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문제에 대한 의문이지만, 대답은 안해주셔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컴퓨터 문제에 대한 의문이지만, 대답은 안해주셔도.. 정보

컴퓨터 문제에 대한 의문이지만, 대답은 안해주셔도..

본문

얼마전 XP 깔린 시스템에 우분투를 깔았더랬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분투를 먼저 깔면, 나중에 윈도XP를 설치할 경우
부트매니저를 NT로더가 덥쳐버리는지라..
윈도 깔린 HDD의  타 파티션에 깔았죠..

SATA 하드이므로, sdaX 형태로 우분투에서 NT파티션들을 마운트하는 걸 보았습니다.

보통 hda 형태던데, 시리얼 ata라서 sda로 잡히나보다 했습죠..


근데, 문제가 어느 순간에선가 발생했습니다.
아주오래전 XP를 처음 설치할 때 F6을 눌러 별도의 플로피디스크로부터
RAID 드라이버를 설치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윈도로 부팅하고 몇 초 지나니까 블루스크린이 뜨고 시스템이 리부팅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Raid 가 없어서 바퀴벌레가 나타났나봅니다.

어쨋든 다음 수순을 다시 밟아서 했더니 이번엔 블루스크린이 안나타나네요..
1. 전체 파티션 날림.
2. 윈xp 시디로 부팅해서 써드파티 디스크 드라이브를 인식시키기 위해 F6버튼을 눌러줌.
3. 플로피에 저장해둔 Sis 뭐 어쩌구 하는 raid드라이버를 FDD에 넣어서 인식시킴.
4. 해당 드라이버 로딩후 디스크 파티션 메뉴에서 파티션을 네 개로 나눔.
5. 첫번째 파티션에 윈XP 설치
6. 설치 후 각종 드라이버(usb2.0, nvidia 칩셋드라이버, ieee1394용 드라이버 등등..) 잡아줄 때 혹시나 해서 raid 드라이버는 안넣어줌.
7. 하드가 한개 뿐이므로 세 번째 파티션에 우분투 라이브시디를 이용해 설치..
8. 우분투 데스크탑 치시디에서 파티션을 재조정(스왑파티션 생성 및 /home 파티션 별도 구성)
9. 우분투 업데이트 및 몇 가지 폰트설정을 위한 조정후 사용.

으하하하하하하..
다시 한 번 듀얼 OS 머신이 가동되고 있습니다..
vmwar나 virtualbox를 쓰면 된다고들 하지만, 날짜배기 OS를 사용해야 제 속도가 나오는 마당이라...
그리고 우리아기 얼굴을 출장가서도 보려면 웹캠이 인식되는 윈도우도 부팅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러면서 생긴 의문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하고 나니까 이전처럼 블루스크린이 생기지는 않군요..
윈도우 설치와 리눅스 설치의 시간차만 있다뿐이지  이전에도 위와 같은 과정으로 했건만
전에는 문제가 생기고, 이번엔 문제가 없는 이유가 뭘까요?

아마도 리눅스 설치후 몇가지 건드릴 때 RAID 드라이버를 날려먹은 거 때문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만,
RAID를 안쓰는데도 설치해줘야 하는 이건 뭐때문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Raid 드라이버는 윈도용인데, 리눅스 깔때 이걸 날려먹을 수 있는건지 이것도 모르겠네요..

날이 갈수록 너무 복잡해지고 어려워져만 가는 PC인 것 같습니다...


추천
0
  • 복사

댓글 9개

sata는 sda로 잡히더군요. 이게 스카시하고 매우 해깔리는... -_-;

두번째로 우분투 먼저 설치하시고 윈도 설치하신 후 윈도가 부트로더에서 먼저 부팅되는건 윈도에서 쉽게 순위를 정할 수 있으니 담부턴 편하신데로 설치하세요. 쿨럭;

세번째로.. 그 아래내용은 잘 이해가.. -_-;;
아마도 레이드 때문이려니... ( 사실 말씀드린데로 이해를 못하고 있고.. 역시나 레이드때문 아닐까요. 쿨럭; )
궁금한건 레이드때문에 OS가 작동이 왜 안되는가 하는.. 오히려 제가 질문을 드리네요.. -_-; 레이드 구성이 어느것으로 하셨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는 문제려니.. 전 레이드 1과 0만 사용하기때문에 다른건 .. -_-;

멀티부팅의 세계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뭐 답은 없고 헛소리 하다가 환영 어쩌구 저쩌구..  -_-;;;; )
하드가 한개인데도 레이드 구성을 해야하는건가요?
레이드가 bios레이드가 있고,
OS단의 레이드가 있던데,
bios에서는 사실 하나마나더군요..
윈도만 설치했을 때.. 별도의 레이드 드라이버를 안잡고 윈도를 설치할 경우 윈도가 설치 후 뻗어버리더군요..
꼭 윈도xp 부팅시디 넣고 F6눌러서 써드파티 raid 드라이버를 인식시켜주고 나서 설치과정을 밟아야만 이상이 없군요..

멀티부팅과는 상관없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윈도 설치도 이렇게 어려워서야..원..
어라? 하드가 하나인데 레이드 구성을 하셔서 사용하셨었다구요?

혹시 그 뭐시냐... 거시기.. 메인보드;;; ( 이름 하나 생각해내는데 이렇게 힘들어서야 ㅜ.ㅡ )의 레이드 컨트롤러 때문에
그렇다는거면 메인보드 레이드 죽여버리시구요 ( 전 그렇게 사용합니다. )
윈도 설치할때 레이드 드라이버는 그렇게 하면 안찾을 겁니다.

저는 맨처음 부팅할때 레이드 구성을 읽기는 합니다. 메인보드가 그렇게 되어있으니. 그런데 어차피 죽여놓은 컨트롤러니 찾지 못하고 다음 부팅페이지로 넘어가거든요.
이렇게 사용하면서 윈도설치시 레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제 경우라서 확실히는 말씀드리지 못하겠지만 혹시나 모르니 바이오스에서 레이드 관련 있는지 찾아보시고 죽여버리시고 설치해보시면 어떨까요?
이것도 아니면 다음엔 다른 방법으로.. 쿨럭;;;
오리님의 집중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레이드가 하여간 문제네요..
바이오스의 레이드가 죽어있었죠.. 그런데 그전에 사용하던 컴퓨터에 어느시점부터 블루스크린이 뜨기 시작하면서 수초후 멎어버리는 거였습니다.

요번엔 바이오스와 상관 없다는 결론을 얻고..
윈도설치시 오히려 레이드드라이버를 안설치해주고 진행했을 때 문제가 생기길래,
윈도를 다시 설치하면서 레이드를 설치해주고나서 설정을 안해주니까
오리님처럼 레이드 구성을 읽기는 하다가 다음 부팅으로 넘어가는 정상 수순을 밟는군요..
하드 하나 더 살 돈이 있으면 제대로 레이드 해보고 싶습니다.

너무 깊은 관심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덕.구.님. ♥~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요.. 그러니까 해결이 되셨나는 말씀이신가요? --;;;;
바이오스에서 죽이지 않으면 윈도가 지가 잘났다고 드라이버를 찾아내거든요.
리눅스 같은 경우야 레이드컨트롤러가 하드웨어일경우에 특별한 문제가 없이 설치되는경우는 많이 보아왔는데..
간혹 윈도 같은경우는 온보드형식의 레이드일경우에는 피곤한경우가 생기던것 같습니다.

서버의 경우는 레이드가 워낙 비싸다 보니 윈도우 설치시 그렇게 동작되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 100만원이 기본으로 넘으니.. 쿨럭; )
모 업체의 서버를 몇년간 유지보수 하면서 hdd가 훌러덩 맛이 가는경우가 있었는데 그럴때에도 hdd만 교체를 했었거든요.

물론 처음 유지보수를 가져갔을때에 윈도가 너덜거려서 서버를 밤에 죽여놓고 새벽에 재설치를 하면서도
레이드를 찾는경우는 없었습니다.

그냥 PC레이드가 그러려니 하셔요. 수고하세요.
이게 좀 복잡합니다.
처음에 설치시에 제가 안했고 다른 직원이 도와줘서 설치했기 때문에 그때당시 레이드라 바이오스에서 죽어있었는지 살아있었는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그 후 메인보드 에러로 하드는 그대로 두고 동일 기종의 메인보드로 교체하면서 바이오스도 초기설정으로 들어있었죠..

이후에 네번째 파티션에 우분투 엣지버전을 깔았다가
다시 업그레이드해서 피에스티로 갈아탔습니다.

피에스티로 잘 쓰던중 어느 순간부터 블루스크린& 리붓현상 발생..
그래서 밀었죠..

다시 밀면서 설치하기 전 바이오스 보니 레이드 설정 안되어있길래
[레이드 사용]으로 바꾸고 했는데, 그래도 설치후 또다시 블루스크린&리붓현상 지속..

또다시 재파티션하면서 설치하기로 하고
 윈도 설치시 위의 1~6번과정 진행해서 문제 없이 사용 가능...

험난한 세월을 겪었습니다.
윈도우에서 부팅 후 드라이버 찾지는 않더군요..
윈도XP설치 화면 초기에 F6눌러서 잡는 일을 안했을 경우에만 저런 오류현상이 발생했기때문에,
바이오스랑은 상관없다는 결론이..

근데 참 궁금한건,
오리님은 서버관리자세요? 디자이너세요?
해결되었다는 말씀이시군요. 다행입니다. ---;

저는.. 서버관리자도 아니요, 디자이너도 아닌.. 어정쩡한 실력의 백수입니다.
감사합니다~~~~ 빠빠~~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