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접근성(WA마크) 인증 비용 안내~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웹접근성(WA마크) 인증 비용 안내~ 정보

웹접근성(WA마크) 인증 비용 안내~

본문

웹접근성(WA마크) 인증

한국정보화진흥원/웹접근성인증위원회의 인증 비용
: 심사 신규가 200만원, 재심사/갱신이 80만원

한국장애인인권포럼(웹와치)
: 사이트의 규모에 따라 104만원~176만원

과연 이 비용은 타당할까??
웹접근성 심사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판단되겠지만,,,,
비용이 좀 너무 하다 싶네요.
한달에 100군데에서 심사의뢰를 한다면 ㅡㅡ;; 헐~ 1억을 벌겠네요~

추천
0
  • 복사

댓글 14개

품질마크제도 법제화 -> 외부 전문 인증기관 도입 순으로 정보화진흥원에서 언급한 방향으로 흘러가면 인증 비용은 점점 낮아지지 않을까도 싶은데, 확실하지 않고 한편으론 외부 전문 인증기관의 무차별적 인증과 같은 부작용도 염려되네요.

아무튼 사이트 1곳 심사하는 일도 녹록한 일은 아니어서 비용적인 부분이 이해도 가지만, 제작자 입장에서 비싼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ㅎㅎ 심사를 얼마나 확실하게 해주는것에 따라 좀 달라지지 않을까 합니다.
^^  심사 자체가 얼마나 깔끔하고 단순히 마크를 돈주고 사는 개념으로 변질되지 않고
마크 자체에 튼튼 공신력! 이 생겨야 겠죠 ㅎㅎ
만일 인증 마크를 획득한다고 해도 그 인증마크는 "장차법"관련 고소시 참고만 될 뿐이지 법적 효력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발적으로 외부적인 어떤 인증을 바라는 고객분이 아닌 이상에는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html 검사
http://validator.w3.org/

css 검사
http://jigsaw.w3.org/css-validator

통과 마크와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는다는 간결하고 이쁜 마크로 대신하면 어떨까요?  어느 것을 사용하든 장차법과 관련해서는 참고용으로만 사용될 분입니다.  단 인증마크를 주는 단체나 기업을 국가에서 공인해 주고 법적 효력이 있다는 내용의 판결이나 이에 준하는 허가가 난 경우에는 예외겠죠. (아직 그런 업체나 단체 없음)
어이상실...
초기비용도 그렇지만 갱신까지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면 현실과 거리가 너무 먼 비용이네요.
심사기관에 의뢰안해도 될겁니다. 계약서상에 그것을 요구하는 의뢰인이 있으면 별도 금액 청구하면 되구요. 최대한 메뉴얼대로하고, k-wah 검사프로그램으로 돌려서 결과 첨부해서 보여주니 거의 인정해 주더군요. 저렇게 검사비 나오는데 강재성을 띄는것도 뒤가 좀 수상하죠?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