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L FAQ 정보
일반 GPL FAQ
본문
http://www.gnu.org/licenses/gpl-faq.ko.html#DoesTheGPLAllowMoney
혹시 GPL == 무료 라는 생각만을 가지고 있으신지요?
자신만 알고 있던 GPL 에 대한 오해를 나누어 볼까요?
혹시 GPL == 무료 라는 생각만을 가지고 있으신지요?
자신만 알고 있던 GPL 에 대한 오해를 나누어 볼까요?
추천
0
0
댓글 6개
GPL 특정 목적을 가지고 본다면 한없이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저는 GPL을 그냥 자유 라이센스로 봅니다.
몇몇 지인들께서는 이미 GPL 포기하고 BSD 라이센스로 전향하신분들도 제법 되시는군요..
아무래도.. IT인들은 아직은 법쪽하고는 거리가 먼듯 싶네요..
저는 GPL을 그냥 자유 라이센스로 봅니다.
몇몇 지인들께서는 이미 GPL 포기하고 BSD 라이센스로 전향하신분들도 제법 되시는군요..
아무래도.. IT인들은 아직은 법쪽하고는 거리가 먼듯 싶네요..

한번 읽어보니 어렵더군요.
단순하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카피라이트 같은 수직적 관계가 성립되는"판매"가 아닌 수평적으로 원을 그리는 "공유"의 의미로... ㅡ.ㅡ
단순하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카피라이트 같은 수직적 관계가 성립되는"판매"가 아닌 수평적으로 원을 그리는 "공유"의 의미로... ㅡ.ㅡ

귀 -> 귀걸이
코 -> 코걸이
끝.
코 -> 코걸이
끝.

외국처럼 기부성 구입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문듯 해봅니다.
프로그램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의 일부입니다. <---요부분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입니다. 따라서 GPL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사용하거나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요부분
이부분 이기때문에 판매도 자유롭고 구입하지않고 그냥사용도 자유롭다는내용이 아닐까요?
기부형식으로 이 소프트웨어를 사랑하면 기부형식으로 구입하고 단 강제조항이 들어가면 그자체가 자유를 침해하니
돈내기 싫은사람은 내지 않아도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는.....
레드헷의 최신버젼의 완전복제품(centos등)에 대해서 레드헷의 조치는 레드헷이라는 단어는 빼라..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라는 짧은 의견뿐이엿듯이...
레드헷이 고객에게 사후서비스 부분인 보안패치..뿐...
서비스성격성과 기부성의 판매가아닐지 싶습니다.
프로그램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의 일부입니다. <---요부분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입니다. 따라서 GPL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사용하거나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요부분
이부분 이기때문에 판매도 자유롭고 구입하지않고 그냥사용도 자유롭다는내용이 아닐까요?
기부형식으로 이 소프트웨어를 사랑하면 기부형식으로 구입하고 단 강제조항이 들어가면 그자체가 자유를 침해하니
돈내기 싫은사람은 내지 않아도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는.....
레드헷의 최신버젼의 완전복제품(centos등)에 대해서 레드헷의 조치는 레드헷이라는 단어는 빼라..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다라는 짧은 의견뿐이엿듯이...
레드헷이 고객에게 사후서비스 부분인 보안패치..뿐...
서비스성격성과 기부성의 판매가아닐지 싶습니다.
아래 조항이 상당히 애매하군요..
---------------------------------------------------------
GPL은 돈을 벌기 위해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것을 허용합니까?
그렇습니다. GPL은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프로그램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의 일부입니다.
GPL은 소프트웨어를 받은 모든 사람에게 비용을 징수하거나 소프트웨어를 받은 사실을 통지하도록 하는 형식을 허용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그러한 요구 사항은 프로그램을 자유롭지 못하게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프로그램을 구했을 때 그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거나 그 사실을 통지해야만 한다면 그 프로그램은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한번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입니다. 따라서 GPL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사용하거나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제 저작물에 제 이름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제가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하고 싶은 것입니다. GPL을 사용해도 이러한 사항이 유효할 수 있습니까?
영문으로 보통 credit으로 표시되는 성명 표기 사항은 여러분의 저작물에 대해서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법률상으로는 저작권법 제12조에 따른 성명표시권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GPL은 모든 복제물에 적절한 저작권 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위 조항을 자세히 보게되면..(사실 보면 볼수록)
조항자체에 모순이 있다고 느껴집니다..
또한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에도 애매한 부분이 있고..
더 큰 문제는 상용으로 판매했을 때, 판매한 제품에 대한 자식 라이센스가 자동으로 부과되느냐도 의문입니다.
개정되는 GPL 3 규정이 나오기전엔 어차피 2 규정에 따라야 하겠으나..
역시 상용판매분에 대한 자식 라이센스 승계가 문제가 될 듯 합니다..
---------------------------------------------------------
GPL은 돈을 벌기 위해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것을 허용합니까?
그렇습니다. GPL은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프로그램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는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의 일부입니다.
GPL은 소프트웨어를 받은 모든 사람에게 비용을 징수하거나 소프트웨어를 받은 사실을 통지하도록 하는 형식을 허용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그러한 요구 사항은 프로그램을 자유롭지 못하게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프로그램을 구했을 때 그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거나 그 사실을 통지해야만 한다면 그 프로그램은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한번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라이선스입니다. 따라서 GPL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사용하거나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제 저작물에 제 이름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제가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하고 싶은 것입니다. GPL을 사용해도 이러한 사항이 유효할 수 있습니까?
영문으로 보통 credit으로 표시되는 성명 표기 사항은 여러분의 저작물에 대해서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법률상으로는 저작권법 제12조에 따른 성명표시권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GPL은 모든 복제물에 적절한 저작권 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위 조항을 자세히 보게되면..(사실 보면 볼수록)
조항자체에 모순이 있다고 느껴집니다..
또한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의에도 애매한 부분이 있고..
더 큰 문제는 상용으로 판매했을 때, 판매한 제품에 대한 자식 라이센스가 자동으로 부과되느냐도 의문입니다.
개정되는 GPL 3 규정이 나오기전엔 어차피 2 규정에 따라야 하겠으나..
역시 상용판매분에 대한 자식 라이센스 승계가 문제가 될 듯 합니다..

GPL 프로그램을 개작하여 다른 라이센스를 만들 수 있다.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지금도 이 라이센스에 대해 50% 도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이 라이센스에 대해 50% 도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