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번호, 이제 모두 공인인증서나 아이핀으로 인증 처리를 바꿔야 할 듯 하네요.. 정보
주민번호, 이제 모두 공인인증서나 아이핀으로 인증 처리를 바꿔야 할 듯 하네요..
본문
얼마 전 부터 얘기가 나오던 주민번호/아이핀 문제가 이제 적용 될 것 같네요.
이제 11월 부터 주민번호 대신 아이핀이나,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도록 한다네요.
다른 분들이 남기신 글들보니 '다음' 같은 대형 사이트에서도 아이핀 문제가 많다고
하셨는데, 어찌 처리 될런지...
기존에 제작 된 사이트도 모두 변경해야 될 듯한 느낌이네요..
추천
0
0
관련링크
댓글 3개
'일정 규모 이상의 인터넷사이트'라는 내용이 있긴 하지만 개인정보보호의 취약점은 사이트의 규모와는 전혀 상관없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요즘 부쩍 늘어난 소규모 의류쇼핑몰도 그렇고 대부분의 운영자가 pin 인증솔루션 연동 등 추가비용에 썩 너그러울 것 같지 않습니다.
단순 커뮤니티라면 이메일 인증 정도로 충분하다고 봅니다만 역시 상거래사이트는 통신거래신고할 때 위와같은 사항들을 명문화하고 의무화하지 않는 이상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존같은 대형사이트도 이멜주소랑 크레딧카드 정보만 있음 구매가 가능한데 우리나라는 뭘 그렇게 확인하고 싶어하는지 ;;
단순 커뮤니티라면 이메일 인증 정도로 충분하다고 봅니다만 역시 상거래사이트는 통신거래신고할 때 위와같은 사항들을 명문화하고 의무화하지 않는 이상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존같은 대형사이트도 이멜주소랑 크레딧카드 정보만 있음 구매가 가능한데 우리나라는 뭘 그렇게 확인하고 싶어하는지 ;;

네, 맞아요.
기존에 완료되어 이미 끝난 사이트도 아마 "그냥 해 줘야 되는거 아니냐?"고 하는 건 아닌지..
매번 정부에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려고 하지말고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주는게
시급할 듯 하네요..
기존에 완료되어 이미 끝난 사이트도 아마 "그냥 해 줘야 되는거 아니냐?"고 하는 건 아닌지..
매번 정부에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려고 하지말고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주는게
시급할 듯 하네요..

일제 식민지, 박정희 유신 잔재인
주민등록법을
아직도 유지한다는 것이 .......
전 반민특위 부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안 늦었습니다.
주민등록법을
아직도 유지한다는 것이 .......
전 반민특위 부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안 늦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