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논쟁들로 다시 보게되는 UTF-8과 개발자들의 노고 정보
작은 논쟁들로 다시 보게되는 UTF-8과 개발자들의 노고
본문
작은 논쟁 아닌 논쟁들이 거듭되었네요.
그래서 다시금 생각하게되는 언어셋..
대표적인 것이 다들 아시는 EUC-KR(이하 E)와 UTF-8(이하 U)일껍니다.
그누보드와 영카트4는 두 언어판을 모두 내놓고 있습니다.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스킨들과 빌더들 역시 두 언어판을 다 내놓거나 특정 언어판을 내놓습니다.
개발을 하는건 쉽지 않다고 봅니다.
공개를 하고.. 그걸 유지하는 것은 더더욱이나 쉽지 않다고 봅니다.
버그를 잡고 기능을 개선시키고.. 새로운 패치에 대응하여 새로운 판갈음을 하고..
이걸 매번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전 벌써부터 끔찍하네요.
이걸 밥 먹듯 하시는 분들은 정말 박수쳐드려야합니다.
그런데 한가지..
왜 이걸 못했냐.. 이걸 더 해야하지 않았냐.. 이런 식의 반응은 뭐죠?
우리는 돈 주고 물건 하나만 사도.. 더 낫게 만들지 않았냐고 따지진 않습니다.
아이폰에 DMB가 안됩니다. 알고 삽니다. 근데 사서 잘 쓰고 있으면서 DMB 안되게 해놨다고 짜증내
면 좀 웃긴게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원래 의도였던 언어셋..
다른 분이 언급하셨듯.. 필요에 따라 자신이 변환하거나 바꾸어 쓰면 된다고 봅니다.
우린 받는 것에 너무 익숙해져버린거 아닐까요.
저도 외국 싸이트 종종 해와서 U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하지만 공개된 빌더나 스킨들을 써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들의 언어셋에 집착해오진 않았습니다.
그누다 모든 언어를 지원해주고..
정 안되면 직접 고쳐 쓰면 되니깐..
더불어..
한국에서 서비스를 한다고 칩시다.
과연 U로 언어셋을 꾸린게 급박할까요.
불당님의 언급처럼.. 우리나라에 U로 호스팅이 많을까요?
언젠가부터 시작해서 점점 늘어가는건 사실이지만 아직도 E가 훨씬 많습니다.
빌더나 스킨을 공개하시는 개발자분들께서 귀찮아서만 모두 공개하지 않는 것도 아닐테고..
이들은 직장을 다니면서 시간 쪼개서 작업하여 공개하기도 하는데..
너무 많은 수고를 더 올려드리는건 좀 아니다 싶습니다.
제 경우도 탑빌더를 쓰려고 하는데.. 호스팅이 U라서 쓰기 모호하긴 했습니다.
죄다 변환하려니 좀 귀찮아서 그누로 쓰고 있는데..
아파치님이 U로 손수 변환을 다 하셔서 올리십니다.
바로 이런거 아닐까요.
불당님 말씀처럼..
투정이 필요하다면.. 개발자가 힘이 나게.. 감사를 표하면서 버그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내지..
이래 이래 하면 좀 더 나을꺼 같아요 제 의견도 참고해주세요..
이런 것이 힘이 되고.. 자신과 모두에게 가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주절거렸습니다.
받는 것에 너무 익숙해져 있고 감사할 줄 모르는거처럼 보기 흉한건 없다고 봅니다.
전 아직도 그누란 것과 각종 빌더와 스킨들이 대가 없이 이래 미친 듯 공유되고 있다는 것에...
놀라울 뿐입니다. 모두가 대단하신겁니다.
모든 개발자분들과 유저분들 화이팅!~
추천
0
0
댓글 13개

결국... 논란을 야기하는 분들의 입장을 정리하면,
UTF-8로 개발한 게 아니면(또는 호환되지 않으면?) 뭐하러 공개하나...... 이렇게 정리되는 듯한데요.
다른 말씀 필요없겠네요. 찬비님 말씀을 잘 새겨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UTF-8로 개발한 게 아니면(또는 호환되지 않으면?) 뭐하러 공개하나...... 이렇게 정리되는 듯한데요.
다른 말씀 필요없겠네요. 찬비님 말씀을 잘 새겨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하나 그런 논란으로 인해 개발자 분들이 힘 빠지고 괜한 자조감에 젖지나 않을지 걱정되네요.
개발하시는 분들께 박수를 쳐드리고, 절대적인 응원 보냅니다.
나를 알아주는 1인만 있어도 이 세상은 살 맛 나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그누에는 개발자 분들을 응원하는 분들이 절대 다수라는 점, 잊지 말아 주세요. 짝짝짝!!!!!!!!!!!!!
개발하시는 분들께 박수를 쳐드리고, 절대적인 응원 보냅니다.
나를 알아주는 1인만 있어도 이 세상은 살 맛 나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그누에는 개발자 분들을 응원하는 분들이 절대 다수라는 점, 잊지 말아 주세요. 짝짝짝!!!!!!!!!!!!!

거듭 얘기하지만... ㅋ
찬비띠!! 그리고 개발자님들! 화이팅 ㅋ
다 그렇진 않습니다. ㅋ
조금이나마 의식에 변화가 있기를 바라며... ^^
찬비띠!! 그리고 개발자님들! 화이팅 ㅋ
다 그렇진 않습니다. ㅋ
조금이나마 의식에 변화가 있기를 바라며... ^^
동감입니다. ^^

외국과 관련없으면 전 무조건 euc-kr로 해버려요. ㅎㅎㅎ

모두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잠간 다른 얘기로..
급박한 것도 의무도 아니지만 결국은 UTF-8방향이 맞긴 할 것입니다.
(이 글의 주제가 UTF-8가 아니므로 그냥 곁가지 의견으로 달아 놓습니다.)
잠간 다른 얘기로..
급박한 것도 의무도 아니지만 결국은 UTF-8방향이 맞긴 할 것입니다.
(이 글의 주제가 UTF-8가 아니므로 그냥 곁가지 의견으로 달아 놓습니다.)

네 저도 U~를 선호해요. 이 글은 적어도 내가 하지 않았으면서 투정만 부리는 현실이 안타까워서 주절거렸던 것이기에.. ^_^
사소한 것을 내더라도 언어판을 다 내놓아주면 더 좋겠지만..
그렇지 않고 특정 언어판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나름의 까닭이 있다고 보고..
그걸 트집 잡아선 안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_ㅜ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김새는 일인건 분명하겠죠.. 흐흑..
기껏 해서 공개했더니.. 자신의 원하는 것이 빠지면.. 이게 뭐냐.. 제대로 해서 내라.
이러면.. 정말.. 땁땁해질 듯..
사소한 것을 내더라도 언어판을 다 내놓아주면 더 좋겠지만..
그렇지 않고 특정 언어판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나름의 까닭이 있다고 보고..
그걸 트집 잡아선 안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_ㅜ
개발자들 입장에서는 김새는 일인건 분명하겠죠.. 흐흑..
기껏 해서 공개했더니.. 자신의 원하는 것이 빠지면.. 이게 뭐냐.. 제대로 해서 내라.
이러면.. 정말.. 땁땁해질 듯..
무료 빌더야 개발자 맘입니다.
무료빌더를 쓰고있는 주제에 UTF 지원안하냐고
이것 뭐냐 이런식으로 말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공짜로 배포한것만으로도 감사해야지.. 저런식으로 하면 옳지 못하죠.
그런데말이죠..
지금 다들 빌더를 통해 UTF,EUCKR가 논쟁이 되고있는데..
빌더를 떠나서 , UTF-8 방향이 가는것이 옳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쓸건데 뭐하러 UTF8 하냐 이런분들..
세계화의 맞춰서 뒤처지는 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 예를 들자면 액티브..
그만 쓰라고하는데도 계속 고집하고있죠.. 결국에는 이런것이 문제되서 현재..
지금 뭐 부랴부랴 액티브에서 벗어나겠다고 정부에서 공언을 하긴했는데 쉽진 않죠.
액티브와 다를것 하나 없습니다.
가장 웹표준을 지켜야 할 개발자분들께서 우리나라만 쓸건데.. 뭐하러 UTF 지원해?
이러면 액티브처럼 똑같은 꼴이 될지도요.
웹표준성이라는게 말이 쉽지만 어려운것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어렵다하여 포기하는건 아니라고봅니다.
무료빌더를 쓰고있는 주제에 UTF 지원안하냐고
이것 뭐냐 이런식으로 말하면 문제가 있습니다.
공짜로 배포한것만으로도 감사해야지.. 저런식으로 하면 옳지 못하죠.
그런데말이죠..
지금 다들 빌더를 통해 UTF,EUCKR가 논쟁이 되고있는데..
빌더를 떠나서 , UTF-8 방향이 가는것이 옳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쓸건데 뭐하러 UTF8 하냐 이런분들..
세계화의 맞춰서 뒤처지는 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 예를 들자면 액티브..
그만 쓰라고하는데도 계속 고집하고있죠.. 결국에는 이런것이 문제되서 현재..
지금 뭐 부랴부랴 액티브에서 벗어나겠다고 정부에서 공언을 하긴했는데 쉽진 않죠.
액티브와 다를것 하나 없습니다.
가장 웹표준을 지켜야 할 개발자분들께서 우리나라만 쓸건데.. 뭐하러 UTF 지원해?
이러면 액티브처럼 똑같은 꼴이 될지도요.
웹표준성이라는게 말이 쉽지만 어려운것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어렵다하여 포기하는건 아니라고봅니다.
운영하는 사이트 회원의 99.9999%가 한국인 인데, 세계화가 뭔 상관 있습니까?
애플앱이나 해외대상으로 개발하는 것이면 utf-8 민감하겠지만 그게 아니쟎아요.
그누보드 자체가 해외목적으로 개발된게 아니라서, 언어셋 바꾸려면 아예 다시
개발하는 수준의 노력이 들어 갑니다.
저는 utf-8에 대한 집착이 isdn이나 3세대 이동통신 같은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화상전화로 망을 다 깔았지만, 지금 화상통화 몇통이나 하고 있습니까?
대부분 2G로 충분한데, 표준이란 것에 집착해서 수십조 때려박에서 3G 만들었죠.
세계표준?
쓰는 사람이 많으면 그게 답 입니다.
중국넘들이 xp에 ie6 계속 고수라면 ms나 구글도 결국은 다시 과거로 돌아갑니다.
표준성이 왜 어려운지 실제 얼마나 경험을 해봤습니까?
표준개발한 코드가 브라우져마다 다 다르게 나오는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nhn 같은 대형회사들은 개발자와 웹표준 관리하는 팀이 따로 분리가 됩니다.
웹표준 하는 넘은 하루종일 브라우져 호환성만 맞춰야 하는게 현실인데
그렇게 해봐도 표준이 다르게 나옵니다.
브라우져 기능이 전혀 통일이 안되었는데, 웹표준이 뭔 의미가 있습니까?
그거 공뭔적인 발상 입니다.
웹표준으로 제작된 사이트를 ie8로 보는데, 집과 사무실에서 다르게 나옵니다.
그게 웹표준의 현실입니다.
글쿠 엑티스x 우습게 보지 마십시오.
미국 쇼핑몰의 표준? 그거 보안 꽝입니다.
미국의 쇼핑몰 결제 해보십시오. 진짜 후덜덜 거립니다.
도난카드로 결제 들어오고 해킹 치는게 얼마나 많은지 아십니까?
그나마 active가 한국의 보안을 지금까지 지켜온게 현실이란거 왜 부인하는겁니까?
activeX같은 client 인증과 보안세션의 유지 없이,
카드번호만 넣고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국제표준. 그거 지켜야 하는걸까요?
애플앱이나 해외대상으로 개발하는 것이면 utf-8 민감하겠지만 그게 아니쟎아요.
그누보드 자체가 해외목적으로 개발된게 아니라서, 언어셋 바꾸려면 아예 다시
개발하는 수준의 노력이 들어 갑니다.
저는 utf-8에 대한 집착이 isdn이나 3세대 이동통신 같은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화상전화로 망을 다 깔았지만, 지금 화상통화 몇통이나 하고 있습니까?
대부분 2G로 충분한데, 표준이란 것에 집착해서 수십조 때려박에서 3G 만들었죠.
세계표준?
쓰는 사람이 많으면 그게 답 입니다.
중국넘들이 xp에 ie6 계속 고수라면 ms나 구글도 결국은 다시 과거로 돌아갑니다.
표준성이 왜 어려운지 실제 얼마나 경험을 해봤습니까?
표준개발한 코드가 브라우져마다 다 다르게 나오는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nhn 같은 대형회사들은 개발자와 웹표준 관리하는 팀이 따로 분리가 됩니다.
웹표준 하는 넘은 하루종일 브라우져 호환성만 맞춰야 하는게 현실인데
그렇게 해봐도 표준이 다르게 나옵니다.
브라우져 기능이 전혀 통일이 안되었는데, 웹표준이 뭔 의미가 있습니까?
그거 공뭔적인 발상 입니다.
웹표준으로 제작된 사이트를 ie8로 보는데, 집과 사무실에서 다르게 나옵니다.
그게 웹표준의 현실입니다.
글쿠 엑티스x 우습게 보지 마십시오.
미국 쇼핑몰의 표준? 그거 보안 꽝입니다.
미국의 쇼핑몰 결제 해보십시오. 진짜 후덜덜 거립니다.
도난카드로 결제 들어오고 해킹 치는게 얼마나 많은지 아십니까?
그나마 active가 한국의 보안을 지금까지 지켜온게 현실이란거 왜 부인하는겁니까?
activeX같은 client 인증과 보안세션의 유지 없이,
카드번호만 넣고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국제표준. 그거 지켜야 하는걸까요?
표준성이 왜 어려운지 실제 얼마나 경험을 해봤습니까?
표준개발한 코드가 브라우져마다 다 다르게 나오는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nhn 같은 대형회사들은 개발자와 웹표준 관리하는 팀이 따로 분리가 됩니다.
웹표준 하는 넘은 하루종일 브라우져 호환성만 맞춰야 하는게 현실인데
그렇게 해봐도 표준이 다르게 나옵니다.
으로 제작된 사이트를 ie8로 보는데, 집과 사무실에서 다르게 나옵니다.
그게 웹표준의 현실입니다.
------------------------------------------------------------------
ㅋㅋㅋ 개발보다 css 공부부터 하심이 어떻실런지요?
표준개발한 코드가 브라우져마다 다 다르게 나오는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nhn 같은 대형회사들은 개발자와 웹표준 관리하는 팀이 따로 분리가 됩니다.
웹표준 하는 넘은 하루종일 브라우져 호환성만 맞춰야 하는게 현실인데
그렇게 해봐도 표준이 다르게 나옵니다.
으로 제작된 사이트를 ie8로 보는데, 집과 사무실에서 다르게 나옵니다.
그게 웹표준의 현실입니다.
------------------------------------------------------------------
ㅋㅋㅋ 개발보다 css 공부부터 하심이 어떻실런지요?
css나 웹표준에 관심있으면, 공개된 그누 스킨 쓰지 마세요.
그누보드 자체를 안쓰는게 최선이죠.
웹표준 잘 지키는 xe로 고고씽~ 하심이 어떨런지요?
그누보드 자체를 안쓰는게 최선이죠.
웹표준 잘 지키는 xe로 고고씽~ 하심이 어떨런지요?

저도 웹표준 중요한건 압니다.
그리고 저도 UTF-8을 선호합니다. 제가 국내 작업분보다 해외 작업분을 우선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불당님 말씀처럼.. 과연.. 과연.. 한국 내 서비스에서 굳이 UTF-8 에 집착해야할까란 것에 동의합니다.
물론 UTF-8로 나아감도 좋고.. UTF-8의 대다수 쌍방을 충족시키기는 합니다.
저도 UTF-8빠에 가깝지만... 언어판을 한 개로 해서 낸 것으로 인해 개발자분들에게 투덜거리는 것은 왠지 모순이라 생각할 뿐입니다.
하나의 언어판이라도 감사한 일이고.. 모두 다 해서 내놓는다면 더욱 감사할 뿐이죠.
저도 이거 별개의 이야기지만..
전 플래쉬빠입니다만..
플래쉬는 차후 없어질 항목 중 하나라고 봐집니다.
적어도 무비 파트만 빼고 다 넘어가리라 봐집니다.
그리고 저도 UTF-8을 선호합니다. 제가 국내 작업분보다 해외 작업분을 우선시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불당님 말씀처럼.. 과연.. 과연.. 한국 내 서비스에서 굳이 UTF-8 에 집착해야할까란 것에 동의합니다.
물론 UTF-8로 나아감도 좋고.. UTF-8의 대다수 쌍방을 충족시키기는 합니다.
저도 UTF-8빠에 가깝지만... 언어판을 한 개로 해서 낸 것으로 인해 개발자분들에게 투덜거리는 것은 왠지 모순이라 생각할 뿐입니다.
하나의 언어판이라도 감사한 일이고.. 모두 다 해서 내놓는다면 더욱 감사할 뿐이죠.
저도 이거 별개의 이야기지만..
전 플래쉬빠입니다만..
플래쉬는 차후 없어질 항목 중 하나라고 봐집니다.
적어도 무비 파트만 빼고 다 넘어가리라 봐집니다.

시간 나는 사람이 만들어 올리면 되죠....^^;;
단지, 서로를 모욕하는 발언은 삼가 해야 겠지요.
이런글이 생각 나네요....ㅎㅎ
"글은 인터넷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유일한 모습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단지, 서로를 모욕하는 발언은 삼가 해야 겠지요.
이런글이 생각 나네요....ㅎㅎ
"글은 인터넷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유일한 모습입니다."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보다 같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