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박, IT및 과학부문을 초토화 시킬 것인가?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맹박, IT및 과학부문을 초토화 시킬 것인가? 정보

맹박, IT및 과학부문을 초토화 시킬 것인가?

본문

이미 아시듯이 과기부가 사라져서 IT및 과기분야의 지원이 힘들어 질 것으로들 알았습니다.
그러나 그래도 경제를 살리고 산업을 발전 시키기 위해서는 IT와 과학의 발전을 위해 뭔가 대안이 나올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망할 일이 나오네요.....
IT, 과기계에서 곡소리가 나오는군요.....
그렇더라도 설마 그누인들에게야 피해가 없겠지요?

===========================================


출연연 구조조정 태풍에 휩싸였다

기관장 일괄사퇴…예산 축소 R & D 위축 우려
과기부ㆍ기관 통폐합 따른 파장에 위기감 고조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 온 과학기술계 정부 출연연구기관이 정치적 외풍과 구조조정의 태풍에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정권 교체를 계기로 임기를 남겨둔 연구기관장들이 일괄 사퇴압박을 받는가 하면 아무런 의견수렴 절차도 없이 대학-출연연간 통합이 추진됨에 따라 연구원들이 심하게 동요하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의 예산 10% 축소 방침에 따라 각 출연연구기관들도 R & D 활동을 포함해 예산을 줄일 수밖에 없어 연구개발 활동마저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같은 위기감은 올 초 정부조직개편 당시 과학기술부 폐지에 따른 부작용이 서서히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이어져 현 정부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불신이 커질 조짐이다.

◇출연연 기관장 일괄 사표ㆍ무리한 통합 추진=1일 교육과기부 관계자는 "최근 산하 13개 정부 출연연구소 기관장들이 모두 사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지식경제부 산하 출연연구소 기관장들도 일제히 사표를 제출했다. 그러나 단지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과학기술 전문가들인 기관장들에게 사표를 내라고 요구한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다.

서강대 화학ㆍ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 이덕환 교수는 "과기계 연구기관장들에 대한 사표 제출 요구는 대한민국 역사이래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 "과학기술인이 우대 받고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약속은 어디 갔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부처인 교육과기부 내에서도 우려가 흘러나왔다. 한 관계자는 "다양성이 보장되고 안정적인 연구환경이 조성돼야 할 출연연구소 기관장이 정권교체를 이유로 사표를 내는 것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도 좋지 않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교과부 담당 부서는 사표를 낸 연구기관장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출연연간 통합 추진도 절차와 내용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월 서울대-KIST에 이어 최근에는 KAIST-생명공학연구원, 충남대-기초과학지원연구원, 창원대-전기연구원간 통합 논의에 불이 지펴졌다.

KAIST의 신성철 교수(前 대덕클럽 회장)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출연연구기관의 시대적 역할 재정립을 위한 점검은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지금처럼 물리적, 강압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오히려 연구소에 대한 매력을 잃게 해 연구원들을 떠나게 만들어 국가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부 통폐합 부작용 현실화하나=과기계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정부의 흔들기가 거세지면서 현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불신도 함께 싹트고 있다. 이덕환 교수는 "과기부를 없애고 과학재단도 뜯어고치고 출연연도 뒤집어엎는 등 현 정부가 40년간 축적돼온 과학기술 행정체계를 흔들고 있다"며 "지난 인수위 시절 한 고위관계자가 과학기술 행정체계에 대한 큰 불신을 나타낸 적이 있는데 그게 현실화하는 것 같다"고 안타까워했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도 최근 발표한 성명서에서 "정부 조직개편 당시 교육부와 과기부 통합이 한쪽을 다른 쪽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으로 추진되면 의도했던 목표나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것은 자명하다"며 "청와대와 일부 인사들의 정치적 욕심이나 자의적 판단으로 대학-출연연간 통합을 추진하는 것은 본래 목적을 이루기는 커녕 내부 구성원들의 심각한 반발을 초래할 뿐"이라며 현 정부에 대립각을 세웠다.

익명을 요구한 한 출연연 관계자는 "현 정부는 겉으로는 2012년 R & D 16조원이니, GDP 대비 5%니 하면서 예산 확대를 말하면서도 뒤에서는 연구자들의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뒤흔드는 모순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상현기자 psh21@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41&newsid=20080502080115406&cp=dt
추천
0
  • 복사

댓글 10개

정말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고 앞으로의 보다 굳건한 경제를 위해서라면
대운하 한다고 설레발 치기보다는 교육과 과학기술 등에 대한 투자와 관리, 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뜩이나 기초학문 붕괴나 이공계 기피, 브레인 해외 유출이 가속화 되고 문제시 되는데
부처 통폐합으로 인력감축이나 해대고 예산이나 줄이고... 에휴~
참여정부에서 해놓은 로드맵도 파기된 모양입니다.....

앞 정부보다 더 잘할려면 더 좋은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해야 하는데, 이거 뭐 해놓은 것들도 다 두들겨 부시니.....
원래 정책이라는것이 임기가 끝났다고 해서 사라지는것이 아니죠.
새마을 운동처럼 말이죠.

다 엎어버리고 다 없애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다양한 장기적 정책들.
하긴 자기 뽑는데 도와준 공신도 잘라버리는 사람이 나랏님이라고 앉아있는데 뭘 바라겠습니까?

어제 뉴스에 부자들 세금 덜어주고 서민들 세금부담 주는 뉴스보고 리모콘 던질 뻔 했습니다.

너 이놈.. 지금부터 몇십년을 사나 함 보자.
더 망치기 전에 결판을 내야 합니다.
개혁이니 개선이 아니라 개악으로 치닫는 이 왕무식을 어떻게든 막아야 합니다.

영삼이는 임기말에 IMF를 맞았지만, 이건 몇달이냐 카운트를 세야 할 판입니다.

노무현이 장만해놓은 통장을 까먹는건 순식간일거네요.
그래서 별명이 노통장님 이었군요. 으흐흐.
지난 정권때는 찬성도 하지 않았지만 반대도 심하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금은 반대를 덜 해주고 싶을정도로 "우라질" 행태만 일삼고 있습니다.
어제 청문회로 국민의 불안감 해소와 야권의 정치공작이 알려지는 계기였다고
말하는 우리 한나라당은...

2mb와 지네 당 사람들만 한 나라인가봅니다.
우린 길가에 굴러다니는 자갈이냐?
아무리 조직개편을 개같이 하더라도,
할일은 해야하고,
또 빈 곳이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라도 채원 넣어야죠?

우주선을 발사할 이 나라에 과기부가 없다는 엉터리가 어디에 있나요?

망할 망박이!!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