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의료 정책, 교육 분야 - 화두 정보
고령화, 의료 정책, 교육 분야 - 화두-
glitter0gim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회원게시물 (115.♡.♡.228)
- 925

본문
2024년을 보내며~
2024년, 대한민국에 의료·교육계 변혁이 있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35.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특히 고령층에서 이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고령화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의료 인력 확충을 목표로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확대하기로 발표하며,
의료계 내부에서 다양한 논의와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2024년 11월 14일 시행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보다 낮은 난이도로 평가되었으며, 만점자가 11명으로 집계되었다.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러한 변화들은
생의 후반부를 살아가는 필자에게 '고령화-의료 정책-교육'이라는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 glitter
1
댓글 5개

2천명증원에 의사들 팔딱팔딱 뛰고, 전공의 때려치고, 근데 그런 의사쪽 영상들 보면 그것도 맞는것 같기도 하고.. 하..

정책이 나오고 실행되기 까지는 5년은 걸리는 듯한데 지금 60년대 생들이 70세가 넘을 때면 또 먼가 달라지겠죠?ㅎㅎㅎ
전문대학은 노령자들이 많더군요

태극기가 아직도 어색하군요
그래도 아직까진 사람이 해야할 일이 많이 남아 있어서다행이네요

@크론이
의료 인력 증원과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는 각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나누어져야한다고 봅니다.
@하늘뚱
사회적 변화와 노령화의 흐름 속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정책과 환경이 달라질 것이라는 것은 기대반 우려반으로 할까요.
@김철용
직업군별, 노령자 증가의 단면일 수 있겠군요.
@예뜨락
여전히 인간이 필요한 역할이 많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시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