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 호스팅을 하면 백업 가능하나요?? 정보
포인트 호스팅을 하면 백업 가능하나요??
본문
1. rm -rf ./data/session/sess_*
2. tar -zcvf 백업할파일명.tgz -> (자료백업하는것)
3. mysqldump -u아이디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아이디.sql -> (DB백업하는것)
2. tar -zcvf 백업할파일명.tgz -> (자료백업하는것)
3. mysqldump -u아이디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아이디.sql -> (DB백업하는것)
이런 방법으로 백업을 실행했는데..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DB는 phpMyAdmin에서 백업을 했는데,
자료는 백업할 길이 업네용..
그냥 파일들을 다운받아서 백업을 해야하는지...
혹시나 포인트 호스팅을 신청해서 백업해 보신분 계시나요?
추천
0
0
댓글 6개

저도 한번 자료파일을 날렸는데 호스팅 회사에 문의하니까
계정안에 백업한 자료를 넣어주고 DB 도 복구해주던데요.
(포인트 호스팅같은건 모르겠고 그냥 일반 호스팅이요.)
PS.. 해피님 아이콘은 이전 것이 예뻤어요.
계정안에 백업한 자료를 넣어주고 DB 도 복구해주던데요.
(포인트 호스팅같은건 모르겠고 그냥 일반 호스팅이요.)
PS.. 해피님 아이콘은 이전 것이 예뻤어요.

포인트 호스팅이..그누보드 포인트 호스팅요..ㅜㅡ
백업을 할려는데 계속 안되더라구요..
백업을 할려는데 계속 안되더라구요..

아하...... = _ = 그누 포인트 호스팅.......
(그 문제라면 관리자님이.......)
아하..여기 있네요.
2. 백업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가급적 테스트의 용도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 문제라면 관리자님이.......)
아하..여기 있네요.
2. 백업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가급적 테스트의 용도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잘 되는디유... ^^*
백업하실 땐...
tar cvzfp backup.tar.gz www
백업한 것을 복구하실 땐...
tar xvzfp backup.tar.gz
백업하실 땐...
tar cvzfp backup.tar.gz www
백업한 것을 복구하실 땐...
tar xvzfp backup.tar.gz
> 3. mysqldump -u아이디 -p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명 > 아이디.sql -> (DB백업하는것)
추천하지 않는 방법
비밀번호는 아이디와 DB를 정상적으로 입력한 후 패스워드방식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
mysqldump -u 아이디 -p DB이름 > 백업용.sql
패스워드 입력
서버 환경설정 및 개인의 path설정(보통 bash shell을 사용하므로 .bashrc, .bash_profile 등...)에서
연결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계정 디렉토리에서 mysqldump라는 백업명령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도 있습니다.
root관리자가 특별히 다른 이름이나 경로에 셋팅하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mysql의 경로 및 실행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usr/local/mysql/bin/
이 경로에서 mysqld(데몬)에 관한 명령어나 mysqladmin mysqldump등의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mysqladmin의 경우는 일반 사용자는 거의 접근할 일이 없지만,
간혹 DB 정리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부 호스팅업체에서는 퍼미션이라고 지칭하는 접근권한을 막아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경우,
mysqladmin의 가장 기본적인 용도로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DB자체를 제어하는 경우입니다.
-. mysqladmin
drop(일일이 테이블을 삭제하지 않고, DB를 삭제함으로써 한꺼번에 테이블을 비움)
create(DB를 생성. 당연한 얘기가 되겠지만 자신에게 부여받은 DB명으로만 생성가능.)
(예)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admin drop -u 아이디 -p DB이름
$> 패스워드 입력
$> 디비를 디비 엎으시겠습니까?(yes/no)
$> 최종처리
========================================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admin create -u 아이디 -p DB이름
$> 패스워드 입력
$> 최종처리(DB생성)
========================================
(DB백업 예)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dump -u 아이디 -p DB이름 > 백업할이름.sql
$> 패스워드 입력
$> 최종처리
========================================
추천하지 않는 방법
비밀번호는 아이디와 DB를 정상적으로 입력한 후 패스워드방식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
mysqldump -u 아이디 -p DB이름 > 백업용.sql
패스워드 입력
서버 환경설정 및 개인의 path설정(보통 bash shell을 사용하므로 .bashrc, .bash_profile 등...)에서
연결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계정 디렉토리에서 mysqldump라는 백업명령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도 있습니다.
root관리자가 특별히 다른 이름이나 경로에 셋팅하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mysql의 경로 및 실행파일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usr/local/mysql/bin/
이 경로에서 mysqld(데몬)에 관한 명령어나 mysqladmin mysqldump등의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mysqladmin의 경우는 일반 사용자는 거의 접근할 일이 없지만,
간혹 DB 정리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일부 호스팅업체에서는 퍼미션이라고 지칭하는 접근권한을 막아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경우,
mysqladmin의 가장 기본적인 용도로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DB자체를 제어하는 경우입니다.
-. mysqladmin
drop(일일이 테이블을 삭제하지 않고, DB를 삭제함으로써 한꺼번에 테이블을 비움)
create(DB를 생성. 당연한 얘기가 되겠지만 자신에게 부여받은 DB명으로만 생성가능.)
(예)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admin drop -u 아이디 -p DB이름
$> 패스워드 입력
$> 디비를 디비 엎으시겠습니까?(yes/no)
$> 최종처리
========================================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admin create -u 아이디 -p DB이름
$> 패스워드 입력
$> 최종처리(DB생성)
========================================
(DB백업 예)
$> cd / (메인경로로 이동)
$> ./usr/local/mysql/bin/mysqldump -u 아이디 -p DB이름 > 백업할이름.sql
$> 패스워드 입력
$> 최종처리
========================================
음~~~~! 백업이고 뭐고 3개월 후 삭제?.......
통보도 없이?.......아니라면 접속안되는 이유가?..........^^
신나는 세상입니다~~~~
통보도 없이?.......아니라면 접속안되는 이유가?..........^^
신나는 세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