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기부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정보
착한기부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본문
기대반 설램반.. 새로운 도전을 시작합니다.
몇일전 문뜩 떠오른 생각을 바로 실천으로 옮겼습니다.
기부라는거.. 정말 힘든일인데.. 나도 할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얼마 안되지만.. 배너수익의 1%라도 기부를 해볼까
이런생각을 구체화 시켰습니다.
작은 문화 운동이라 할수도 있고 말도안되는 오지랍으로 끝날수도 있습니다. ㅋㅋㅋ
기부에 대한 생각을 여기저기 물어보며.. 결론을 내렸죠..
사람들이 ... 모두 1%정도는 기부의사가 있구나.
사실.. 배너수익이라고 해도 얼마나 되겠어요.
정말큰 커뮤니티라면 수익이 많아서 1%도 망설여 지겠지만..
일반적인 사이트 긍정적인 생각이 들거라 생각했습니다.
하루에1만원이 배너 수익이라면100원입니다.
어떠신가요? 부담되시나요? ^^ 대답 없음. 부담되는 거로..ㅋㅋㅋ
아직은 업체와 조율을 통해 기부참여자의 수익의1% 를 기부하도록.. 시스템 구축 하여야 하기때문에...
당분간은 참여를 하셔도.. 자율기부를 하셔야 합니다..
우선 참여 의사가 중요하죠..ㅋㅋ
참여 의사가 있으신 분은..
http://adffix.com/ad/bbs/board.php?bo_table=s_06_02_1 이곳을 방문해 주세요.
많은 참여가 이루어 지길 바라며... 오늘하루도 모두 잘 마무리 하시고 좋은 꿈 꾸세요
추천
0
0
댓글 15개

이거 중복인건가요 ?
아래에서 봤던 글 같은데 ㅋㅋ 흠
아래에서 봤던 글 같은데 ㅋㅋ 흠

ㅋㅋㅋ 중복은 아니구요.. js파일 배포시 문제가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태스트를 요청드렸는데..
아무도 안해주셔서.. ㅠ.ㅠ
지인들을 통해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공개테스트 글을 삭제한것입니다..^^
아무도 안해주셔서.. ㅠ.ㅠ
지인들을 통해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공개테스트 글을 삭제한것입니다..^^

아래 댓글을 확인해보니 않보이네요...뭐지요...데자뷰 같은 이 느낌 ㄷㄷ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몇 번을 읽어봐도 이해가 안되네요.
대략 정리해보니 아래처럼 되는데요..
####################################################################
개요 : 어플리에이트 활동을 통해 얻은 광고수익의 1%를 기부
1. 뱃지를 단다
2. 멤버매체소개에 등록
3. 이제 주위를 둘러보세요. 저희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 보일겁니다.
- 이제 본격적인 기부를 실천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제 시작되는 운동이라서 수많은 관련업체와 협의를 이루어야 가능함.
그러니 협의될때까지 자발적으로 기부하면 됨.
####################################################################
그런데 이 내용에서 아래 부분들에 대한 설명이 없네요.
1. 주위를 둘러보고? 어디에 기부를 하라는 건가요?
2. 배너수익에 대한 설명은요? 뱃지가 배너인가요? 어떻게 수익을 내고 그 1%가 기부가 된다는 건지..;;
3, 어플리에이트는 뭐고 그 활동에 대한 설명은 어디 있나요?
일단 글 내용과 링크페이지만 봤을 땐
참여 의사를 떠나서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할 듯 합니다.
대략 정리해보니 아래처럼 되는데요..
####################################################################
개요 : 어플리에이트 활동을 통해 얻은 광고수익의 1%를 기부
1. 뱃지를 단다
2. 멤버매체소개에 등록
3. 이제 주위를 둘러보세요. 저희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 보일겁니다.
- 이제 본격적인 기부를 실천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제 시작되는 운동이라서 수많은 관련업체와 협의를 이루어야 가능함.
그러니 협의될때까지 자발적으로 기부하면 됨.
####################################################################
그런데 이 내용에서 아래 부분들에 대한 설명이 없네요.
1. 주위를 둘러보고? 어디에 기부를 하라는 건가요?
2. 배너수익에 대한 설명은요? 뱃지가 배너인가요? 어떻게 수익을 내고 그 1%가 기부가 된다는 건지..;;
3, 어플리에이트는 뭐고 그 활동에 대한 설명은 어디 있나요?
일단 글 내용과 링크페이지만 봤을 땐
참여 의사를 떠나서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할 듯 합니다.

제가 말주변이 없습니다.. ㅠ.ㅠ
1번 답변
뱃지를 단다는 것은 기부운동에 참여한다는 의미 입니다.
2번 답변
맴버매체소개부분은 기부운동에 참여하는 분들을 소개하고자 만든것입니다.
3번 답변
주위를 둘러보면. 주변에 어려운 분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도와 드리면 되는 것입니다.
전체적인 설명
뱃지를 단다고 해서 배너 수익이 생기는 구조는 아닙니다.
그부분은 관련업체에서 기부운동에 참여를 하신다면 가능해 지겠죠..
예를 들면 지금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에드센스 수익이 하루에 1만원이 생긴다면 100원씩 적립을 하여..
돈이 모이면 기부를 하자는 것이죠.
초등학생들이 돼지저금통에 동전모아서 기부하는 거와 같죠..
착한 기부는 현재는 자발적으로 기부를 하는 방법 뿐입니다.
이번일로 기부문화가 확산되길 바라는 것이죠..
주위를 둘러보면. 주변에 어려운 분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도와 드리면 되는 것입니다.
어플리에이트는 웹사이트나 블로그 카페 sns를 운영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행위)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요즘 퍼블리셔라는 말로도 사용되고 있죠.
뽁스님의 글을 읽고 보니. 이해할수 없는 설명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내용을 다시한번 쉽게 정리해야 할것 같네요..
소중한 의견 감사 드립니다.
1번 답변
뱃지를 단다는 것은 기부운동에 참여한다는 의미 입니다.
2번 답변
맴버매체소개부분은 기부운동에 참여하는 분들을 소개하고자 만든것입니다.
3번 답변
주위를 둘러보면. 주변에 어려운 분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도와 드리면 되는 것입니다.
전체적인 설명
뱃지를 단다고 해서 배너 수익이 생기는 구조는 아닙니다.
그부분은 관련업체에서 기부운동에 참여를 하신다면 가능해 지겠죠..
예를 들면 지금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에드센스 수익이 하루에 1만원이 생긴다면 100원씩 적립을 하여..
돈이 모이면 기부를 하자는 것이죠.
초등학생들이 돼지저금통에 동전모아서 기부하는 거와 같죠..
착한 기부는 현재는 자발적으로 기부를 하는 방법 뿐입니다.
이번일로 기부문화가 확산되길 바라는 것이죠..
주위를 둘러보면. 주변에 어려운 분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도와 드리면 되는 것입니다.
어플리에이트는 웹사이트나 블로그 카페 sns를 운영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행위)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요즘 퍼블리셔라는 말로도 사용되고 있죠.
뽁스님의 글을 읽고 보니. 이해할수 없는 설명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내용을 다시한번 쉽게 정리해야 할것 같네요..
소중한 의견 감사 드립니다.
몇 년 전 실타래라는 곳에서 했던 거랑 비슷한 듯 다른 듯 하군요.
잘 계획하고 홍보해서 좋은 활동으로 발전되면 좋겠네요~^^
잘 계획하고 홍보해서 좋은 활동으로 발전되면 좋겠네요~^^

한번 관련자료 찾아 봐야 겠네요.
늦은 시간 관심 보여주시고 소중한 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다시한번 감사 드립니다.
늦은 시간 관심 보여주시고 소중한 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다시한번 감사 드립니다.

일프로는 어떻게 적립이 되는건가요?

현재는 자율 기부 입니다..
하지만. 관련업체와조율이 된다면..기부배너를 별도록 제작하여 배너수익의 1%를 자동으로 적립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될것입니다.
하지만. 관련업체와조율이 된다면..기부배너를 별도록 제작하여 배너수익의 1%를 자동으로 적립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될것입니다.

실타래에 관한 정보를 찾아 봤는데.. 2009년 핫한 이슈로.. 생겨나.. 2010년이후 소식이... ㅠ.ㅠ
사라진 이유를 알수 있다면. 도움이 될텐데... 방향은 다르지만.. 비슷한 느낌이 꽤 들더군요..
뽁스님 덕분에 생각의 발전이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라진 이유를 알수 있다면. 도움이 될텐데... 방향은 다르지만.. 비슷한 느낌이 꽤 들더군요..
뽁스님 덕분에 생각의 발전이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멤버 유치하는게 관건이겠네요.
배너를 닮으로써 수익이 생기는게 아니니 기존 수익에서 할당해서 기부를 해야한다는건데 메리트가 없으면 안하는게 대부분이니 원래 하던 사람으로 그대로 할테고 안할 사람은 안할테고...
배너를 닮으로써 수익이 생기는게 아니니 기존 수익에서 할당해서 기부를 해야한다는건데 메리트가 없으면 안하는게 대부분이니 원래 하던 사람으로 그대로 할테고 안할 사람은 안할테고...

사실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우선 대부분의 유져들이 그렇겠지만. 기부에 대한 생각은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실천을 하시는 분은 아마도.. 1% .. ㅠ.ㅠ
그래서.. 기부에 대한 의지만 있다면.. 사이트 유지하는 동안 기부 배너를 통해 1%를 자동으로 기부할수 있도록
관련업체와 진행중인데..
우선 기부의사가 많아야 가능하겠죠..
그래서. 착한기부라는 뱃지가 생긴것입니다.. 이 뱃지가 많이 퍼지면.. 관련업체에서도 보다 긍정적으로 협조를 하겠죠..
그래서 맴버 유치가 가장 힘들고 중요한 것입니다.
뱃지를 단다는 의미는 지금 내가 기부를 하고 있습니다라는 의미보다..
난 착한 기부에 참여하겠습니다.. 라는 약속의 이미가 큰것입니다.
뱃지가 많이 퍼져서.. 기부문화가 확산 될수 있도록. 많이 도와 주세요..
우선 대부분의 유져들이 그렇겠지만. 기부에 대한 생각은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실천을 하시는 분은 아마도.. 1% .. ㅠ.ㅠ
그래서.. 기부에 대한 의지만 있다면.. 사이트 유지하는 동안 기부 배너를 통해 1%를 자동으로 기부할수 있도록
관련업체와 진행중인데..
우선 기부의사가 많아야 가능하겠죠..
그래서. 착한기부라는 뱃지가 생긴것입니다.. 이 뱃지가 많이 퍼지면.. 관련업체에서도 보다 긍정적으로 협조를 하겠죠..
그래서 맴버 유치가 가장 힘들고 중요한 것입니다.
뱃지를 단다는 의미는 지금 내가 기부를 하고 있습니다라는 의미보다..
난 착한 기부에 참여하겠습니다.. 라는 약속의 이미가 큰것입니다.
뱃지가 많이 퍼져서.. 기부문화가 확산 될수 있도록. 많이 도와 주세요..
관련업체라는곳이 어디인가요? 애드픽과관련된 그업체를 말씀 하시는건가요?
기부금을 굳이 배너수익의 몇프로로 제한하는거도 그렇고(해당광고를 꼭 이용해야 하겄죠 애드픽 님이 하시는 그거라면 그광고를 이용해야만 할거 같은데요) 업체가 왜 끼어야하는지를 모르겠네요
그리고 업체와의 협의 저가볼땐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애드픽이 네이버나 다음같은 큰사이트도 아니고 참여자나 사이트활동회왼도 없는 사이트와는...
뭘보고 투자를 하나요
또 기부금은 어디로 모아진후 성금으로 보내지나요? 적은돈이라도 돈이 오가는일인데 구체적인 준비나 계획없이 우선 진행하시는건지 궁금합니다
기부금을 굳이 배너수익의 몇프로로 제한하는거도 그렇고(해당광고를 꼭 이용해야 하겄죠 애드픽 님이 하시는 그거라면 그광고를 이용해야만 할거 같은데요) 업체가 왜 끼어야하는지를 모르겠네요
그리고 업체와의 협의 저가볼땐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애드픽이 네이버나 다음같은 큰사이트도 아니고 참여자나 사이트활동회왼도 없는 사이트와는...
뭘보고 투자를 하나요
또 기부금은 어디로 모아진후 성금으로 보내지나요? 적은돈이라도 돈이 오가는일인데 구체적인 준비나 계획없이 우선 진행하시는건지 궁금합니다

관련업체란 제휴마케팅 회사를 말하는 겁니다...
예를 들면 링크프라이스/ 아이라이크클릭등...
실제 협의를 진행중인 회사명를 정확히 말씀 드릴수는 없습니다. 아직 논의중인 상황이라..
광고업체를 끼어야 하는 이유는.. 기존 배너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 어플리에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우려하시는 협의는.. 당연한 우려입니다..
블랙앤화이트님이 보시면. 에드픽.. 저기 뭐하는 업체(개인)인데.. 광고 회사가.. 제휴를 하겠어라고 생각 하실수 있습니다.
제휴라는 것은 쉬운일이아니지만. 불가능 한 일도 아닙니다.
회사라는 곳은 수익창출을 목표로 하는데.. 제휴업체가 개인이든..회사던.. 회사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서면 제휴가 되는 것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애드픽이란 곳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고. 유져가 많이 있다면 왜 제휴를 합니까. 직접하면 되지..
제휴라는것에 대한 저의 생각은 삼성이 휴대폰을 만들면서. 부품 전체를 생산하지 않는것과 같습니다.
작은 업체라도 아이디어가 있고. 기술이 좋으면 제휴를 하여 시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마직막으로 기부금은 어디에 사용되나..
그부분은. 기부금의 집행은. 검증된 기관을 통해 진행될것입니다.
검증되지 않은 기관에 돈의 넘기면.. 어찌 사용될지 알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전에 올린 설문에 유니세브를 거론 한것입니다.
기관으로는 유니세프 적십자 초록우산등.. 기부금액에 따라.. 범위를 넓혀 갈것입니다.
예로.. 1달에.. 10만원이 기금으로 모였다면.. 이것을 나누는 것도.. 웃긴일이죠..
블랙엔 화이트님의 우려 긍적적으로 받아 드리겠습니다.
우려하시는 만큼.. 좋은 아이디어도 있으실거 같은데.. 좋은 생각도 공유해 주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면 링크프라이스/ 아이라이크클릭등...
실제 협의를 진행중인 회사명를 정확히 말씀 드릴수는 없습니다. 아직 논의중인 상황이라..
광고업체를 끼어야 하는 이유는.. 기존 배너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 어플리에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우려하시는 협의는.. 당연한 우려입니다..
블랙앤화이트님이 보시면. 에드픽.. 저기 뭐하는 업체(개인)인데.. 광고 회사가.. 제휴를 하겠어라고 생각 하실수 있습니다.
제휴라는 것은 쉬운일이아니지만. 불가능 한 일도 아닙니다.
회사라는 곳은 수익창출을 목표로 하는데.. 제휴업체가 개인이든..회사던.. 회사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서면 제휴가 되는 것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애드픽이란 곳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고. 유져가 많이 있다면 왜 제휴를 합니까. 직접하면 되지..
제휴라는것에 대한 저의 생각은 삼성이 휴대폰을 만들면서. 부품 전체를 생산하지 않는것과 같습니다.
작은 업체라도 아이디어가 있고. 기술이 좋으면 제휴를 하여 시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마직막으로 기부금은 어디에 사용되나..
그부분은. 기부금의 집행은. 검증된 기관을 통해 진행될것입니다.
검증되지 않은 기관에 돈의 넘기면.. 어찌 사용될지 알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전에 올린 설문에 유니세브를 거론 한것입니다.
기관으로는 유니세프 적십자 초록우산등.. 기부금액에 따라.. 범위를 넓혀 갈것입니다.
예로.. 1달에.. 10만원이 기금으로 모였다면.. 이것을 나누는 것도.. 웃긴일이죠..
블랙엔 화이트님의 우려 긍적적으로 받아 드리겠습니다.
우려하시는 만큼.. 좋은 아이디어도 있으실거 같은데.. 좋은 생각도 공유해 주시길 바랍니다.

설명이 빠진 부분이 있네요.
기부금을 굳이 배너수익의 몇프로로 제한하는것
이부분은 기부자의 부담을 줄려주기 위한 생각 입니다.
예로 기부금의 제한이 없다면.. 남들은 50% 100% 20% 이렇게 기부를 하는데..
난 부담이 된다고.. 1%만 하겠어 하면.. 왠지 좋은 일을 하면서도 미안한 기분(깨름직함)이 들수 있습니다.
그래서 1%로 정한 것입니다. 그래야. 난 얼마를 헸어가 아닌 나도 기부에 참여 했어라는 생각이 들테니까요
또한 이번 프로젝트가.. 에드픽이 성공하지 못해도 이번프로젝트로 인해.. 기부방식이 다변화되어
기부문화가 확산되길 바랄뿐입니다.
기부금을 굳이 배너수익의 몇프로로 제한하는것
이부분은 기부자의 부담을 줄려주기 위한 생각 입니다.
예로 기부금의 제한이 없다면.. 남들은 50% 100% 20% 이렇게 기부를 하는데..
난 부담이 된다고.. 1%만 하겠어 하면.. 왠지 좋은 일을 하면서도 미안한 기분(깨름직함)이 들수 있습니다.
그래서 1%로 정한 것입니다. 그래야. 난 얼마를 헸어가 아닌 나도 기부에 참여 했어라는 생각이 들테니까요
또한 이번 프로젝트가.. 에드픽이 성공하지 못해도 이번프로젝트로 인해.. 기부방식이 다변화되어
기부문화가 확산되길 바랄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