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만원 까지 내려 갔군요 정보
10 만원 까지 내려 갔군요
본문
모 기업인데,
그누 기본 기능으로 템플릿 만들어서 10 만원
디자인 위주로 승부수를 거신것으로 판단 했습니다.
과거에 혹시나 이렇게 흘러 가지 않을까? 예상 했던거지만
하지만, 너무나 떨어지는 가격에
일반인들은 당연하게 생각하게 되고
박리 담애로 승부수을 건 업체들중 대기업 몇군대을 제외하고 다 폐업 했었는데...
이런 글을 리자님이 싫어 하시겠지만,
이러면 누가
스킨등으로 만들어 유료든 무료든 기능을 오픈 할지...?
GNU 정신으로 정보 공유하는게 가능할지...?
에~~효~~
추천
0
0
댓글 7개

자신 평가가 10만원이라고 생각하나보죠... 그러나 불경기다보니 싸게 싸게 갈려고 하나보네요~

서버 관리와 프로그램을 주업으로 하고, 디자인은 흉내 내는 정도지만
저도 할까? 라는 생각이 들어요.
다른분들이 올리는것중에서 괞찮다 싶으면
저렴하게 구입해서 붙여 넣고 템플릿으로 해서
10 만원으로 영업 뛰고, 인건비야 혼자서 하니 들어갈 비용도 없으니
저 업체 보다 훨 잘할수 있다라는 자신이 있는데...
흐름이다 라고 어느분들은 얘기 하시지만,
흐름도 흐름 나름이 있는데, 흐름이라고 치부하기엔 잘못된 방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이런 상황을 물어보면 뭐라고 할까?"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저도 할까? 라는 생각이 들어요.
다른분들이 올리는것중에서 괞찮다 싶으면
저렴하게 구입해서 붙여 넣고 템플릿으로 해서
10 만원으로 영업 뛰고, 인건비야 혼자서 하니 들어갈 비용도 없으니
저 업체 보다 훨 잘할수 있다라는 자신이 있는데...
흐름이다 라고 어느분들은 얘기 하시지만,
흐름도 흐름 나름이 있는데, 흐름이라고 치부하기엔 잘못된 방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이런 상황을 물어보면 뭐라고 할까?"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대형 업체들 중엔 팀도 있습니다.
참신한 디자인과 기능이 있으면 유료 구매 후 완전 분해해서 카피한 뒤 약간의 변형을 이뤄 자신들의 컨텐츠 내에 포함시키죠.
당연히 라이센스 등 부가적 장치를 치밀하게 마련해둡니다.
만약.. 클라이언트라면.. 어떤걸 우선 여길까요... 원천 작업자이나 듣보잡인 유망주일까요 아니면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면서 심지어
싸고 관리까지 더 치밀하게 이뤄지는 대형 업체일까요.. 대형 업체가 원천 작업자이고 원천 작업자가 카피한다고 생각하겠죠.
예전엔 비싸기만 했던 대형사들이 가격까지 손대면서 이젠 싸고 질 좋은(?) 놈들을 마구 뿜어내는 것이 되겠죠.
물론 질이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곘죠.
클라이언트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싼 것에 메리트를 느끼게 될 것일테고...
근데 우리가 그런걸 따라하다간 좀 더 빨리 죽어나가는 것이라고 봅니다. 잠시 장사 조금 더 할 순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과정을 밟아서 그들을 이길 순 없죠. 도려 먹이깜이 될 듯...
틈새를 노릴 수 밖에 없는거고... 그렇기에 더욱 소개껀들을 늘려가야하고... 그러기 위해서 내공을 쌓아야겠죠.
계속되는 대형업체들의 카피를 반발이라도 앞서며 시장에 내어놓는 피말리는 과정은 필요할 듯 합니다.
참신한 디자인과 기능이 있으면 유료 구매 후 완전 분해해서 카피한 뒤 약간의 변형을 이뤄 자신들의 컨텐츠 내에 포함시키죠.
당연히 라이센스 등 부가적 장치를 치밀하게 마련해둡니다.
만약.. 클라이언트라면.. 어떤걸 우선 여길까요... 원천 작업자이나 듣보잡인 유망주일까요 아니면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면서 심지어
싸고 관리까지 더 치밀하게 이뤄지는 대형 업체일까요.. 대형 업체가 원천 작업자이고 원천 작업자가 카피한다고 생각하겠죠.
예전엔 비싸기만 했던 대형사들이 가격까지 손대면서 이젠 싸고 질 좋은(?) 놈들을 마구 뿜어내는 것이 되겠죠.
물론 질이 뛰어나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곘죠.
클라이언트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싼 것에 메리트를 느끼게 될 것일테고...
근데 우리가 그런걸 따라하다간 좀 더 빨리 죽어나가는 것이라고 봅니다. 잠시 장사 조금 더 할 순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과정을 밟아서 그들을 이길 순 없죠. 도려 먹이깜이 될 듯...
틈새를 노릴 수 밖에 없는거고... 그렇기에 더욱 소개껀들을 늘려가야하고... 그러기 위해서 내공을 쌓아야겠죠.
계속되는 대형업체들의 카피를 반발이라도 앞서며 시장에 내어놓는 피말리는 과정은 필요할 듯 합니다.

기능이 뛰어나도 비싸면 않사요.......이게 시장이죠.....
시장가서 물건 잡았는데, 가격보고 내려 놓은 경우와 같은것으로
가격의 기준은 다른 물건의 저렴한 가격과 비교하되,
겉 포장만을 보고 판단해야하는 입장에선 저렴한걸 찾는게 당연한것 같습니다.
단, 브랜드가 어디것이냐? 도 관건이 되기는 하죠.
시장가서 물건 잡았는데, 가격보고 내려 놓은 경우와 같은것으로
가격의 기준은 다른 물건의 저렴한 가격과 비교하되,
겉 포장만을 보고 판단해야하는 입장에선 저렴한걸 찾는게 당연한것 같습니다.
단, 브랜드가 어디것이냐? 도 관건이 되기는 하죠.

네 맞아요. 한국은 더욱 심하고요.
하지만 시장이란게.. 양립하기에 비싸더라도 효율성을 잊고 구매하는 층은 있기 마련이고요.
당연 돈 있는 양반들이겠죠.
상황을 좀 분석해보니...
뭐.. 여하튼 좀 골때리는 시장 형태와 상황이라고 봐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나가는 분들도 적잖이 있겠지만 무너지는 층이 더 많을테죠..
무너지기 전에 다른 방안을 강구해야할 듯.... ^^ 전.. 부족하니깐 아직.. 흐흐..
하지만 시장이란게.. 양립하기에 비싸더라도 효율성을 잊고 구매하는 층은 있기 마련이고요.
당연 돈 있는 양반들이겠죠.
상황을 좀 분석해보니...
뭐.. 여하튼 좀 골때리는 시장 형태와 상황이라고 봐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나가는 분들도 적잖이 있겠지만 무너지는 층이 더 많을테죠..
무너지기 전에 다른 방안을 강구해야할 듯.... ^^ 전.. 부족하니깐 아직.. 흐흐..
박리다매 때문에 치킨게임되고 다 죽습니다.. 싸게싸게 팔던데도 결국은 망하더이다..
흠 대박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