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때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까요? 정보
이럴때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까요?본문
관내 학교 홈페이지를 몇군데 관리하고 있는데요.
교육청 자체에서 학교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내친구 XXX라는 곳이 있는데...
기존 홈페이지는 폐기하고 새롭게 신청하라고 한다네요.
한마디로 옮겨라는 이야기겠죠.
1학교는 2010년도에 500만원 투자해서 웹접근성 적용했구요.
2개교는 2011년도에 500만원씩 투자해서 웹접근성을 적용했습니다.
투쟁해서 계속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겠는데요.
뾰족한 방법이 없는것 같습니다.
혹시 저와 유사한 내용으로 고민하시는 분 계세요.
대구에 모 업체는 학교 홈페이지만 전문으로 제작했는데 문닫아야겠네요.
공정거래법 위반, 예산낭비 등으로 걸면 어떻게 될까요?
날씨가 무척 덮습니다. 건강 유의하세요.
추천
0
0
댓글 10개

글이해가 어려워요 -_ㅠ
교육청에서 새로만들라고 하는건가요?
교육청에서 새로만들라고 하는건가요?
기존에 잘 돌아가는 홈페이지 버리고, 교육청 자체에서 운영하는 학교 홈페이지 서비스(빌더형식)에 가입하라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가입 비용은 없고 신청하고 디자인만 선택하면 학교 홈페이지 생성해 주겠다는거죠.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서라는데 저와 같은 입장에 있는 분들은 밥그릇 빼앗기는 기분이죠뭐!!ㅎㅎ
공개 보드 취안 및 취약점 부분만 보실게 아니라 이미 다른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육청 자체의 입찰 발주 형태의 관리 체계로 바뀐걸로 압니다.
실제 학교 1개의 특색 보다는 전체 안정성 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조금 묵공님의 의견에 반대 의견을 낸다면 공개 보드라서가 아니라 공개보드 위에 필요 모듈을 적용하는 자체가 XXXX 프레임 워크 자체는 공짜에 가깝습니다만 (개발 및 패치 버전을 상부에서 처리해서 적용할 부분을 내려줍니다 -_-;;
- 이말은 유지 관리 업체에서 1번의 재작업 내지 적용 작업만 하면 끝난다는 말이죠...)
php 기반에서는 개별적인 개발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_-;; (이게 X글 입장이 되어 버리는거죠)
공개 보드 보안 강화 및 기관 암호화 P/G = (업체 판매용 1100 ~ 1200만원 정도 였던 기억이 들구요) 1개 학교에서 감당을 할수 있는 수준은 아닐겁니다 - 일전에 관공서 쪽에 암호화 작업을 하려고 문의 하니 저 비용을 업체에 요구하더군요
아마 이 금액 + 실작업비 청구되면 더욱 커지겠죠
(1회성 작업 이라고 하셔도 작업 라이센스 발생 = 암호화 P/G = 1Site 적용 라이센스 입니다 만 이걸 100개 이상 적용 할려면 컴대장님 친구분에게 주어야 할 금액도 엄청나겠죠 ?
문제점 중에 하나는 일선 1개의 학교가 1천만원 이상씩 홈페이지에 투자할 여력도 힘들구요)
그리고 이미 기존 솔류션 화 된 업체들의 경우에는 지역별 입찰건에 대해서 SI + 회선 관리 업체 + 홈페이지 관리 업체 가 거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을겁니다...
웹표준 + 호환 + 접근성 + 보안 적인 부분에서 이미 탈출구를 만들어 두었으며 1년 관리비 자체가 거의 발생 안하는 수준입니다.
이미 학교 홈페이지의 경우에는 4 - 5 년 전부터 전부 개인 내지 외부 에이전시 부분에서 교육청 산하로 통합되어서 들어갔던 부분입니다.
아쉬운건 현재 관공서 계열들도 이전 교육청이 하던것 처럼 각 운영체제 내지 프레임 워크 조사하는걸로 보아서는 php 기반이 많이 약해지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 듭니다.
실제 학교 1개의 특색 보다는 전체 안정성 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조금 묵공님의 의견에 반대 의견을 낸다면 공개 보드라서가 아니라 공개보드 위에 필요 모듈을 적용하는 자체가 XXXX 프레임 워크 자체는 공짜에 가깝습니다만 (개발 및 패치 버전을 상부에서 처리해서 적용할 부분을 내려줍니다 -_-;;
- 이말은 유지 관리 업체에서 1번의 재작업 내지 적용 작업만 하면 끝난다는 말이죠...)
php 기반에서는 개별적인 개발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_-;; (이게 X글 입장이 되어 버리는거죠)
공개 보드 보안 강화 및 기관 암호화 P/G = (업체 판매용 1100 ~ 1200만원 정도 였던 기억이 들구요) 1개 학교에서 감당을 할수 있는 수준은 아닐겁니다 - 일전에 관공서 쪽에 암호화 작업을 하려고 문의 하니 저 비용을 업체에 요구하더군요
아마 이 금액 + 실작업비 청구되면 더욱 커지겠죠
(1회성 작업 이라고 하셔도 작업 라이센스 발생 = 암호화 P/G = 1Site 적용 라이센스 입니다 만 이걸 100개 이상 적용 할려면 컴대장님 친구분에게 주어야 할 금액도 엄청나겠죠 ?
문제점 중에 하나는 일선 1개의 학교가 1천만원 이상씩 홈페이지에 투자할 여력도 힘들구요)
그리고 이미 기존 솔류션 화 된 업체들의 경우에는 지역별 입찰건에 대해서 SI + 회선 관리 업체 + 홈페이지 관리 업체 가 거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을겁니다...
웹표준 + 호환 + 접근성 + 보안 적인 부분에서 이미 탈출구를 만들어 두었으며 1년 관리비 자체가 거의 발생 안하는 수준입니다.
이미 학교 홈페이지의 경우에는 4 - 5 년 전부터 전부 개인 내지 외부 에이전시 부분에서 교육청 산하로 통합되어서 들어갔던 부분입니다.
아쉬운건 현재 관공서 계열들도 이전 교육청이 하던것 처럼 각 운영체제 내지 프레임 워크 조사하는걸로 보아서는 php 기반이 많이 약해지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 듭니다.

수직적 사고를 하는 집단이라 잡음이 생기면 일시적으로 원하시는 방향으로 타협이 가능할거란 생각도 드는데 그게 글 그대로 일시적일 공산이 커요. 아주 일을 크게 벌리던가 아니면 그대로 수긍하는 쪽이 득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경험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결심이 굳어져 일을 벌이시려면 아주 크게 벌리세요. 근데 혹시 그누보드 기반으로 제작하셨나요?
안될 하등의 이유는 없지만 트집을 잡자면 이게 또 약점이라면 약점입니다.
공개보드 = 공짜
공개보드 = 보안취약
제 의견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언제 어느때건 걸면 걸리는 트집이라 이런 일반적 선입견에는 아무 전문적인 지식없이 뒤에서 쉬쉬하며 까이는 부분이라 공개보드로 제작을 기피하기도 하죠.
결심이 굳어져 일을 벌이시려면 아주 크게 벌리세요. 근데 혹시 그누보드 기반으로 제작하셨나요?
안될 하등의 이유는 없지만 트집을 잡자면 이게 또 약점이라면 약점입니다.
공개보드 = 공짜
공개보드 = 보안취약
제 의견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언제 어느때건 걸면 걸리는 트집이라 이런 일반적 선입견에는 아무 전문적인 지식없이 뒤에서 쉬쉬하며 까이는 부분이라 공개보드로 제작을 기피하기도 하죠.
조언 감사합니다. 제가 일을 크게 벌이는데 일각연있습니다.ㅋㅋ
크게 벌이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밥그릇 빼앗길때 빼앗기더라도 발악은 한번 해봐야죠.^^
크게 벌이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밥그릇 빼앗길때 빼앗기더라도 발악은 한번 해봐야죠.^^

기본적인 계약사항의 위반이 있고 해당 사항으로인한 구체적인 손해배상이 입증되지 않는다면 어려울듯 합니다.
관리지침이야 상급기관에서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내용으로 인해 기존 계약사항들에 피해가 갈경우라도 손해배상을 해주고 말면 별도리도 없을 것입니다.
결국 목소리를 크게 만들어 내는 것 뿐인데, 그럴경우 이분야에서 어차피 추가적인 유지보수는 물 건너 가는거죠.
관리지침이야 상급기관에서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내용으로 인해 기존 계약사항들에 피해가 갈경우라도 손해배상을 해주고 말면 별도리도 없을 것입니다.
결국 목소리를 크게 만들어 내는 것 뿐인데, 그럴경우 이분야에서 어차피 추가적인 유지보수는 물 건너 가는거죠.

대구는
2014 년까지. 대구 학교홈피들은
교육청자체제작에 편입됩니다.
모바일도 제공한다더군요.
2014 년까지. 대구 학교홈피들은
교육청자체제작에 편입됩니다.
모바일도 제공한다더군요.
고수님들의 조언 잘 읽어보았습니다.
일괄, 통합관리하는것도 좋은데 털리면 끝짱인거죠.
공공아이핀이 그렇고 실명인증 또한 마찬가지일겁니다.
교육청에서 하는 말은 초지일관 보안때문이라고 합니다.
털리고나면 무슨 변명을 하는지 한번 두고 볼랍니다.
외부소행으로 털리지 않더라도 내부자로 인한 정보유출도 심히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지금까지도 수도 없이 터진 사건이었죠.
돈에 약한것이 그쪽에 일하는 분이라는것도 더 염려스럽게 하네요.^^
일괄, 통합관리하는것도 좋은데 털리면 끝짱인거죠.
공공아이핀이 그렇고 실명인증 또한 마찬가지일겁니다.
교육청에서 하는 말은 초지일관 보안때문이라고 합니다.
털리고나면 무슨 변명을 하는지 한번 두고 볼랍니다.
외부소행으로 털리지 않더라도 내부자로 인한 정보유출도 심히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지금까지도 수도 없이 터진 사건이었죠.
돈에 약한것이 그쪽에 일하는 분이라는것도 더 염려스럽게 하네요.^^
부산입니다.
어느 고등학교 홈페이지 리뉴얼 하였고 유지보수 하였었는데,
2~3년 전에 교육청(산하 교육정보원)에서 일괄 작업 하는 바람에 부득이 그만 둘 수 밖에 없는 그런 적이 있었습니다.
교육청 방침에 따르지 않는 학교는 거의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분야로 방향을 돌리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어느 고등학교 홈페이지 리뉴얼 하였고 유지보수 하였었는데,
2~3년 전에 교육청(산하 교육정보원)에서 일괄 작업 하는 바람에 부득이 그만 둘 수 밖에 없는 그런 적이 있었습니다.
교육청 방침에 따르지 않는 학교는 거의 없을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분야로 방향을 돌리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독점.....정부의 방침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죠.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나 다를바가 뭐가 있겠습니까?
수 많은 학교 홈페이지 제작하고 유지보수하는 업체들이 수도 없이 많은데...
모조리 교육정보원에서 일괄관리한다라.....
저야 3군데 밖에 없으니 큰 문제될거는 없지만....
제 아는 업체는 학교 홈페이지만 전문적으로 제작 관리하는데요.
수백개의 학교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졸지에 쪽박차게 생겼네요.
제 같으면 소송이라도 걸겠습니다.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나 다를바가 뭐가 있겠습니까?
수 많은 학교 홈페이지 제작하고 유지보수하는 업체들이 수도 없이 많은데...
모조리 교육정보원에서 일괄관리한다라.....
저야 3군데 밖에 없으니 큰 문제될거는 없지만....
제 아는 업체는 학교 홈페이지만 전문적으로 제작 관리하는데요.
수백개의 학교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졸지에 쪽박차게 생겼네요.
제 같으면 소송이라도 걸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