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무지개 구경못한 사람 있나? 정보
아니 무지개 구경못한 사람 있나?본문
추천
2
2
댓글 10개

캐나다가 맞아요? 이태원 같네요. 한글간판이.....ㅋㅋ
저도 보지못한 한글간판 찾으셨군요. 캐나다 맞지요.
어디를 가던 한글간판 많지요.
그래서 그래서
저는 한국에 있을 때 외국손님 만나서 영어 몇마디 하던 때 보다
지금 훠얼씬 영어할 기회가 적습니다. 적은것이 아니라 아예 없습니다.
한국사람만 만납니다.
그래서 영어는 못하고 한국말은 아직 덜 잊어버리고 있습니다.
어디를 가던 한글간판 많지요.
그래서 그래서
저는 한국에 있을 때 외국손님 만나서 영어 몇마디 하던 때 보다
지금 훠얼씬 영어할 기회가 적습니다. 적은것이 아니라 아예 없습니다.
한국사람만 만납니다.
그래서 영어는 못하고 한국말은 아직 덜 잊어버리고 있습니다.

와 무지무지 멋진 무지개네요. 그래서 무지겐가....호호호호
저게 므지 므지 하다가 처음에는 "므지게" 가 됬었다는 속설도 있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오늘 처음.. 무지개의 어원을 알게 되었습니다.
http://www.korean.go.kr/nkview/nknews/200302/55_1.html
므지게 > 무지개
결국 '믈(水) + 지게(戶)'가 합쳐져서 '믈지게'가 되었던 것이
'ᄌ' 앞에서 'ᄅ'이 탈락하여 '므지게'가 되고(15세기에 이미 나타난다)
이것이 원순모음화를 일으켜 '무지게'가 되고(17세기),
이것이 다시 '에'와 '애'의 중화 현상으로 '무지개'가 된 것이다(19세기).
http://www.korean.go.kr/nkview/nknews/200302/55_1.html
므지게 > 무지개
결국 '믈(水) + 지게(戶)'가 합쳐져서 '믈지게'가 되었던 것이
'ᄌ' 앞에서 'ᄅ'이 탈락하여 '므지게'가 되고(15세기에 이미 나타난다)
이것이 원순모음화를 일으켜 '무지게'가 되고(17세기),
이것이 다시 '에'와 '애'의 중화 현상으로 '무지개'가 된 것이다(19세기).
어원 찾아보시느라 수고하셨네요.
그러나 저는 어원보다는
무지개 == 동심 그게 더 중요합니다. ㅎㅎ
그러나 저는 어원보다는
무지개 == 동심 그게 더 중요합니다. ㅎㅎ
"므지게" 이런 표현을 주셔서.. 어? 뭔가 있다..
이렇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잽싸게 어원 검색을 했거든요.
그랬더니 저런 내용이 나왔습니다. 몰랐거든요. ㅡㅡ
동심이요? ㅎㅎㅎ 네.. ^^ 맞습니당!!
이렇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잽싸게 어원 검색을 했거든요.
그랬더니 저런 내용이 나왔습니다. 몰랐거든요. ㅡㅡ
동심이요? ㅎㅎㅎ 네.. ^^ 맞습니당!!

1번째 사진에 한글 간판.. 2개가... ?! 하나느 잘보이고..
하나는 크게 해서 볼때 아주 희미 하게!! 보이는?!
하나는 크게 해서 볼때 아주 희미 하게!! 보이는?!
세계어디던 이제는 한글간판 보이는 것이 신기할 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여기도 한국간판 많습니다.
여기도 한국간판 많습니다.

전 그냥 제눈에 한글 간판이 보이는게 신기한거 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