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사상과 보양악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양생사상과 보양악 정보

기타 양생사상과 보양악

본문

--------------------------------------------------------------------------------
양생은 고대의 보건위생 또는 질병예방법으로 한의학의 양생사상은 기본적으로 도·선가의 천지인 합일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

양생사상과 보양약
 
 1. 양생의 개념 

 양생은 고대의 보건위생 또는 질병예방법으로 한의학의 양생사상은 기본적으로 도·선가의 천지인 합일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즉 인간은 소우주이므로 대자연의 순환법칙과 기후변화의 이치를 이해하고 이것에 순응하면 생하고, 거역하면 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운동·정서 및 성생활 등 일체의 생활규범을 규칙적으로 하면 몸이 건강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장수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타고난 수명도 다할 수 없다는 것이 기본원리이다. 

 황제내경이라고 하는 한의학의 고전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상고에 도를 알던 사람은 음양의 이치를 본받고, 양생의 법을 따르며, 음식을 절도있게 먹고, 기거를 바르게 하며, 함부로 몸을 무리하여 피곤하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이 함께 온전하여서 나이 100세를 넘어서도 노쇠하지 않고 천수를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사람들은 이와는 달리 술을 장국 마시듯 하고, 망령된 것을 오히려 정상인 것으로 삼으며, 술에 취하여 성행위를 함으로써 욕정이 정을 마르게 하고 본디 지니고 있던 진기를 흐려버리니 정기가 충만할 수 없으며, 또한 신을 부릴 줄 모르고 욕심을 채우는 데만 빠져있으며 양생을 하는데서 오는 참 즐거움을 거스르고 기거에는 절도가 없으니
 그러한 까닭에 반백세, 즉 50살만 되어도 동작이 느려지고 노쇠하게 된다." 

 여기에서 특히 강조된 것은 일반적인 생활규범 외에 정·기·신의 존재인데 한의학에서는 이들을 인명의 삼보라고 한다. 

 인명의 삼보란 다시 말하면 생명의 3대요소라는 뜻으로 생명현상은 곧 정·기·신의 상호조화와 변화의 결과 외에 아무 것도 아니라 할 수 있다. 

 정이란 생명활동의 물질적 기초로서 생식과 개체유지의 기본요소이고, 진기는 음식물에서 흡수한 영양물질과 공기중에서 호흡을 통하여 흡입한 자연의 기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생명의 에너지이고, 신이란 의식과 사상을 포함한 일체의 생명현상의 총체로서 생명현상 그 자체가 바로 신이다. 

 여기에서 정·기·신을 손상하면 천수를 누릴 수 없고 이것을 충족케 하면 건강과 장수를 누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양생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식섭생·기거생활·성생활·정신수양 등에 대한 준칙이 강조되고, 도인이라는 운동요법, 안교라는 물리요법, 조식이라고 하는 호흡요법 등이 개발되었으며, 일찍부터 보양약이라고 하는
 소위 건강장수를 위한 처방들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2. 보양약에 대한 이해 

 한의학에서 보양약이라 하면 정ㅑ기ㅑ신을 보양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임상에서 치료이론으로 분류되는 신약과 같은 범주에 속하기는 하나 그 개념은 다소 상이하다. 

 어쨌든, 예로부터 보양약들은 순전히 병 없이 오래 살게 할 무병장수의 목적으로 쓰여온 것이 많다. 

 이러한 처방들은 전신의 기능을 잘 조절하고 도와주며 병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어 몸을 건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믿어져 오고 있다. 

 오랜 옛날부터 건강과 장수를 위한 목적에 쓰여온 처방들은 한의학 이론으로 보아 대부분 신과 비를 보하면서 약해진 장기들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방향에서 구성되었거나 그 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규명은 아직 부족한 바가 많다. 

 그러므로 보양약을 쓸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적응증을 잘 가려서 써야한다. 

 대개 보약은 약한 사람은 물론 건강한 사람이 먹으면 더 건강해 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건강과 장수를 위한 처방은 몸이 튼튼한 사람에게는 적당하지 않다. 

 몸이 약하여 주위환경이나 기후의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며, 주위환경이나 기후의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며, 병에 걸리면 저항력이 약하여 쉽게 낫지 않는 사람들에게 써야 한다. 

 보양약에 쓰이는 약재들은 대부분 독성이 적어서 식품에 가까운 것이 많지만 보양처방은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어서 아무에게나 맞는 것이 아니므로 처음에는 적은 양을 먹어서 반응을 보고 적응이 되는가를 보아가며 써야한다. 

 둘째, 약의 양과 약물의 형태, 먹는 시간 등을 옳게 알고 써야 한다. 

 일반적으로 급성질환을 치료하는데는 적절한 분량의 약이 신속하게 흡수되어야 하므로 탕제(끓여서 짠 약)가 적당하지만, 만성질환이나 특히 생리적 노쇠보다 일찍 늙는 것을 막고 몸을 민감하게 하며 장수할 목적으로 쓰는 약은 알약이나 조청과 같은 고체형태로 만들어 적은 양을 비교적 오랜 기간 꾸준하게 쓰는 것이 좋다. 

 먹는 횟수도 급한 증세에는 1일 3-4회씩 쓸 수 있으나 보약은 1일 조석으로 2회 정도가 적당하다. 

 약을 먹는 시간은 병이 상체에 있으면 식후, 하체에 있으면 식전, 뱃속에 병이 있으면 공복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보양약들은 식간에 복용하는 것이 위에 부담도 적고 흡수에도 도움이 된다. 

 셋째, 보양약 중에는 비위의 기능에 부담을 주어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약재들이 적지 않으므로 체질과 증상에 따라서는 비위의 기능을 도와주는 약을 적당하게 배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근래 건강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위 강장식품이나 보양약들이 무원칙하게 남용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어떤 종류의 보약이나 강장식품도 그것만으로는 사람이 살 수 없다. 

 건강과 장수는 영양의 전체적인 균형이 기본이므로 어떻게 하면 균형있는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가의 차원에서 보양약이나 강장식품도 써야 할 것이다. 

 건강이란 한의학적으로 음양화평의 상태, 즉 몸의 생리적 균형이 잘 갖추어져 있는 상태인데 이런 때에 특성이 있는 약이나 식품을 계속 쓰면 생화학적평형·영양상의 균형이 오히려 파괴되어 예기치 않은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무리 좋은 보양약이라도 부족한 부분·허약한 기능을 보충해주는 차원에서 알맞은 약이나 처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3. 동의보감의 연년약 

 문헌에 나타나 있는 보양처방이나 단방들은 많은 종류가 있으나 여기서는 동의보감에 수록되어 있는 연년익수약이 가운데에 몇 가지만 소개한다. 

 1) 경옥고(瓊玉膏) : 생지황·인삼·백복령·꿀 등의 약재를 제법에 따라 처리하여 졸인 엿의 형태로 만든다. 

 한번에 1-2숟가락씩 따뜻한 술이나 물에 타서 1일 2-3회 먹는다. 

 이 약은 정과 수를 보충하고 기혈을 보하여 늙는 것을 막고 몸을 튼튼하게 하여 허로로 모리카락이 일찍 희고, 이빨이 흔들리며 쉽게 피곤한데 쓴다. 

 소모성질환에도 보약으로 쓸 수 있다. 

 2)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 적하수오·백하수오·지골피·백복령·생건지황·숙지황·천문동·맥문동·인삼 이상의 약재를 법에 따라 처리 가공하여 오자대(약 0.3g)의 알약을 만들어서 1회에 30-50알씩 따뜻한 술로 먹는다. 

 이 약은 기혈이 부족하여 몸이 허약하고 신기가 허하여 팔다리에 힘이 없고 몸이 여위고 얼굴이 창백하고 머리칼이 일찍 희어지는 등 조로현상에 쓴다. 

 건강장수를 목적으로 흔히 쓰는 약이다. 

 3)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토사자·육종용·천문동·맥문동·생지황·숙지황·산약·우슬·두충·파극·
구기자·산수유·백복령·인삼·오미자·목향·백자인·복분자·차전자·지골피·  석창포·천초·원지·택사 이상의 약제를 복잡한 제조법에 따라 처리하여 밀가루풀로 반죽을 하여 오자대(약 0.3g)의 알약을 만들어 두고 1회에 80알씩 따뜻한 술로 공복에 먹는다. 

 여성의 경우는 당귀·적석지 등을 더 넣은 것이 좋다. 

 약을 먹는 동안에는 생무·파·마늘·신 음식을 삼가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 약은 늙어가면서 팔다리의 힘이 없고 머리칼이 일찍 희고 기억력이 낮아지고 시력이 약해지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사람 또는 중년에 양기가 부족하여 음위증이 있는데 쓴다. 

 예로부터 장수보약으로 흔하게 쓰여지고 있다. 

 4)반룡환(斑龍丸) : 녹각교·녹각상·토사자·백자인·숙지황·백복령·파고지 이상의 약을 가루내어 녹각교를 술에 녹인 것으로 오자대(약 0.3g)의 알약을 만들어 1회에 50알씩 소금을 넣고 끓인 물로 먹는다. 

 노인들의 강장보약으로 쓰인다. 

 특히 소변이 잦고, 잠이 안 오며 정력이 부족한 증상에 좋다. 

 이밖에도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5) 고본주(固本酒) : 우슬·백하수오·구기자·천문동·맥문동·생지황· 숙지황·당귀·인삼·육계·찹쌀·누룩 등을 재료로 하여 빚은 약술이다. 

 머리칼을 검게 하고 얼굴을 예쁘게 하며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추천
0

댓글 0개

전체 195,320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진행중 포인트경매

  1. 참여2 회 시작24.04.25 20:23 종료24.05.02 20:23
  2. 참여92 회 시작24.04.19 15:40 종료24.04.26 15:40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4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