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홈피 뚫려..1년치 자료 사라져 정보
환경운동연합 홈피 뚫려..1년치 자료 사라져
본문
추천
1
1
댓글 14개

저두 기사 읽어 봤는데....
환경연합은 그누로 만들었지만 다른 지역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제로보드로 만들어졌더군요.
일단은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사내용으로 봐서 제로쪽이 뚤린듯 같네요...
그누보드두 안전하다고 못하겠죠...ㅠㅠ...
앙...무섭다....
환경연합은 그누로 만들었지만 다른 지역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제로보드로 만들어졌더군요.
일단은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사내용으로 봐서 제로쪽이 뚤린듯 같네요...
그누보드두 안전하다고 못하겠죠...ㅠㅠ...
앙...무섭다....

복구도 못한다??
1년동안 백업을 전혀 안했다는 말인데.....쩝
1년동안 백업을 전혀 안했다는 말인데.....쩝

허걱 그랬던 것이군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순 없지만, 모지역의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리뉴얼시 데이터이전작업을
도와드린적이 있었고, 얼마전 연락이 와서 보니 데이터베이스가 모조리 삭제되는 해킹을 당했더군요.
그누보드 작업물이었는데, 해킹피해를 입었었죠.
구체적으로 말씀드릴순 없지만, 모지역의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리뉴얼시 데이터이전작업을
도와드린적이 있었고, 얼마전 연락이 와서 보니 데이터베이스가 모조리 삭제되는 해킹을 당했더군요.
그누보드 작업물이었는데, 해킹피해를 입었었죠.

전 이해가 잘 안되네요. 꼭! 홈피에 중요한 자료를 올려놔야 하는지?

홈피는 단지.. 일부 공개되는 자료들만 추려서 내 놓아야 하는데..
홈피를 너무 맹신하고 있었네요.. ㅋㅋ
홈피를 너무 맹신하고 있었네요.. ㅋㅋ

백업을 안했다는게 더 충격.. ㅎㅎ;;

저렇게 큰 단체의 홈페이지에 서버나 홈페이지 관리자가 없으니까 저 모양...
사무실 상근직이 관리하니 뭐 개념이 있겠어요....
사무실 상근직이 관리하니 뭐 개념이 있겠어요....

개념이 없는거죠~!
어떤 큰회사의 노동조합 홈페이지를 만든적이 있는데요.
칼만 안들었지 날강도가 따로 없더군요. 도대체 개념을 어따가 두고들 사는지?!
우리나라는 에이젼트 또는 컨설트 하는 사람들을 알아주지 않으니까요.
어떤 큰회사의 노동조합 홈페이지를 만든적이 있는데요.
칼만 안들었지 날강도가 따로 없더군요. 도대체 개념을 어따가 두고들 사는지?!
우리나라는 에이젼트 또는 컨설트 하는 사람들을 알아주지 않으니까요.

좀 애매하죠.
중요한 자료는 못해도 한개이상의 백업본이 있을텐데요.
아마도 웹 사이트에 올릴정도면, 공개할 목적의 자료임에 분명했을 텐데,
중요자료나 아무나 보면 안되는 자료라면 웹 사이트에 올릴이유도 없을테고..
리플 보니 대부분 자작극이라고 하는데, 그런것도 의심도 되긴하지만 그렇다고 머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네요.
만약 공개할 자료였다면 문제가 되는건 데이터가 사라진것보다는 개인정보유출이 더 큰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가장 이해가 안되는 것은 역시 중요한 자료를 웹사이트에 무방비로 올려놨다는 것이겠네요.
(백업은 해놨을듯...)
중요한 자료는 못해도 한개이상의 백업본이 있을텐데요.
아마도 웹 사이트에 올릴정도면, 공개할 목적의 자료임에 분명했을 텐데,
중요자료나 아무나 보면 안되는 자료라면 웹 사이트에 올릴이유도 없을테고..
리플 보니 대부분 자작극이라고 하는데, 그런것도 의심도 되긴하지만 그렇다고 머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네요.
만약 공개할 자료였다면 문제가 되는건 데이터가 사라진것보다는 개인정보유출이 더 큰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가장 이해가 안되는 것은 역시 중요한 자료를 웹사이트에 무방비로 올려놨다는 것이겠네요.
(백업은 해놨을듯...)

시민단체 대부분이 백업할줄 아는 사람이 없을 걸요....;

음..... ㅡㅡ;;;
그것 복원이 안되는 것인가요?
cafe 24를 사용하면 매일 새벽 5시에 백업을 해주시던데요.
그것 복원이 안되는 것인가요?
cafe 24를 사용하면 매일 새벽 5시에 백업을 해주시던데요.

서버 호스팅으로 개인서버로 했나 보죠^^
그럼 관리자가 안하면 할사람이 없죠^^
그럼 관리자가 안하면 할사람이 없죠^^

요즘은 서버호스팅업체에서도 백업 서비스를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일단 -_- 개인 서버든지 업체 서버든지 관리하려는 노력이 없었다는 것이 문제죠...
백업에 대한 중요성은 모든 분들이 말하시니 2번 말할 필요가 없고 -_-;;
단순한 cron backup 만 돌려도 이런 문제는 없었을 것을 ;;
역쉬 백업의 중요성은 한번 당해본 사람만이 알지두요 ;;
백업에 대한 중요성은 모든 분들이 말하시니 2번 말할 필요가 없고 -_-;;
단순한 cron backup 만 돌려도 이런 문제는 없었을 것을 ;;
역쉬 백업의 중요성은 한번 당해본 사람만이 알지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