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로그인 도입하신분 있나요? 정보
SNS 로그인 도입하신분 있나요?본문
사실 우리나라 운영자들 성향상 자체 회원을 관리하려는 습성이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예외는 아니라 생각하구요.
그런데, SNS 로그인 및 댓글달기를 하게되면 너무나 많은 장점이 따라오기에 이에대한 미련도 있네요.
제가 생각하기엔 사이트 활성화를 위해서 회원 가입 절차도 간소화하고, 특정 게시판에서 SNS를 통해서 댓글 달기정도 지원해서, 해당 게시판이 SNS에 광범위하게 노출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는데요.
실제로 소셜 로그인을 도입해보신분 계신가요?
물론 저도 예외는 아니라 생각하구요.
그런데, SNS 로그인 및 댓글달기를 하게되면 너무나 많은 장점이 따라오기에 이에대한 미련도 있네요.
제가 생각하기엔 사이트 활성화를 위해서 회원 가입 절차도 간소화하고, 특정 게시판에서 SNS를 통해서 댓글 달기정도 지원해서, 해당 게시판이 SNS에 광범위하게 노출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는데요.
실제로 소셜 로그인을 도입해보신분 계신가요?
추천
0
0
댓글 9개

최근 저도 비슷한 내용을 계속 고민 해보고 있는데 (쓸데없이 ^^;;) 가만히 살펴보면 SNS도 주로 쓰는 계정, 막 쓰는 계정으로 갈라지는 거 같습니다. 검증된 커뮤니티가 아니면 주로 쓰는 계정은 잘 연결하지 않고 막 쓰는 계정으로 연결하는 경향이 있다는 건데요. 중소규모 커뮤니티에서는 홍보하기 위해 사이트 운영자가 직접 퍼다 나르는 것 이상으로는 SNS에서 효과를 보기가 어려운 것 같다는 결론에 다다르려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자체적으로 회원관리를 간소화해서 편리하게 이용하게 해주는 편이 서로 좋을 수도 있다는 거죠.
그래서 로그인은 지양하되, 퍼가기는 지향하는 구조가 많이 성행하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자체적으로 회원관리를 간소화해서 편리하게 이용하게 해주는 편이 서로 좋을 수도 있다는 거죠.
그래서 로그인은 지양하되, 퍼가기는 지향하는 구조가 많이 성행하는 것 같습니다.

조만간에 도입할 예정입니다...ㅎㅎ
음... 그런면도 없잖아 있겠네요.
제 사이트 타겟상 그런 부분은 큰 무리가 없을거라고 생각이 들긴하는데 안해봤으니 잘 모르겠네요. 저는 일단 XE인만큼 돈안들이고 해볼 수 있을테니 한번 도전해봐야겠습니다.
제 사이트 타겟상 그런 부분은 큰 무리가 없을거라고 생각이 들긴하는데 안해봤으니 잘 모르겠네요. 저는 일단 XE인만큼 돈안들이고 해볼 수 있을테니 한번 도전해봐야겠습니다.

깊게 생각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것저것 연동이 아닌 본인이 어느정도 의 심사숙고 하고나서 (동향분석 등등..)
SNS중 고객의 니드를 충족시켜줄 그런 SNS 를요...
이 건에서 니드란? 현제와 짧은 미래의 시장성, 현제 점유 위치.. 고객의 필요성과 편리성...
입니다.
이것저것 연동이 아닌 본인이 어느정도 의 심사숙고 하고나서 (동향분석 등등..)
SNS중 고객의 니드를 충족시켜줄 그런 SNS 를요...
이 건에서 니드란? 현제와 짧은 미래의 시장성, 현제 점유 위치.. 고객의 필요성과 편리성...
입니다.

"회원 가입 절차도 간소화" 를 말하기 전에 한국 인터넷 사용자 분들의 성향이 참 놀랍습니다.
제 개인 사이트에 SNS 로그인을 그냥 폼으로 달아놨었는데, 가입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부담감 100배. 그냥 개인 블로그일 뿐인데, 아이콘을 누르시면 그냥 가입된다는 걸 잘 모르시는지,.. 회원가입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그래서 얼마전 일단 SNS 가입/ 로그인 기능을 빼두었네요.
제가 관리하는 다른 한국어 사이트 하나는 지금도 SNS 로그인이 달려있는데 (페북, 구글, 트위터) 일주일에 2~3분 정도 꾸준히 가입하시는... -..-;;
참 난감하다는.... 가입하시는 분들에게 온라인 쿠폰이라도 보내드려야 하나... 애드센스 광고수익이라도 배분해드려야 하나 하는 부담감도 생기고.... 운영자 입장에서 회원분들이 생기는 게, 의외로 스트레스 받는 것 같습니다.
SNS 를 통한 회원가입은 가입이 너무 쉽게 되니, 자신이 회원가입을 하는거라는 걸 인식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 문화차이 인것 같습니다.//////
천조국에서는 SNS 로그인이 아닌 sir.co.kr 처럼 사이트 자체 로그인/가입을 하게 하는 사이트를 찾아보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제 개인 사이트에 SNS 로그인을 그냥 폼으로 달아놨었는데, 가입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부담감 100배. 그냥 개인 블로그일 뿐인데, 아이콘을 누르시면 그냥 가입된다는 걸 잘 모르시는지,.. 회원가입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그래서 얼마전 일단 SNS 가입/ 로그인 기능을 빼두었네요.
제가 관리하는 다른 한국어 사이트 하나는 지금도 SNS 로그인이 달려있는데 (페북, 구글, 트위터) 일주일에 2~3분 정도 꾸준히 가입하시는... -..-;;
참 난감하다는.... 가입하시는 분들에게 온라인 쿠폰이라도 보내드려야 하나... 애드센스 광고수익이라도 배분해드려야 하나 하는 부담감도 생기고.... 운영자 입장에서 회원분들이 생기는 게, 의외로 스트레스 받는 것 같습니다.
SNS 를 통한 회원가입은 가입이 너무 쉽게 되니, 자신이 회원가입을 하는거라는 걸 인식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 문화차이 인것 같습니다.//////
천조국에서는 SNS 로그인이 아닌 sir.co.kr 처럼 사이트 자체 로그인/가입을 하게 하는 사이트를 찾아보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한국은 뭐;; 가입안하면 아예 못보는 사이트도 많은데요 뭐 ㄷㄷ
흠.. SNS 로그인 다는게 쉽나요??
잘 모르겠단.. -_-;;;;;
잘 모르겠단.. -_-;;;;;
XE에서는 소셜XE라는게 있어서 어렵지 않게 할 수도 있는듯하더군요.

어떤 솔루션을 쓰느냐에 따라서 다 다르죠...
워드프레스 같은 경우는 그냥 플러그인 설치하고 클릭 클릭 몇번하면 끝이고...
XE 도 사용하기 어렵지 않은 플러그인이 있는걸로 알고 있고...
그누보드 도 하나? 두개? 정도 자료실 찾아보면 있을 겁니다. 예전에 본적이 있는 것 같은데... 아,, 테러보이님이 공개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누보드고 CMS 고, 나는 그런것 안쓰고 다 직접 만들어 쓴다는 분들은, 물론 어려운 일이 아니죠. 직접 다 만드시는 프로그래머 분들께 SNS 로그인 만들어 다는게 어려울리가 없으니...
결론은... 어떤 경우에도 어렵지 않다? ㅎㅎㅎ
워드프레스 같은 경우는 그냥 플러그인 설치하고 클릭 클릭 몇번하면 끝이고...
XE 도 사용하기 어렵지 않은 플러그인이 있는걸로 알고 있고...
그누보드 도 하나? 두개? 정도 자료실 찾아보면 있을 겁니다. 예전에 본적이 있는 것 같은데... 아,, 테러보이님이 공개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누보드고 CMS 고, 나는 그런것 안쓰고 다 직접 만들어 쓴다는 분들은, 물론 어려운 일이 아니죠. 직접 다 만드시는 프로그래머 분들께 SNS 로그인 만들어 다는게 어려울리가 없으니...
결론은... 어떤 경우에도 어렵지 않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