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화 소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정보
펌 웹표준화 소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본문
http://forums.mozilla.or.kr/viewtopic.php?t=3960
이런글 보면 표준화소스를 사용 안할수가 없습니다.
최소한 그누보드 사용자들 만이라도 웹표준화 소스를 사용했으면 합니다.
이런말하는 저도 웹표준화 소스가 어떤건지 모릅니다.
이제부터 공부하려구요. ^^*
이런글 보면 표준화소스를 사용 안할수가 없습니다.
최소한 그누보드 사용자들 만이라도 웹표준화 소스를 사용했으면 합니다.
이런말하는 저도 웹표준화 소스가 어떤건지 모릅니다.
이제부터 공부하려구요. ^^*
추천
0
0
댓글 8개
아 그렇군요. 오해하셨다면 죄송합니다. 그런의도로 말한게 아닌데 국어를 잘 못해서요. 국어 점수도 엉망입니다. 조금 이해해 주세요. ^^ 장애인을 조금 차별하는듯한 느낌이 들어 조금 억화심정에 그랬나 봅니다. 물론 그런뜻으로 말한것 아니란거 잘 알고있지만 시간이 얼마 없어 급하게 쓰느라 두서없이 쓴것 같습니다.
그런데 관공서 같은곳에 장애인용 페이지가 따로 있는가 라는 부분에 있어서는
저의 경우 대게의 일반적인 사이트를 말한겁니다. 그런 큰 사이트라면 정말 따로 만들 필요가 있기도 하죠.
복잡한데다 규모도 크니까요. 광고등을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 전달하도록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EBS의 경우만 해도 자체적으로 음성지원까지 되는걸로 알고 있고 자체 단축키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대신 사이트는 단순하고 글자 사이즈는 확대축소가 가능하고 대체적으로 텍스트 위주로 되어있고 보통의 웹페이지보다 기본 글자사이즈를 크게 해 놓죠. (그런것치고 EBS사이트의 디자인은 좋은편입니다. ^^)
그저 개인이 만든 일반적인 사이트에서까지 그정도로 사이트를 따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하는것도 아니고
번거로운 작업을 두번 하라는것도 아닙니다. 그저 취미나 개인 홈페이지 하나 만드는데
누가 시각장애인용 페이지까지 하나 더 만들겠습니까?
그냥 여기 SIR 사이트 같은 정도로만 만들어도 별도의 도움을 주는 확대프로그램이나 스크린리더등으로 할 수 있으니 최소한의 규격만 지켜 달라 그런 의미가 아닐까요? ^^
그런데 관공서 같은곳에 장애인용 페이지가 따로 있는가 라는 부분에 있어서는
저의 경우 대게의 일반적인 사이트를 말한겁니다. 그런 큰 사이트라면 정말 따로 만들 필요가 있기도 하죠.
복잡한데다 규모도 크니까요. 광고등을 배제하고 필요한 정보만 전달하도록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EBS의 경우만 해도 자체적으로 음성지원까지 되는걸로 알고 있고 자체 단축키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대신 사이트는 단순하고 글자 사이즈는 확대축소가 가능하고 대체적으로 텍스트 위주로 되어있고 보통의 웹페이지보다 기본 글자사이즈를 크게 해 놓죠. (그런것치고 EBS사이트의 디자인은 좋은편입니다. ^^)
그저 개인이 만든 일반적인 사이트에서까지 그정도로 사이트를 따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하는것도 아니고
번거로운 작업을 두번 하라는것도 아닙니다. 그저 취미나 개인 홈페이지 하나 만드는데
누가 시각장애인용 페이지까지 하나 더 만들겠습니까?
그냥 여기 SIR 사이트 같은 정도로만 만들어도 별도의 도움을 주는 확대프로그램이나 스크린리더등으로 할 수 있으니 최소한의 규격만 지켜 달라 그런 의미가 아닐까요? ^^

죄송은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시각장애인 얘기가 나와 말씀드리자면 시각장애인들은 화면확대프로그램도 있고 음성읽어주는 프로그램도 발달되어있어 요새는 전맹들도 메일을 주고 받고 게시판에 글을 올리곤 합니다. 이것도 그나마 텍스트여야 가능하지요. 플래시나 그림파일은 어찌할 도리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불필요한 자바스크립트로 이것저것 창이 띄워지거나 그런점만 없으면 일반적인 웹서핑을 하는데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는겁니다. 요새 플래시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런경우라면 시각장애인용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야겠지요. 플래시의 막강한 기능을 그렇다고 안쓰기도 그렇잖아요. 하지만 다른 일반적인 부분에 있어서만큼은 어느정도 표준을 따라준다면 굳이 시각장애인용 페이지를 따로 할애하면서까지 만들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왜 따로 만들어야하죠? 리더기가 완벽하지 않다면 따로 만든페이지라도 게시판은 같은걸 쓸텐데..설마 시각장애인용 전용공간으로 게시판을 따로 만들어 장애인들끼리만 이용하라는 것은 아니겠죠? 시각장애인도 같은 사람입니다. ^^ 그런데 디자인을 하는것도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즐겁게 하는 측면도 있고 어떻게 보면 정보를 그래픽으로써 쉽게 전달하는 의미도 있고 자바스크립트 같은건 쓰지 않기도 그렇고..개중에는 꾸미는것도 있지만 유용한 기능을 가진 스크립트들이 있어서..참 난감하죠. 말씀대로 따로만들거나 RSS를 활용하거나 위에 링크 따라가봤더니 리더기에서 웹표준화 사이트에 한해서는 잘 작동하게 만든다 하니..무분별한 기교를 부리는 수준만 아니라면 되겠죠. ^^

글 쓰실때... 가끔 `Enter`도 쳐 주면 보기 좋을 듯 합니다.
> 어느정도 표준을 따라준다면 굳이 시각장애인용 페이지를 따로 할애하면서까지 만들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왜 따로 만들어야하죠?
> 설마 시각장애인용 전용공간으로 게시판을 따로 만들어 장애인들끼리만 이용하라는 것은 아니겠죠? 시각장애인도 같은 사람입니다. ^^
관공서 같은 곳에 `장애우용 페이지`를 왜? 만들 었으며, 왜? 필요 한가?를 이해 하셔야 할 듯 합니다.
그리고 말씀 잘 하시다가 `설마`로 시작하는 `비화하는 어투`는 좀 보기가 않좋군요.
> 어느정도 표준을 따라준다면 굳이 시각장애인용 페이지를 따로 할애하면서까지 만들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왜 따로 만들어야하죠?
> 설마 시각장애인용 전용공간으로 게시판을 따로 만들어 장애인들끼리만 이용하라는 것은 아니겠죠? 시각장애인도 같은 사람입니다. ^^
관공서 같은 곳에 `장애우용 페이지`를 왜? 만들 었으며, 왜? 필요 한가?를 이해 하셔야 할 듯 합니다.
그리고 말씀 잘 하시다가 `설마`로 시작하는 `비화하는 어투`는 좀 보기가 않좋군요.
개인 적으로 볼 때 접근성 문제는 홈페이지에 기교(?)를 적용하기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것같습니다.
예로 제가 간단한 액티브엑스를 홈페이지내에 장착했을때..익스에서는 작동하지만
타 브라우저에서는 안보이는 현상이나..테그를 요상(?)한것을 넣었을때나...
그냥..텍스트와 그림..그외 일반적인것을 나열하면 ...접근성에는 전혀문제가 없지만
멋지게 보이는 혹은 기능의 구현이 막혀진다는데 문제가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표준화가될려면 홈페이지를 볼수있는 그것(?)을 볼수있는 뷰어를 비롯하여
저작도구 등...많은부분들이 따라와져야 표준화가 가능하겠지요../
또한 브라우저들도 협회같은걸 세워서
공통된걸로 메뉴얼을 제시해야하고.....기타...여러가지...에구구,,,
예로 제가 간단한 액티브엑스를 홈페이지내에 장착했을때..익스에서는 작동하지만
타 브라우저에서는 안보이는 현상이나..테그를 요상(?)한것을 넣었을때나...
그냥..텍스트와 그림..그외 일반적인것을 나열하면 ...접근성에는 전혀문제가 없지만
멋지게 보이는 혹은 기능의 구현이 막혀진다는데 문제가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표준화가될려면 홈페이지를 볼수있는 그것(?)을 볼수있는 뷰어를 비롯하여
저작도구 등...많은부분들이 따라와져야 표준화가 가능하겠지요../
또한 브라우저들도 협회같은걸 세워서
공통된걸로 메뉴얼을 제시해야하고.....기타...여러가지...에구구,,,

글 올려진 `나그네`라는 분의 글을 보니,
시각장애 1급이란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띄어쓰기와 따옴표까지
적절히 구사(?)하며 많은 글을 썼다는 것이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시각장애1급이면 앞이 거이 안보일 정도(?) 인데 말입니다)
정말로 시작장애인들을 위한 홈페이지라면 `웹표준화`가 아닌, 그 분들을 위한 페이지가 따로 있어야 정상입니다.
(어지간한 관공서는 하고 있죠)
웹 표준화가 재대로 되었다 한들... 그 분들이 쓰고 있는 `리더기`가 사람만큼 재대로 읽겠냐?..... 하는 것 입니다.
os 를 m$가 쥐고 있는 한...
은행, 대형 커뮤니티, 옥션 등...
이러한 형태(?)는 변함이 없을 것 입니다.
이런 일을 실로 그 들이 느꼈다면 벌써 부터 타 브라우저에 신경을 썼겠죠.
시각장애 1급이란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띄어쓰기와 따옴표까지
적절히 구사(?)하며 많은 글을 썼다는 것이 대단한 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시각장애1급이면 앞이 거이 안보일 정도(?) 인데 말입니다)
정말로 시작장애인들을 위한 홈페이지라면 `웹표준화`가 아닌, 그 분들을 위한 페이지가 따로 있어야 정상입니다.
(어지간한 관공서는 하고 있죠)
웹 표준화가 재대로 되었다 한들... 그 분들이 쓰고 있는 `리더기`가 사람만큼 재대로 읽겠냐?..... 하는 것 입니다.
os 를 m$가 쥐고 있는 한...
은행, 대형 커뮤니티, 옥션 등...
이러한 형태(?)는 변함이 없을 것 입니다.
이런 일을 실로 그 들이 느꼈다면 벌써 부터 타 브라우저에 신경을 썼겠죠.

>> 가장많이쓰고 가장 일반적인것이 표준이 되어야하지않을까요....
맞는 말씀입니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것이 표준이 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스가 접근성을 떨어 뜨린다는 것입니다.
위 링크에 걸린 글도 많이 사용하는 소스의 접근성 문제를 지적한 겁니다.
하지만 표준화소스를 사용하면 접근성의 문제는 없습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가장 많이쓰고 가장 일반적인것이 표준이 되어야 하지만 전제조건은 "접근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소수 이용자에 대한 배려이기도 하거니와 모두에게 유익하기 때문입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것이 표준이 되어야 합니다.
문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스가 접근성을 떨어 뜨린다는 것입니다.
위 링크에 걸린 글도 많이 사용하는 소스의 접근성 문제를 지적한 겁니다.
하지만 표준화소스를 사용하면 접근성의 문제는 없습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가장 많이쓰고 가장 일반적인것이 표준이 되어야 하지만 전제조건은 "접근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소수 이용자에 대한 배려이기도 하거니와 모두에게 유익하기 때문입니다.
링크글 잘 읽었습니다.
맨처음 홈을 기획할때 익스에서만 잘보이도록 만들다가 이곳그누에 들러서..뜻한바가 있어서
다시 그간 구성했던 홈을 모질라 /불여우/익스를 설치하고 다시 호환작업을 했는데..
엄청난 시간을 허비했지요...아마...익스에서만 잘보이도록 했다면 이미 지금쯤..많은 회원도 확보했고..
굴러갈수있었겠지요..^^;; 모든 부라우저에서 잘보이게 해야한다는 맞는 말인것같습니다.
그러나 웹표준??......제가 생각하기엔 표준=기준은 없습니다.
솔직히 많이 사용하는 부라우저가 기준점으로 잡아야합니다.
문서적인 면이라면 일정한 표준=기준이 있겠으나..
웹적인 면은 발전 혹은 진화하는 과정에서 기준도 변화한다고 봅니다.
후발적인 부라우저가 이것이 표준이다! 라고 한다면...글쎄요.....
가장많이쓰고 가장 일반적인것이 표준이 되어야하지않을까요....
맨처음 홈을 기획할때 익스에서만 잘보이도록 만들다가 이곳그누에 들러서..뜻한바가 있어서
다시 그간 구성했던 홈을 모질라 /불여우/익스를 설치하고 다시 호환작업을 했는데..
엄청난 시간을 허비했지요...아마...익스에서만 잘보이도록 했다면 이미 지금쯤..많은 회원도 확보했고..
굴러갈수있었겠지요..^^;; 모든 부라우저에서 잘보이게 해야한다는 맞는 말인것같습니다.
그러나 웹표준??......제가 생각하기엔 표준=기준은 없습니다.
솔직히 많이 사용하는 부라우저가 기준점으로 잡아야합니다.
문서적인 면이라면 일정한 표준=기준이 있겠으나..
웹적인 면은 발전 혹은 진화하는 과정에서 기준도 변화한다고 봅니다.
후발적인 부라우저가 이것이 표준이다! 라고 한다면...글쎄요.....
가장많이쓰고 가장 일반적인것이 표준이 되어야하지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