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에 관해서 (특히 Maximus님께)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반응형 웹에 관해서 (특히 Maximus님께) 정보

반응형 웹에 관해서 (특히 Maximus님께)

본문

아래 호순아잉님 글 (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796896 ) 의 댓글에서
Maximus님과 반응형 웹 자체에 대한 얘기를 나누다가,
본글에서 벗어나는 논의가 되는 것 같아서 글을 따로 남깁니다.
(반응형 웹 디자인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가 될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_^)

Maximus님과 저의 댓글 대화의 
1. 형식적 논점은, 
 - 반응형 웹에 대한 평가(비난)이 쏟아지고 있다는 판단이 과연 주관적이냐 객관적이냐 하는 부분일테고
2. 내용적 논점은,
 - 그래서 반응형 웹이 정말 비난받아야 하는가? 아니면 이른바 모바일 시대의 구세주인가?
가 아닐까 합니다.

(참고로 '비난'이라는 단어는 Maximus님이 사용하셨습니다. ;-)  그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셨다면 저도 댓글을 남기지 않았을테고요.. ^^;)

# # #

우선, 전문가의 의견으로 남긴, Jakob Nielsen의 반응형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
- 지난번에도 올리셨던 링크인데, 300여 페이지의 보고서는 읽어보고 싶습니다.  Maximus님이 사주시면요.. ^^
- 또한 JN의 의견에 대한 반론들도 존재합니다.
- JN 그자신도 net magazine과의 인터뷰에서, 반응형은 구현의 방식이고, RESS 방식의 반응형 이라면 자신도 괜찮다 라고 했습니다.

제 주장은, Maximus님이 단편적으로 남기신 댓글처럼, '요즘 반응형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장단점과 반응형 접근시 고려/주의 사항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고, 기술 자체도 아직 발전중이라는 것이 제 '주관적' 판단입니다.

# # #

내용적으로, 그럼 정말로 반응형이 '모' 아니면 '도'냐?

Maximus님이 지적하시는 반응형의 단점들에 대해서, 반응형을 실제로 시도하는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일전에 그누스터디 자게에도 얘기되었듯이, 비용대비 효과가 있다면 하는 것이고, 아니면 안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반응형 웹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닐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반응형이 공격받는 부분이, 데탑과 모바일 사이트의 '내용'이 달라야 한다는 점인데,
즉, 지금 많이 사용되는 css의 display:none 방식은, 양쪽 모두 사이트에 부담만 주는 형태가 될테니까요..

헌데, 반응형 웹이 적용된 사이트들 중 모바일 사이트가 특별히 다른 내용을 가지는 경우를 보셨나요?
즉, 모바일 사이트에 특화된 내용을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별도의 모바일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반응형의 단계로        (점차적 개선의 단계가 아닌 반응형 완성수준의 단계)
1단계: 데스크탑에서 돌아가는 사이트를, 모바일에서도 불편없이 보여주도록 하는 것
2단계: 모바일을 중심으로 불필요한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 (모바일퍼스트)을 거쳐서 구현하는 것
3단계: 내용을 중심으로 디바이스별로 특화된 내용/구성/표현을 RESS 기법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
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얘기하시는 반응형이라면 1단계가 아닐까 하고요..
아마 Maximus님은 3단계 정도를 현재 기법 (css 이용) 으로 완성하는 것으로 정의하시는 것 같습니다.

# # #

Maximus님과 논쟁을 해보고 싶은것이지만,  다른 분들의 의견도 소중히 받겠습니다.

추천
0

댓글 16개

먼저, 이 글이 퍼블리셔 토크에 올라가 너무 빠른 시간 내에 페이지의 뒤로 밀려나는 일이 없으면 좋겠단 의견을 밝힙니다. :)
responsive 에 대한 "비평적인 시각도 있다", 이렇게 바꾸면 논쟁이 사라질까요?

논쟁같은 건 싫으네요. ^^  responsive 가 좋다고 생각되면 그걸 하면 되는거고, 아니면 말고 뭐 그런거지, 논쟁까지야... ^^;;;;;

그냥 본인이 하고 싶은걸 하면 됩니다.  아마 이게 정답일겁니다.
앗, 제가 논쟁으로 몰고 갔군요.
솔직히는 Maximus님과 얘기하면서 다른 분들의 이목을 끌어볼까하는 흑심이었는데..^^;
그럼, 저도 이만 잘까봐요.. ^^;
RESS 기법은 이 글에서 처음 들어보는데요. 전진님이 언급하신 반응형 단계를 토대로, 대체적으로 1단계를 구현하다보면 자연스럽게 2단계로 넘어가게 되는 거 같습니다.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면서요.

논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1. 형식적 논점 : Maximus 님의 주관적 의견을 조금 과하게 표하신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구요.
2. 내용적 논점 : 모바일 시대의 구세주까지는 아니지만 비난받을 기법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ㅎㅎㅎ
RESS 기법은, Maximus님은 반응형으로 안쳐주는 지라.. ㅋㅋ

논점을 너무 명료하게 정리해주셔서 더 할말도 없네요. -_-
전 RESS 에 대해 그렇게 얘기한적 없는데요. -..-;;

RESS 는 절충안 (hybrid) 이고 좋은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device detection 을 php 로 할 것인가, jQuery/javascript (server-side 자스를 얘기하는 겁니다.) 으로 해야 하는가, 등등

여러가지 방식들이 현존하고 있기때문에, 정말 이문제는 복잡하고 변수가 많고, 앞으로도 변동사항이 많아질 수 있어서, 논쟁이나 토론을 하는게 무의미 합니다.  (끝이 없어요.)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그냥 자기가 쓰고 싶은 방식을 쓰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다보면 아이 이게 뭐야, 망했네, 이런 결론을 내리시는 분들도 생기실거고...

자기 홈피 만들었다고 아래 글 올리신 분 사이트 보세요.  무지 간단하고 내용물 진짜 아무것도 없는데도 버벅거리잖아요.  모바일 쪽 js 까지 다 불러오니까.  저기다가 간단한 솔루션이라도 하나 얹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코딩하는 사이 사이 글을 남기다 보니 글정리가 잘 안되는데.. 암튼 저번에도 말씀드렸듯이 두고봐야 합니다.

어떤 방식이 대세가 되는지.  단지 이것저것 충분히 고려하고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코딩부터 하다보면 정말 망하는 수가 있습니다. 

암튼 나중에... ^^  좀 시간날때 얘기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나중에 한번 독일에 놀러갈까요? ㅎㅎㅎㅎ
(늦은 댓글을 보실지 모르겠지만..)
RESS에 대해서는,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정통' 반응형은 아니다 라고 표현하신것 같아요..
위 댓글에서도 hybrid라고 하셨고요..
저는, 목적에 맞는 다면 RESS 도 반응형의 (구현중) 일부 라고 생각하거든요.. 뭐 중요한 얘기는 아니고요..

독일은, 지금은 오셔도 뭘 도움을 드릴 수는 없고,
나중에 여기서 오래 있게 결정되면, 그때는 잠자리정도는 드릴 수 있을듯 해요.. ^^
무슨 내용인지는 까막눈이라 모르겠지만.
전진님은 정말 전진만 하는 분인듯 하네요.

항상 열심히 하는거 같아 보기 좋아요.
안녕하세요, 유창화님 ^^
저도 잘 모르면서, 핑계삼아 Maximus님하고 얘기를 나눠볼까 했었습니다.
근데 잘 안되네요.. ^^;;
전체 199,628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