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원천 정보
권력의 원천본문
경향신문을 보게 되었습니다. 신선했습니다.
그 중 인상적이었던 기사 둘.
◇지역 언론이 지방자치 감시자=옥천이 이렇게 변모하기 전에는 ‘토호’ 몇명이 지역 여론을 쥐고 흔드는 여타 지자체와 다르지 않았다. 변변한 시민단체가 있어 군정과 의회를 감시할 처지도 못됐다. 하지만 1989년 옥천신문이 창간되면서 사정은 달라졌다. 군민들이 주주가 돼 창간된 옥천신문은 감시자의 역할을 넘어 ‘혁명’을 가져왔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새바람을 일으켰다.
/ 옥천의 새로운 실험 (2006.06.04)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한 옥천의 실험은 사실 ‘옥천신문’이 있기에 가능했습니다.”
오대표는 우리 스스로에게 익숙해져 있는 반(反)자치 문화를 스스로 타파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군수가, ○○○ 국회의원이 다리를 놓아 주었다’는 게 아니고 ‘그렇게 말하는 사람, 즉 주민 자신이 놓은 것이다’라고 생각할 때 진정 자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는 풀뿌리운동이 지역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것을 경계한다. 중앙정치를 타파하려는 게 아니라 지방과 중앙의 상생을 위한 것이 바로 풀뿌리운동이라는 것이다.
/ “풀뿌리운동은 지방·중앙 상생 위한 길” (2006.06.04)
그는 풀뿌리운동이 지역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것을 경계한다. 중앙정치를 타파하려는 게 아니라 지방과 중앙의 상생을 위한 것이 바로 풀뿌리운동이라는 것이다.
/ “풀뿌리운동은 지방·중앙 상생 위한 길” (2006.06.04)
////////////////
'너'의 권력은 '네'가 획득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양도한 것이다.
- 이 땅의 모든 같잖은 우두머리들에게.
추천
0
0
댓글 2개
권력이든 부든 다 불공평한 세상이지만 진짜 땅문제 만큼은 화가납니다.
평생 안먹고 안써야 집한채... 일하는 사람이 부자가 되어야 하는데.. ㅡ.ㅡ;;
평생 안먹고 안써야 집한채... 일하는 사람이 부자가 되어야 하는데.. ㅡ.ㅡ;;
그렇습니다. 일하는 사람이 잘 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