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져 통합안되도, 크로스브라우징은 되던거 같습니다. 정보
브라우져 통합안되도, 크로스브라우징은 되던거 같습니다.본문
크로스 브라우징은 W3c에서 정한 규격대로만 제작하면 다 되는걸로 확인했습니다.
브라우져 별로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서, 기능별 대체가 필요하긴 하지만 90%이상이 크로스브라우징이 되는거 같습니다.
아직까지 CSS3는 익스플로러에서 지원을 하지 않기때문에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미 엄청난 웹표준 전문가님들이 줄비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제 생각에 코딩할때 크로스브라우징을 원한다면, 정확한 레이아웃 치수작업부터 해야할것 같습니다.
margin padding border 치수 모두를 봐야겠구요. DTD에 따른 규격도 같이 살펴야 할것같습니다.
중간에 비어 버리는 여백의 치수가 있다면 십중팔구 가장 레이아웃이 흐트러지기 쉬운부분입니다.
제일먼저 레이아웃을 페이지에 고정시켜버리면 치수오차는 전혀 없을것같구요. 크로스 브라우징도 저절로 된다고 보고 잇습니다.
추천
0
0
댓글 5개
크롬점유율이 20%가 넘었다잖아요!
0 or none 안잡아주면 1px 오류의근본적인 원인이지 않나요?
기권이에요.
저가 짧은 지식이라.
하하 행님의 위엣글을 잘못 읽었더라구요.
<table border="0">
이렇게 table 마다 구구절절 0 다는게 이해 안되신다고 하신거지요.ㅎㅎ
원래가 html5에서 모든 css로 대체가능한 요소들은 사용을 하지 않는걸로 되어있잖아요.
행님말씀처럼 main.css 에서 body,table,tr,td,div,img { border:0; padding:0; margin:0; } 하면 됩니다. 저 말이 이 말이구요.ㅎㅎ
말중간중간에 ..... 때문에 알아보기가 힘들었어요.
저가 해석하기에.. body,table,tr,td,div,img { border:0; padding:0; margin:0; } 사용하면 안된다는 말씀인줄 알았어요.
저가 짧은 지식이라.
하하 행님의 위엣글을 잘못 읽었더라구요.
<table border="0">
이렇게 table 마다 구구절절 0 다는게 이해 안되신다고 하신거지요.ㅎㅎ
원래가 html5에서 모든 css로 대체가능한 요소들은 사용을 하지 않는걸로 되어있잖아요.
행님말씀처럼 main.css 에서 body,table,tr,td,div,img { border:0; padding:0; margin:0; } 하면 됩니다. 저 말이 이 말이구요.ㅎㅎ
말중간중간에 ..... 때문에 알아보기가 힘들었어요.
저가 해석하기에.. body,table,tr,td,div,img { border:0; padding:0; margin:0; } 사용하면 안된다는 말씀인줄 알았어요.

css는 분리하는게 상책임니다.
얼래 브라우저 통일 안되어도 크로스 브라우징은 맞추면 100프로 다 맞출 수 있습니다.
이건 이전에도 그랬구요 .. 많은 기능 많은 css를 보여 주는 포털을 보면 답 나오죠 ..
네이버 다음 등 .. 어떤 브라우저에서 보더라도 어자피 크로스 브라우징 100프로 입니다만 ..
브라우저가 통일이 안된다라고 보기이전에 전체 웹 표준을 준수 하지 않은 .. 익스플러가 문제 입니다.
이건 이전에도 그랬구요 .. 많은 기능 많은 css를 보여 주는 포털을 보면 답 나오죠 ..
네이버 다음 등 .. 어떤 브라우저에서 보더라도 어자피 크로스 브라우징 100프로 입니다만 ..
브라우저가 통일이 안된다라고 보기이전에 전체 웹 표준을 준수 하지 않은 .. 익스플러가 문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