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5의 비밀 정보
RAID5의 비밀
본문
하드디스크 4개라고 가정합니다.
level 5의 이론적개념은 검색해보시면 나와요
그럼 level 0으로 3개묶은거 + 하나는백업용 이어야 합니다.
실제 속도역시 그렇게 나오느냐? 오차범위내에서 일치합니다.
그런데 왜 level 5로 묶어본 사람들이 하나같이 속도가 안나온다고 하는걸까요?
여기서 부터는 제 나름대로의 결론입니다.
위와같이 가정하면 단일하드에 비해 속도가 3배 빨라져야합니다. 또 실제 3배 빨라집니다.
그러나 하드때문에 생기는 딜레이가 3초에서 1초로 줄어든거지 여전히 딜레이가 없어지진 않죠
예를들어 포토샵20메가짜리파일 10장 열때 level 5로 묶으면 1분걸리던게 20초로 줄어들까요?
하드에서 메모리로 저장시키고 다시 하드에다 스크레치만들고...즉 하드혼자 작업하는게 아니에요
장비를 오래만지다 보니 이젠 무거운 작업을하면서 대기중일때 어떤놈이 얼마만큼 작업하고 있는지 감이옵니다.
하드디스크의 작업영역을 이해하시는 분이라면 속도향상을 체감하시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빨라진걸 느끼지 못합니다.
컴터부품중 가장느린게 하드라고는 하지만 하드하나 빨라졌다고 전체속도가 획기적으로 올라가는건 아닙니다.
또 1배와 3배는 똥이나 된장이지 그리 실감할수있는 속도도 아니고요 그러나 분명 디스크 읽기쓰기속도는 3배가 빨라진건 맞습니다.
level 5의 이론적개념은 검색해보시면 나와요
그럼 level 0으로 3개묶은거 + 하나는백업용 이어야 합니다.
실제 속도역시 그렇게 나오느냐? 오차범위내에서 일치합니다.
그런데 왜 level 5로 묶어본 사람들이 하나같이 속도가 안나온다고 하는걸까요?
여기서 부터는 제 나름대로의 결론입니다.
위와같이 가정하면 단일하드에 비해 속도가 3배 빨라져야합니다. 또 실제 3배 빨라집니다.
그러나 하드때문에 생기는 딜레이가 3초에서 1초로 줄어든거지 여전히 딜레이가 없어지진 않죠
예를들어 포토샵20메가짜리파일 10장 열때 level 5로 묶으면 1분걸리던게 20초로 줄어들까요?
하드에서 메모리로 저장시키고 다시 하드에다 스크레치만들고...즉 하드혼자 작업하는게 아니에요
장비를 오래만지다 보니 이젠 무거운 작업을하면서 대기중일때 어떤놈이 얼마만큼 작업하고 있는지 감이옵니다.
하드디스크의 작업영역을 이해하시는 분이라면 속도향상을 체감하시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빨라진걸 느끼지 못합니다.
컴터부품중 가장느린게 하드라고는 하지만 하드하나 빨라졌다고 전체속도가 획기적으로 올라가는건 아닙니다.
또 1배와 3배는 똥이나 된장이지 그리 실감할수있는 속도도 아니고요 그러나 분명 디스크 읽기쓰기속도는 3배가 빨라진건 맞습니다.
추천
0
0
댓글 3개
이런 부분도 있습니다. db 튜닝을 하는 경우 프로그램내의 sql을 튜닝합니다.
그런데 sql을 튜닝하지 않고도 튜닝한 것과 같은 결과가 나올때가 있습니다.
DISK 를 좋은걸 사용하면 2-3배의 속도가 나옵니다. 투자한 값을 합니다.
그래서 한때 유행한 db튜닝 쪽 사람들이 좀 줄었습니다.
raid 5는 백업과 속도를 겸한것인데, 작은 시스템보다는 대용량이고, 안정적이고 속도도 보장받는쪽으로 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됩니다.
대용량처리에서는 raid 5가 보험을 든것 같기 때문에 대부분 그렇게 구성하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sql을 튜닝하지 않고도 튜닝한 것과 같은 결과가 나올때가 있습니다.
DISK 를 좋은걸 사용하면 2-3배의 속도가 나옵니다. 투자한 값을 합니다.
그래서 한때 유행한 db튜닝 쪽 사람들이 좀 줄었습니다.
raid 5는 백업과 속도를 겸한것인데, 작은 시스템보다는 대용량이고, 안정적이고 속도도 보장받는쪽으로 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됩니다.
대용량처리에서는 raid 5가 보험을 든것 같기 때문에 대부분 그렇게 구성하는것 같습니다.

서버는 RAID5에서 RAID카드대역폭만큼의 성능향상이 있어요
이건뭐 태클걸 꺼리도 없죠
문제는 포토샵 사용하면서 왜 안빨라지냐고 궁금해하는 분들이죠 ^^
이건뭐 태클걸 꺼리도 없죠
문제는 포토샵 사용하면서 왜 안빨라지냐고 궁금해하는 분들이죠 ^^
아. 피씨... 어떻게 사용하는게 좋은지는 개인차가 있겠네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피씨쪽도 어느게 좋은지 한번 공부해 봐야겠습니다.
하드를 많이 달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차라리 윈도에서 사용하는 시스템temp 영역설정할때 물리적디스크를 다르게 나누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피씨쪽도 어느게 좋은지 한번 공부해 봐야겠습니다.
하드를 많이 달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차라리 윈도에서 사용하는 시스템temp 영역설정할때 물리적디스크를 다르게 나누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