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에 강제로 달리면 좋을 편의 장치. 정보
차에 강제로 달리면 좋을 편의 장치.
본문
기사 보니깐 자동운전 킷 같은게 개발된 듯 하네요. 뭐 비슷한 것도 있었지만 좀 더 세밀한..
근데 그런거보단.....
차에 안전 장치가 보다 강화되면 사고가 줄고 사고 시 인명 피해는 적지 않을까 싶네요.
가령 과속이나 운전자의 안전 상황 미대비를 위한..
전방 차량과 자기 차량의 특정 속도에서 근접 시 자동 속도 제어 제동한다던가..
에어백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바꾸어서 추돌 및 추락 및 인명 피해가 예상될 때 안전하게 운전자 등을 보호한다던가..
범퍼 등을 혁신적으로 바꾸어서 추돌 시 완충 기능을 극대화한다던가...
중앙선 등을 자동 인지해서 핸들린 억제 기능을 들인다던가...
뭐 숱하게 많을 듯.. 물론 실현된 기능들은 있겠지만 보급형 차량들엔 거의 없는 듯 한데...
승차감을 우수하게 해주기 위한 것과 파킹 어시스터 같은건 있지만...
보다 근원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부분은 없거나 미진한 듯 하네요.
시속 100미만이라면 추돌해서 운전자가 아무런 피해도 없을 정도는 되었으면 좋겠는데...
그래 되면 차 제조사랑 수리업체.. 보험회사가 싫어할라나...? 하하.
추천
0
0
댓글 4개

위에 말씀하신 내용 이미다 있습니다 ㅎㅎ
전방 차량 방지 속도제어 => 스마트 크루즈 콘트롤
에어백 시스템 => 무릎, 측면, 등등 많음
중앙성 침범 => 차선 변경 알림기능 등등
이미 모두 개발되었지만.. 차값이 넘 비싸다는 함정이 있네요 ^^
전방 차량 방지 속도제어 => 스마트 크루즈 콘트롤
에어백 시스템 => 무릎, 측면, 등등 많음
중앙성 침범 => 차선 변경 알림기능 등등
이미 모두 개발되었지만.. 차값이 넘 비싸다는 함정이 있네요 ^^

사고율은 줄겠죠..다만..그기계 오작동이 생길수가있겠군요

30년 안에 왠지 무인자동차가 활성화될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는 개발되어있습니다.
양산시키려면 돈이 많이 들어서 고급차에만 일부들어가있지요
양산시키려면 돈이 많이 들어서 고급차에만 일부들어가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