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게 공감가는 기사.. 정보
이런게 공감가는 기사..
본문
냑에 출입하시는 분들은 모두..신경쓰셔야 할 듯...
이런 ..개새...들을...
확 졸라버릴까보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0630001812479
인터넷 종량제 시행 논란..KT....
추천
0
0
댓글 16개

척추를 접어불랑게...혀기만...혀...

저는 아랫분한테 그러시는줄 ㅡ,.ㅡ;;

종량제 전 찬성이요.
적어도 상위 1% ~ 10%는 잡아야하지 않을까요?
VPN으로 쓰는 사람, 서버용도로 쓰는 사람 등등.
적어도 상위 1% ~ 10%는 잡아야하지 않을까요?
VPN으로 쓰는 사람, 서버용도로 쓰는 사람 등등.

맞는 말씀이기도 합니다만,
빈대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고..
상위 1%~10% 쓰는사람을 잡을 방법을 연구해야지
이사람들때문에 종량제 하는 건 반대합니다.
다른 비유 입니다만,
저는 보편적인 평등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이건희가 65세 넘으면 기초연금 20만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세금을 확! 더 받아야 되는 거죠...
빈대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고..
상위 1%~10% 쓰는사람을 잡을 방법을 연구해야지
이사람들때문에 종량제 하는 건 반대합니다.
다른 비유 입니다만,
저는 보편적인 평등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이건희가 65세 넘으면 기초연금 20만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세금을 확! 더 받아야 되는 거죠...

종량제가 바로 그 뜻입니다.
쓰는 것 얼마를 쓰든 상관없이 대신 상위 1 ~ 10% 데이터 사용자는 돈을 더 내라 이것인데.
이게 보편적 평등의 뜻인데.
쓰는 것 얼마를 쓰든 상관없이 대신 상위 1 ~ 10% 데이터 사용자는 돈을 더 내라 이것인데.
이게 보편적 평등의 뜻인데.
VPN 쓰는게 어떄서요.. x같은 인터넷 환경 때문에 쓰는 건대.

VPN 자체가 전용선을 쓰는 것과 같은 효과지요.
명백하게 전용선이 따로 있으니...
명백하게 전용선이 따로 있으니...

그동안 해먹은걸로 투자해도 충분할듯한데..

종량제하면 트랙픽 다 차면 차단되는 상품도 같이 나오겠군요. 야동은 이제 선별해서 봐야 할 듯 하네요.ㅎ
아~ 글 몇 줄 올리기 위한 위대한 노력. 감사합니다.
조카들아 미안...ㅋㅋㅋ
조카들아 미안...ㅋㅋㅋ

어떻게...
기사는 안보이고 아이들만 보여요...ㅎㅎ
기사는 안보이고 아이들만 보여요...ㅎㅎ

사진 제목은
아빠한테 아이를 맡기면 안되는 이유.jpg
로 하세요 ㅋ
아빠한테 아이를 맡기면 안되는 이유.jpg
로 하세요 ㅋ

종량제가 되면 인터넷 산업에 의존하는 곳들... 쇼핑몰 포함... 대거 위축되겠죠.
여러 영세 사업자들은 죄다 문 닫아얄테고... 그러면 뭐할까요..? 치킨집이니 뭐니 창업할테고... 그곳들은 또 과잉이 되어서 연쇄 부도가 나겠죠... 그러는 와중에도 통신사들은 이득을 취할테고.. 뭐 이런 식으로 산업 전반이 움직이면 소탐대실이 되겠죠.
라인은 공짜 내지는 공짜 가깝게 깔아야하고... 유입자를 늘려야하며... 그런 가운데 컨텐츠를 제작 유포하여 그것으로 이득을 얻는 것이 훨씬 고부가가치인데... 기껏 망에만 매달리는 것 보니 한심하고 안스러워서리....
앱 만들 생각은 안하고 폰만 열라 만들어서 파는 삼똥의 마인드와 비슷하다고 봄...
여러 영세 사업자들은 죄다 문 닫아얄테고... 그러면 뭐할까요..? 치킨집이니 뭐니 창업할테고... 그곳들은 또 과잉이 되어서 연쇄 부도가 나겠죠... 그러는 와중에도 통신사들은 이득을 취할테고.. 뭐 이런 식으로 산업 전반이 움직이면 소탐대실이 되겠죠.
라인은 공짜 내지는 공짜 가깝게 깔아야하고... 유입자를 늘려야하며... 그런 가운데 컨텐츠를 제작 유포하여 그것으로 이득을 얻는 것이 훨씬 고부가가치인데... 기껏 망에만 매달리는 것 보니 한심하고 안스러워서리....
앱 만들 생각은 안하고 폰만 열라 만들어서 파는 삼똥의 마인드와 비슷하다고 봄...

단순하게 우리 나라만의 문제는 아닌 듯 합니다.
이전에 속도가 느렸을 때는 트래픽이 문제가 아니었는데 속도가 빨라지니 망이 포화 상태가 되는 것이지요.
종량제가 된다고 위축이 되지 않을 것 같은데요?
쇼핑몰 등 인터넷 사업자들은 IDC를 사용하고 사용자의 경우만이니 사용자의 경우 IPTV를 24시간 하루 종일 보아도 IPTV 자체의 트래픽이 그리 크지 않아 문제가 없듯이 일반 사용자는 사실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을 듯 합니다,
이전에 속도가 느렸을 때는 트래픽이 문제가 아니었는데 속도가 빨라지니 망이 포화 상태가 되는 것이지요.
종량제가 된다고 위축이 되지 않을 것 같은데요?
쇼핑몰 등 인터넷 사업자들은 IDC를 사용하고 사용자의 경우만이니 사용자의 경우 IPTV를 24시간 하루 종일 보아도 IPTV 자체의 트래픽이 그리 크지 않아 문제가 없듯이 일반 사용자는 사실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을 듯 합니다,
글쎄요.. 일단 요금이 어떻게 책정되는지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요
저는 글로벌 네트워크 산업에 대해 다방면으로 연구(연구는 너무 거창한데 적합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네요;;)했는데 여러 방면(CP, ISP, User 모두)에서 고려할 때 저는 적절한(!) 종량제는 찬성입니다.
단순히 요금 더 받으려고하는 종량제가 아니라, 과도한 트래픽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추가과금하는 종량제가 되어야합니다. 특히 기가비트랜에서는 헤비유저가 완전히 트래픽을 독점해 인터넷 품질이 저해되고 ISP만 아니라 대다수 유저한테도 피해가 가고, CP도 적절한(!) 종량제를하면 별 타격이 없고, 오히려 ISP 수익성이 좋아지면 국내처럼 엄청한 회선료를 줘야하는 관행이 완화되서 더 유리할 수도 있겠습니다.
적절한(!) 종량제가 어느정도인지는 저도 정확히 모르겠지만, 적절한(!) 종량제는 네트워크 속도가 높아질수록 필수불가결한 사안이라 사려됩니다.
단순히 요금 더 받으려고하는 종량제가 아니라, 과도한 트래픽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추가과금하는 종량제가 되어야합니다. 특히 기가비트랜에서는 헤비유저가 완전히 트래픽을 독점해 인터넷 품질이 저해되고 ISP만 아니라 대다수 유저한테도 피해가 가고, CP도 적절한(!) 종량제를하면 별 타격이 없고, 오히려 ISP 수익성이 좋아지면 국내처럼 엄청한 회선료를 줘야하는 관행이 완화되서 더 유리할 수도 있겠습니다.
적절한(!) 종량제가 어느정도인지는 저도 정확히 모르겠지만, 적절한(!) 종량제는 네트워크 속도가 높아질수록 필수불가결한 사안이라 사려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