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js 기반 플젝 830번 커밋하면서 느낀점 정보
Next.js 기반 플젝 830번 커밋하면서 느낀점
본문
Next.js 기반의 게시판 프로젝트를 공부 목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올해 2월 15일 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총 830번 커밋을!
느낀점1. 대부분의 UI 컴포넌트가 서드파티에 의해 이미 만들어져 있다. → 시간 단축
NextUI, MUI, tailwindUI 등을 사용하면 커스텀 컴포넌트를 만들 일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마이너한 요소까지 이미 만들어져 있습니다.
저는 tailwindUI를 유료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한 번도 커스텀 컴포넌트를 만든 적이 없습니다.
물론, 제 프로젝트가 공부 목적이다 보니 복잡하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느낀점2. 상태관리 기반의 UI 조작을 통해 비즈니스 로직과 UI 로직을 분리시킬 수 있다. → 개발 효율 향상
저는 사실 상태관리라는 게 왜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관리는 알겠는데 상태는 또 뭐꼬?... 이랬었죠. 지금은 zustand라는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통해 개발 효율 향상 느끼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개발 효율은 코드 개수와 가독성입니다.
상태관리 없이 A 기능을 개발하는 것과
상태관리 기반으로 A 기능을 개발하는 것에서 말이죠.
그 외 잡담
사실 이것 말고도 여러 느낀점, 장점, 단점이 있는데 뭐랄까...
기본적으로 너무 복잡합니다. 각종 설정부터 개념까지.
그런데 이 복잡함을 이겨내면 또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저는 "바퀴를 다시 발명하지 마라"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는데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적절한 바퀴'가 되어주는지는 아직 의문입니다 ㅋㅋ
1
베스트댓글

@부산곰돌이 근데 넥스트는 진짜 밑바닥부터 자신이 없ㅋ
UI컴포넌트는 필수 아닌 필수 느낌
아 전 개미디자인 씁니다.
언급하신데로 기능이 많기도 하고 좋아요(스타)가 높기도 하고 점유율이 가장 높아서 ㅇㅅㅇ
클래스는 tailwind ㅎ
댓글 5개

굿! 자주 이런 글 올려주세요 ㅋㅋ

@리오닥터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당 ㅎㅎ

뭔가 복잡하게 느껴진다가 공감
뭐만 하면 새파일 . 새폴더 ㅎ
첨에는 되게 낯설었던 것 중 하나죠

@미니님a 맞습니다 저도 너무 낯설었습니다 ^^);;
마치 안드로이드 개발할 때 gradle이니 뭐니 파일이 많은 것처럼...

@부산곰돌이 근데 넥스트는 진짜 밑바닥부터 자신이 없ㅋ
UI컴포넌트는 필수 아닌 필수 느낌
아 전 개미디자인 씁니다.
언급하신데로 기능이 많기도 하고 좋아요(스타)가 높기도 하고 점유율이 가장 높아서 ㅇㅅㅇ
클래스는 tailwind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