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눈이 내릴뗀 날씨가 더울까요? 아시는 분들 뎃글주세요. 정보
왜 눈이 내릴뗀 날씨가 더울까요? 아시는 분들 뎃글주세요.
본문
추천
0
0
댓글 5개

물은 기화될 때 열을 빠앗아 갑니다.
예를 들자면 여름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 지는 것도 기화열 때문이고요, 피부에 물을 바르면 바른 부분이 시원해 지는데 이느 피부의 열을 물이 기화하면서 빼앗아 버리기 때문입니다.
물보다 20배 정도 빨리 기화하는 알코올을 바르면 더 차갑죠. 수술할 때 쓰는 마취제는 물보다 100배정도 빨리 기화하는데 마취제를 바르면 피부가 순간 얼어버려 감각이 사라지게 된다고 합니다.
물을 열로 가열하면 끓으면서 수증기가 생기는 원리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물이 얼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고 합니다.
대기중에 있던 물방울이 눈으로 변하면서 1g당 약 8칼로리 정도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눈이 오는날 포근하게 느껴지게 되는 거죠.
단, 바람이 불면 체감온도가 떨어지므로 바람부는 날은 엄청 춥죠...
에스키모의 집, 이글루에서는 분무기로 실내를 뿌려준다고 합니다.
작은 수증기 알갱이가 얼면서 열을 방출해주어서 실내가 따뜻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열역학 제 1법칙에 따른 에너지 보존의 법칙" 이라고 하죠...
예를 들자면 여름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 지는 것도 기화열 때문이고요, 피부에 물을 바르면 바른 부분이 시원해 지는데 이느 피부의 열을 물이 기화하면서 빼앗아 버리기 때문입니다.
물보다 20배 정도 빨리 기화하는 알코올을 바르면 더 차갑죠. 수술할 때 쓰는 마취제는 물보다 100배정도 빨리 기화하는데 마취제를 바르면 피부가 순간 얼어버려 감각이 사라지게 된다고 합니다.
물을 열로 가열하면 끓으면서 수증기가 생기는 원리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물이 얼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고 합니다.
대기중에 있던 물방울이 눈으로 변하면서 1g당 약 8칼로리 정도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눈이 오는날 포근하게 느껴지게 되는 거죠.
단, 바람이 불면 체감온도가 떨어지므로 바람부는 날은 엄청 춥죠...
에스키모의 집, 이글루에서는 분무기로 실내를 뿌려준다고 합니다.
작은 수증기 알갱이가 얼면서 열을 방출해주어서 실내가 따뜻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열역학 제 1법칙에 따른 에너지 보존의 법칙" 이라고 하죠...

선택된답변
지식포인트 30000점 획듯하셔쎄요!
지식포인트 30000점 획듯하셔쎄요!

왜 눈이 내릴땐 덥다고 생각하시나요? ^^;
난 춥던디..
난 춥던디..


그거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맘이지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맘이지요

힌색에 대하여 몸이 열이 나는 것으로 반응하는 잠재된 의식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눈올 때 보통 덥다고는 안하고요.
좀 포근하다 그렇게들 말씀하시는 것으로 압니다만......
눈올 때 보통 덥다고는 안하고요.
좀 포근하다 그렇게들 말씀하시는 것으로 압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