......
아뇨 Cache를 이용해서 1분당 한번식만 쿼리 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중대형 사이트가 완성되었고 어느정도 운영이 안정권에 들었다면
불필요한 연산작업은 줄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음.....
db 쪽 cache 나 웹서버에 설정한 캐쉬을 말씀하시거라면....
모두다 장단점이 있죠...^-^

너무 의지하시면, 시스템은 배신을 불러옵니다......ㅎ
저도 윈도우 프로그래밍 전공입니다. ㅎㅎ ^^
하암. 개발단계에서는 자동으로 가고 나중에 최종단계에서 정형적인 부분은 결과물을 복사 해서 프로그램되신 넣으면 뚝딱아닌가요? ㅎㅎ
논쟁이 아니라 한가지 벤지님은 제가 말한 캐시가 세션별로 생긴다고 생각하는건 아니죠?

어플리케이션 단 캐시를 말한겁니다.
물론 서버의 메모리란 한정적이고 안정성이 뛰어나진 안않지만

DB를 open에서 레코드를 읽거나 하드에서 읽는 것보단 가볍고 빠르다는 장점때문에 웹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물론 과하게 메모리에 올리고 사용하진 않죠
[ 숨숨이님께 ]

웹에서 사이트에 관련된 cache 을 크게 보면 2개로 보구요
1) 웹서버 캐쉬
2) DB 캐쉬

이걸 얼마나 서로에게 의지하게 하면서 잘 조절 하느냐와

DB 캐쉬을 myisam 일 경우 설정
innode 일 경우 각각 파티션 설정

그리고 query 튜닝이죠...

무조건 파일로 생성해놓고 불러오는것도 한계가 있습니다....File open Error 가 나오거든요.
초반에 학교(php스쿨) 에서 가끔 보였죠..

어플리케이션 단 캐시라시면 원도우응용프로그램 얘기이신지?
아니면, 모바일 앱쪽 얘기이신지...?
원도우 응용프로그램은 RDBMS 사용일때
로그인 통과후 권한별로 체크해서
메뉴을 한번만 불러오면 되기 때문에 그렇게 신경쓸것 없더라구요.

재작년인가?
방송국 기자들 입력하는거 혼자서 만들때 socket 들어가고 난리 아니였죠...ㅋ
아주 멋진것 같습니다. 제가 올려놓은 소스가 이소스의 핵심 코어아닐까요 ㅎㅎ
디자인이 정말 깔끔하네요~ 추천입니다.
아녀요....저는 js 까지 썩은 걸요....ㅠㅠ

내컴퓨터님께서 운영중이신 그누보드에 적용하셔서 보여주 시면 더 이쁠껏 같아요...^-^
저렇게 하위 메뉴를 보여 줘서 사용자들이 한방에 자기가 원하는 곳으로 보내주는 것보단

클릭 클릭 하여 더 많은 페이지를 보여주도록 하는게 페이지 뷰도 많이 생기고 다른 메뉴의 요약된 메뉴들도 보여줘서

페이지 뷰를 유도하겍 좋다고 봅니다.

저같아도 여기 사이트 들어오면 바로 자유게시판으로 들어오지 한번다 다른 메뉴를 들어가 본적이 없음
홈페이지는 한번 방문하고 나가는 유저를 위해 만드는게 아니라 수차례 지속적으로 방문을 하는 사람 기준으로 봤을때 편리함을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인 사이트맵 구조를 메인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면 유저는 자신이 관심있어하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서버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유저에게 날리지 않아서 좋고, 유저는 자신이 필요한 정보에만 접근하기 때문에 서로 윈윈합니다.
컨텐츠란 필요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보여주어도 아무리 좋은것이라도 스팸일 뿐입니다.
사람마다 웹서핑하는 방식이 다르고 경향이 다르다는걸 생각해야합니다.
예를들어 연애인을 좋아하는 사람은 연애인 관련 게시판에만 계속 머물것이고
정치적인 이야기를 하기 좋아하는사람은 정치 게시판에서 놀것이고
그냥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하고싶은사람들은 자유게시판에서 놀것입니다.

각자 소통하고자 하는 방향이 다른데.. 굳이 클릭->클릭 하는 미로를 구성할 필요가 있을까요?
웹은 직관적인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혀 다른 페이지를 강요하는것이 아니라 여기 사이트의 커뮤니티를 클릭하면 다른 커뮤니티 메뉴들도

좀 보란거죠.. 원래 대 중 소 로 노드가 들어가잖아요

커뮤니티 눌렀는데 엉뚱하게 QA 관련 컨텐츠들이 보여주면 안되죠

그런데 너무 사용자 편의를 봐주는 것도 좀 아닌것같아요 말그대로 접속자들이 사람이 아니라 단순 트레픽으로만

보는것도 문제지만 어느정도 운영자의 생각을 강요하는것도 좋을듯
대한민국에 있는 중대형 커뮤니티 성장한 커뮤니티를 보면 처음에 들어가면 사이트 전체적인 맵을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모바일에서 조차도 사이트맵을 최대한 쉽게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습니다.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기업사이트, 상품소개사이트도 원하는 공간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비록, 이게 유저들의 정보편식을 일으킨다고 하지만 유저가 원하는 웹컨텐츠를 유저에게 제공하기도 전에 유저가 스팸으로 알고 회피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유저에게 운영자의 생각을 강요한다는것은 잘못된 운영방침 인것 같습니다. 운영자는 활동하는 유저의 컨텐츠를 보호하고 저작권을 보호하고 나아가 더 낳은 품질과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합니다.
그러고 보니, 유저 편의를 너무 봐주면 안된다는 말은 사실.. 웹접근성을 포기하겠다는 말과 일맥상통하는것 같습니다...
요즘 트랜드는 내컴퓨터님 말씀으로 가는것 같아서....

사람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외국사이트가 요즘은 반응형으로 가고 있고,
요점만, 핵심만, 이란 느낌이 자주 들더라구요..
메뉴는 사용자가 가고 싶은곳을
상단에서 바로 선택 할 수 있게 하는건
내컴퓨터님께서 만든 구조와 같더라구요.

제가 느낀 바로는
반응형쪽 보면 2단, 3단까지 들어가는
관련 자료와 질문이 많았던것 같아요....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니 모바일의 폭 때문에 이슈가 될만하더라구요.
깔끔하네요.

하지만 한국의 특성을 고려해서 ( 초고속인터넷, 개인PC성능업업 )
한국에서만 가능한 웹 생태계를 생각해 봐야겟네요..

결국에 전세계 네트워크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한국처럼 고용량 대용량의 컨텐츠가 해외에도 많이 생길거 같아요.
검색해보니 PHP 에서는 캐시가 지원 안되네요..

인터프리터 언어들의 장점도 많지만 좀 약점들이 많네요

닷넷 같은 경우 웹서버에 종속이지만 응용프로그램 풀이란 독립적인 프로세스로 실행 되도록 되어있거든요..
단어을 까 먹어서요.......DLL 을 사용한 방법 말씀이신게 맞은건지...MTS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ms972343.aspx

이 방법을 ASP 가 대세일대 적용해서 사용해 봤는데
그다지 좋다라는거 느끼지 못했어요...ㅠ_ㅠ

php 에서는 c 로 만들어서 apache 에 so 로 모듈을 올릴수 있고
오픈된 관련 모듈들이 넘쳐나고 있어요.
벤지님하고 저하고 지금 생각하는게 달라요 COM은 옛날 ASP 적 얘기이고

이젠 MS쪽은 닷넷으로 넘어가면서 너무도 많이 변했습니다.
음 닷넷이 확실히 강점 있어 보입니다.
실행 구조를 보니 매우 발전했네요.
하지만 C가 그것보다 딸리는 퍼포먼스를 낸다라고는 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제적으로나 성능상으로나 닷넷이 앞으로 트랜드가 될것 같네요.
http://blog.daum.net/gksdy2000/6886915

어셈블리라고 보고 엄청 놀랬는데, 초반에 나왔던 개념 그대로 유지중이였네요.
Class 로 하는건 PHP 에서도 되고 있고, 델파* 는 1.0 부터 있었죠...^-^

그런데, 닷넷은 공유메모리을 이용한다해도, dll 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 저는 이런거 만들지도 못하면서, 이런 얘기하면 나쁜걸 알지만 )
메모리 누수 현상을 가베지로 처리하는것으로 맹신하는건 java 쪽도 좀 그렇더라구요.

어셈블리라고 한다라는걸 하나 배웠습니다....(ㅡㅡ)(_ _)
컴파일 된것들은 모두 어셈블리죠.. ㅎㅎ
일단 사용하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java 처럼... end of memory... 뜨지는 않겟죠..;; 시스템다운 ;; ;하
?? 벤지님께서는 php 환경에서 c로 짠 서버를 만들어 처리 할 수도 있다는것 같습니다.

확실히 C로 짜서 돌리면 그만큼 경제적인건 없을거 같네요.
벤지-

제가 말씀드려볼까요 닷넷의 언어적 구조와 기계어가 아닌 중간단계의 EXE나 DLL로 컴파일된다는 것

자바와 아주 흡사합니다. 결론적으로

자바와 닷넷으로 십여년을 개발해본 결과 닷넷은 완벽하게 작동하는 자바라고 할 수있습니다ㅏ.

물론 벤지님이 말하신 메모리 누수는 어쩔수가 없죠 C에서는 포인터라고 하지만 닷넷이나 자바는 그냥 인스턴스라고 해요

C처럼 메모리를 강제 해제 안해도 시간이 흐르면 닷넷 플랫폼에서 사용안하는 메모리를 해제합니다. 하지만 텀이 있죠

그런데 말입니다. 단점도 있지만 장점도 있죠 무수한 메모리 버그코드를 안생기게 할수있죠 왜냐면 전역 인스턴스가 아니라면

메소드만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니깐

닷넷 단점보다 장점이 많은 플랫폼입니다. 물론 한국에서만 아주 죽쓰지만..
다중 사용자가 많은 접속이 있는 경우엔 빨리 빨리 풀어주지 않으면 죽어 버리더라구요..
델파* 도 가베지가 내부적으로 존재합니다만, 개발자가 풀어줄수 있게도 되어 있구요..
또한 인스턴스로도 핸들링 가능합니다...( 델 초고수 류종택님이 보시면 뭐라 할까 겁납니다...ㅋ )

전문으로 하신 java 개발자분과 닷넷 개발자분 각각에게 들었습니다만
100% 가베지로 풀어줄수 없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개발자가 직접 핸들링 )
모 개발자분이 java 쪽에 올린 자료을 보고 알았습니다.

닷넷이 국내에서 그러면 ....... ㅠ_ㅠ .... 너무 비싼것 같아요
닷넷도 물론 강제로 풀어줄수있고 많이 씁니다.

DB 컨넥션같은거 바로 풀어주죠

하지만 강제로 풀때마다 어느정도 노드가 발생됩니다.

차라리 런타임이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풀어주는게 좋은것도있어요
신경쓸게 한두가지가 아니겟네요.. 그런데 아직 그런 대규모 서버는 만져본적이없어서..

멀기만합니다.

군대나 다녀와야죠 엣ㅎ..
쓰레드 동기화가 얼마나 잘되고 오류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가 관건일것 같은데 맞나요?

잘 짜진 프로세스도 자바에선 쓰레드 끼리 충돌일으키고 뻗어버리는 현상 있더라구요 간혹...

닷넷 기대가되는데요 한번 배워봐야겟습니다.
자바랑 다른이름의 쓰레드 락이네요. 근데 자주쓰는 common은 .. 그냥 고정인스턴트라고 해야하나? 고정인스턴트클래스 생성한다음에 거기껄 같이 나눠쓰면 별로 누수 없을거같은데.. 보통 이렇게 쓰지않나요?

이걸 머라하더라 용어가잇엇는데 ;ㅋ
class 안에서 생성된 인스턴스들은 class를 벗어나면 모두 해제되요

고정인스턴스라면 보통 static 으로 선언하는데 어플리케이션 단에 말씀하신대로 고정으로 생성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사라지죠
아닙니다. 인스턴스를 메인 클래스가 죽기전까지 살려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바에는.......
잠시만요 찾아서 올게요
아뇨 불필요한 메모리를 계속해서 생성하지 않기 위해 중복되는 데이터라면 한번만 생성해서 사용하면 어떨까해서 올린겁니다. 자바랑 비슷한 개념이라 길래 자바에서 사용하는 싱글톤이 가능할까해서 여쭈어보았는데
닷넷도 싱글톤 기법이 있네요.
대다수 static으로 하긴하지만, 싱글톤을 연구해서 싱글톤만의 강점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이 있긴 있어서.. 자료가 있더라구요.
static으로 사용되는건 아주 작은 것들 얘를 들면 string 처리같은 유틸개념의 메소드들 사용하고요

보통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쓰죠... 위에도 말했드시 메모리란 아주 한정된거라서요
아 ㅋㅋㅋ 말하면 정말 길어지는데...

닷넷에서는 싱글톤 인스턴스란게 따로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닷넷리모팅라고 이거 얘기하면 정말 길어지는데 일종의 소켓통신비슷한건데 여기서에서는 사용됩니다.
자바에서도 싱글톤 인스턴스란게 따로 없고 프로그래밍 기법의 이름이 싱글톤일 뿐입니다.
싱글톤 인스턴스라는건 객체를 새로 생성안하고 한번 생성된 객체의 인스턴스를 재사용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c/c++ 에서는 static 만으로 전역 공유 메모리가 생성되었는데...
C#은 static으로는 전역 공유 메모리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따라 JAVA 처럼 Singleton 객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C#은 Singleton 이라는 객체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static 은 정해진 지역내에서 전역변수처럼 사용되는걸 의미하고 singleton은 객체 하나가 공유를 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숨숨이님과 내컴퓨터님 덕분에 너무 재미 났고, 많이 배웠습니다...(ㅡㅡ)(__)
그리고, 내컴퓨터님의 본글에 맞지 않은 이슈을 만들어 버려 죄송해요....ㅋ
내컴퓨터님이 말씀히산 singleton 객체라는 것은 윈도우32에서는 공유 메모리이고

닷넷에서와서는 어플리케이션 끼리 공유하는 메모리 입니다.

A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B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한다는 개념인데..

닷넷 리모팅이라는 개념으로 어플리케이션 통신을 합니다

싱글톤 뿐아니라 싱글콜로 설정할수도있습니다.

하여 내컴퓨터님이 말씀하신 공유 인스턴스란 어플리케이션 끼리의 인스턴스(공유)통신으로 볼수있습니다.
그런가요.. 일단 제가 경험이 없으니... ㅠㅠ 한번 열심히 공부해봐야겠습니다.

나중에 모르는거 있으면 여쭙겟습니다. ㅎㅎ 숨숨이님 오늘 정말 많은걸 배웁니다.
닷넷리모팅이랑 한 프로세스내에서 실행파일(어플리케이션)끼리 인스턴스 공유를 할수도있지만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도 가능합니다. 참신기하죠
개발자님들 열띤 토론하시는데 보기 좋네요.
근데 저희 같은 잡부(?)는 쉿!!!!

요즘 샘님이 게을러 출첵을 안하시네요.....ㅎㅎ
전체 199,627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