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홈페이지에 대해 정보
다국어 홈페이지에 대해본문
프리랜서분들 다국어 홈페이지 견적 내실때 어떻게 하시나요.
한국어가 100만원이면 한글영문 두개하면 200만원 이렇게 받아야 하나요?
클라이언트에서 영문은 한국어 파일 복사해서 타이핑만 하면 되는거 아니냐고 하시면서,
130에 한글영문 하자고 하시네요.
그분말씀이 맞는건지 제가 맞는건지 판단이 안되네요..
한국어가 100만원이면 한글영문 두개하면 200만원 이렇게 받아야 하나요?
클라이언트에서 영문은 한국어 파일 복사해서 타이핑만 하면 되는거 아니냐고 하시면서,
130에 한글영문 하자고 하시네요.
그분말씀이 맞는건지 제가 맞는건지 판단이 안되네요..
추천
0
0
댓글 6개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다르겠죠.
가령 컨텐츠 뿐 아니라 메뉴 등 네비게이션과 레이아웃 디자인 전체가 다국어판에 따라 각각 다르다면?
거기에 맞게 다 따로 해야겠죠.
그리고 내용의 경우도.. 텍스트가 주어지고.. 그걸 그저 코딩 안에 집어넣기로 끝나는거면 좀 줄고..
그걸 이미지화한다던가 기타 등등 가공.. 즉 손이 더 가는 작업이면 그만큼 비용이 올라가겠죠.
번역물이 제공된다는 전제 하에..
최소는 150%부터 시작해서 200%까지 간다고 봅니다.
1:1로 취급 받을 수 있다는거죠.
인트로가 분리되어 개발화된다거나 여러 부가 요소들로 인해 220% 가량이 되어버릴 수도 있는 일이겠죠.
여튼 최소 150%라고 봐집니다.
레이아웃 등에 다국어 해당 부분 적용해주고 배너 등 부가적인 지원 정도선이라고 전제하고..
내용물은 모두 텍스트 위주로 처리하기에 코딩 안에 그저 붙여넣기로 땡치는 선에서라면..
가령 컨텐츠 뿐 아니라 메뉴 등 네비게이션과 레이아웃 디자인 전체가 다국어판에 따라 각각 다르다면?
거기에 맞게 다 따로 해야겠죠.
그리고 내용의 경우도.. 텍스트가 주어지고.. 그걸 그저 코딩 안에 집어넣기로 끝나는거면 좀 줄고..
그걸 이미지화한다던가 기타 등등 가공.. 즉 손이 더 가는 작업이면 그만큼 비용이 올라가겠죠.
번역물이 제공된다는 전제 하에..
최소는 150%부터 시작해서 200%까지 간다고 봅니다.
1:1로 취급 받을 수 있다는거죠.
인트로가 분리되어 개발화된다거나 여러 부가 요소들로 인해 220% 가량이 되어버릴 수도 있는 일이겠죠.
여튼 최소 150%라고 봐집니다.
레이아웃 등에 다국어 해당 부분 적용해주고 배너 등 부가적인 지원 정도선이라고 전제하고..
내용물은 모두 텍스트 위주로 처리하기에 코딩 안에 그저 붙여넣기로 땡치는 선에서라면..

다국어 버전을 할 때.
하나의 언어판이 추가될 때마다 조금 뭐 붙여서 준다는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또 다른 싸이트가 제작되는데 패턴의 동일함으로 인해 약간만 할인해준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하겠죠.
때문에 적어도 150-170% 적용은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200%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의 언어판이 추가될 때마다 조금 뭐 붙여서 준다는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또 다른 싸이트가 제작되는데 패턴의 동일함으로 인해 약간만 할인해준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하겠죠.
때문에 적어도 150-170% 적용은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200%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군요....클라이언트 직접 상대하려니 여간 힘든게 아닙니다..ㅠㅠ

전 일단 국문 100이면...영문은 말그대로 영문화작업만(디자인그대로..)해서 50~70%더 부릅니다.
만약 비싸다하면..
웃으면서..중소기업청에 영문사이트지원사업에 신청하라고 말합니다...ㅋㅋ
만약 비싸다하면..
웃으면서..중소기업청에 영문사이트지원사업에 신청하라고 말합니다...ㅋㅋ
제 경우 변역 및 감수 비용은 클라측 부담으로 하고
40~50% 정도 책정합니다.
40~50% 정도 책정합니다.
꼭 필요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