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우리나라가 노벨문학상을 탈 수 없는 이유? 정보
[펌]우리나라가 노벨문학상을 탈 수 없는 이유?
본문
공감가는 제가 이상한건가요?;
추천
0
0
댓글 12개

심사위원이 한글을 읽고 느끼게 해 주어야죠.
국력이 문제죠.
문자가 없는 언어를 쓰는 모든 민족에서 한글을 보급하구요.
국력이 문제죠.
문자가 없는 언어를 쓰는 모든 민족에서 한글을 보급하구요.

역시 제일 큰 문제는 국력이였네요 ㅠ.ㅠ..

지금은 가르침을 접었지만 저도 한때 국어를 가르쳤던 입장에서, 위 선생님의 국어예찬론은 저 역시 공감하는 바입니다. 음성상징성의 발달은 우리 국어의 주요한 특질이요, 또한 세계 어느 나라의 그것보다도 다양한 특성으로 뿌리내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비단 부사 뿐만 아니라, 명사나 용언(동사, 형용사) 등에서도 음성상징을 이용한 다양한 언어 조합이나 언어 구사가 세계 어느 나라도 따라올 수 없는 정도니까요.
그런데, 우리 국어의 이러한 특질을 외국어로 오롯이 번역해낼 수 없기에 노벨문학상 수상이 나올 수 없다는 저 선생님의 주장은 좀 뻥~이죠.^^
문학은 사회를 담아내고, 그 사회의 사상과 철학을 담아낸다는 것은 이미 학교 국어시간에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노벨문학상의 선정은, 문학의 이러한 반영론적 특성만을 심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작가가 문학 안에 담아낸 철학이 세계적 보편성에 부합하는지,
작가의 문학 속 가치관이 세계사적인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지,
문학 속에 담아낸 작가 정신이 그의 삶 속에 얼마나 실천적으로 녹아있는지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즉, 문학 속의 언어가 얼마나 뛰어나게 형상화되었는가의 문제보다는, 문학 속 철학을 살핀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요.^^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에까지 거론되었던 우리나라의 김지하 선생이나 고은 선생 같은 경우도, 그분들의 삶과 문학이 '독재'에 항거하고 인류의 민주주의적 진보 욕구에 그 궤를 같이한다는 대명제 속에서 가능했던 일입니다. 문학적 언어만으로 살핀다면, 김지하 선생의 그것은 날카롭고 투박하며 고은 선생의 그것은 담백하고 정갈미 있다고 할까요?
위 동영상 속 선생님의 강의는, 과거 제 동료였던 영어선생님들도 많이 '써먹던' 것입니다.^^
영어 잘 하려면 국어 공부 열심히 하라는 취지요, 또 그만큼 영어 열심히 해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드높이는 인재가 되어달라는 주문이기도 합니다. 뭐... 틀린 말씀은 아니지요? ^^
그런데, 우리 국어의 이러한 특질을 외국어로 오롯이 번역해낼 수 없기에 노벨문학상 수상이 나올 수 없다는 저 선생님의 주장은 좀 뻥~이죠.^^
문학은 사회를 담아내고, 그 사회의 사상과 철학을 담아낸다는 것은 이미 학교 국어시간에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노벨문학상의 선정은, 문학의 이러한 반영론적 특성만을 심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작가가 문학 안에 담아낸 철학이 세계적 보편성에 부합하는지,
작가의 문학 속 가치관이 세계사적인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지,
문학 속에 담아낸 작가 정신이 그의 삶 속에 얼마나 실천적으로 녹아있는지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즉, 문학 속의 언어가 얼마나 뛰어나게 형상화되었는가의 문제보다는, 문학 속 철학을 살핀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요.^^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에까지 거론되었던 우리나라의 김지하 선생이나 고은 선생 같은 경우도, 그분들의 삶과 문학이 '독재'에 항거하고 인류의 민주주의적 진보 욕구에 그 궤를 같이한다는 대명제 속에서 가능했던 일입니다. 문학적 언어만으로 살핀다면, 김지하 선생의 그것은 날카롭고 투박하며 고은 선생의 그것은 담백하고 정갈미 있다고 할까요?
위 동영상 속 선생님의 강의는, 과거 제 동료였던 영어선생님들도 많이 '써먹던' 것입니다.^^
영어 잘 하려면 국어 공부 열심히 하라는 취지요, 또 그만큼 영어 열심히 해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드높이는 인재가 되어달라는 주문이기도 합니다. 뭐... 틀린 말씀은 아니지요? ^^

이러한 깊은뜻이 있었다니...
얕은지식으로는 헤아릴수 없는 뜻이였네요;;
한모금님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 감사 합니다!
얕은지식으로는 헤아릴수 없는 뜻이였네요;;
한모금님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 감사 합니다!

에구 별 말씀을요. 저로서는 오랜만에 강사 적 일을 회고하는 기회가 되었네요.^^

덧붙여서, 초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두신 부모님 혹은 유치원생 자녀를 두신 부모님이신 회원분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언어 교육의 가장 기본은 모국어 교육입니다. (모국어란, 우리 국어를 말하겠지요.)
국어 구사 능력이 기초적으로 부실하거나 그 이해 능력이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국어(영어)를 교육의 우선 순위로 두는 일은 자칫 자녀의 미래에 위험한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언어의 특성에 따라 사고 체계가 자리잡기 때문인데요. 언어 시스템(언어 체계)에 따라서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것은 익히 아시리라 믿습니다. 간단한 예로, 목적어를 가운데 두고 생각하는 언어체계(우리말)와 목적어를 맨 뒤에 두고 생각하는 그것(영어)은 자신의 환경과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차이를 불러옵니다. 따라서 모국어에 대해 아직 언어적으로 미성숙한 어린이에게 외국어 교육을 우선시하는 것은, 가치 체계의 혼동이나 학습능력의 저하 등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습니다.(제가 20년 가까이 통계내 본 결과입니다.)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놓인 어린이가 2개 이상의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환경((부모가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나 혹은 그런 환경))이 아니라면, 반드시 우선적으로 모국어인 국어를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주세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좋은 교육 방법을 논한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습관>입니다.
부모님이 책을 많이 보는 가정의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환경 속 아이들의 학습태도가 두드러지게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것은 경제적 상황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아이들의 최초 학습 모델은 부모이기 때문인데요. 부모님의 행동을 따라하며 당장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나가는 것이 '어린 학생'들의 행동 양식이기 때문에, 자녀 앞에서는 항상 책을 가까이 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진 통계상, 어린아이들이 특히 아빠를 많이 따라한다는 사실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언어 교육의 가장 기본은 모국어 교육입니다. (모국어란, 우리 국어를 말하겠지요.)
국어 구사 능력이 기초적으로 부실하거나 그 이해 능력이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국어(영어)를 교육의 우선 순위로 두는 일은 자칫 자녀의 미래에 위험한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언어의 특성에 따라 사고 체계가 자리잡기 때문인데요. 언어 시스템(언어 체계)에 따라서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것은 익히 아시리라 믿습니다. 간단한 예로, 목적어를 가운데 두고 생각하는 언어체계(우리말)와 목적어를 맨 뒤에 두고 생각하는 그것(영어)은 자신의 환경과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차이를 불러옵니다. 따라서 모국어에 대해 아직 언어적으로 미성숙한 어린이에게 외국어 교육을 우선시하는 것은, 가치 체계의 혼동이나 학습능력의 저하 등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습니다.(제가 20년 가까이 통계내 본 결과입니다.)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놓인 어린이가 2개 이상의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환경((부모가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나 혹은 그런 환경))이 아니라면, 반드시 우선적으로 모국어인 국어를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주세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좋은 교육 방법을 논한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습관>입니다.
부모님이 책을 많이 보는 가정의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환경 속 아이들의 학습태도가 두드러지게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것은 경제적 상황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아이들의 최초 학습 모델은 부모이기 때문인데요. 부모님의 행동을 따라하며 당장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나가는 것이 '어린 학생'들의 행동 양식이기 때문에, 자녀 앞에서는 항상 책을 가까이 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진 통계상, 어린아이들이 특히 아빠를 많이 따라한다는 사실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글을 올려놓고 보니, 제가 주절주절 너무 많이 떠들었는데요.;;
바로 위↑ 내용은, 예비부모, 예비아빠이신 분들도 기억해 두시면 후일에 도움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바로 위↑ 내용은, 예비부모, 예비아빠이신 분들도 기억해 두시면 후일에 도움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물한모금님.. 매번 느끼는거지만 긴 글을 쓰시는데도 참 빠르고,
논리정연하게 잘 쓰시네요. 멋지고 대단하십니다..^^
논리정연하게 잘 쓰시네요. 멋지고 대단하십니다..^^

에구구... 찬찬히 보시면 제 글은 정말 두서 없습니다.;;
프리야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__)
프리야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__)

아뇨.. 정말로 물한모금님 글은 저에게 잘 읽혀지는게 좋습니다.
잘 읽혀지니.. 좋은 글임에 분명합니다..^^
잘 읽혀지니.. 좋은 글임에 분명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네요

오 물한모금님 한모금의물같은 말씀이십니다. 잘새겨들을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