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하는 글 -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정보
생각 하는 글 -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본문
제목 :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출처 : http://littletrue.egloos.com/
살다 보면 꼭 한번은
재수가 좋든지 나쁘든지
천재를 만나게 된다.
대다수 우리들은 이 천재와 경쟁하다가
상처투성이가 되든지, 아니면 자신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평생 주눅 들어 살든지,
아니면 자신의 취미나 재능과는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고 평생 못 가본 길에 대해서
동경하며 산다.
이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추월할 수 없는
천재를 만난다는 것은 끔찍하고 잔인한 일이다.
어릴 때 동네에서 그림에 대한 신동이 되고,
학교에서 만화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아
만화계에 입문해서 동료들을 만났을 때,
내 재능은 도토리 키 재기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 중에 한두 명의 천재를 만났다.
나는 불면증에 시달릴 정도로
매일매일 날밤을 새우다시피 그림을 그리며 살았다.
내 작업실은 이층 다락방이었고
매일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그제서야 쌓인 원고지를 안고 잠들곤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한달 내내 술만 마시고 있다가도
며칠 휘갈겨서 가져오는 원고로
내 원고를 휴지로 만들어 버렸다.
나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원망도 해보고
이를 악물고 그 친구와 경쟁도 해 봤지만
시간이 갈수록 내 상처만 커져갔다.
만화에 대한 흥미가 없어지고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점점 멀어졌다.
내게도 주눅이 들고 상처 입은 마음으로
현실과 타협해서 사회로 나가야 될 시간이 왔다.
그러나 나는 만화에 미쳐 있었다.
새 학기가 열리면 이 천재들과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꼭 강의한다.
그것은 천재들과 절대로
정면승부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천재를 만나면 먼저 보내주는 것이 상책이다.
그러면 상처 입을 필요가 없다.
작가의 길은 장거리 마라톤이지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천재들은 항상 먼저 가기 마련이고,
먼저 가서 뒤돌아보면 세상살이가 시시한 법이고,
그리고 어느 날 신의 벽을 만나 버린다.
인간이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신의 벽을 만나면
천재는 좌절하고 방황하고 스스로를 파괴한다.
그리고 종내는 할 일을 잃고 멈춰서 버린다.
이처럼 천재를 먼저 보내놓고
10년이든 20년이든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꾸준히 걷다 보면
어느 날 멈춰버린 그 천재를 추월해서
지나가는 자신을 보게 된다.
산다는 것은 긴긴 세월에 걸쳐 하는
장거리 승부이지 절대로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만화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한다.
그렇다면 매일매일 스케치북을 들고
10장의 크로키를 하면 된다.
1년이면 3500장을 그리게 되고
10년이면 3만 5000장의 포즈를 잡게 된다.
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자세와 패션과 풍경이 있다.
한마디로 이 세상에서 그려보지 않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이다.
거기에다 좋은 글도 쓰고 싶다면,
매일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를 하면 된다.
가장 정직하게 내면 세계를 파고 들어가는
설득력과 온갖 상상의 아이디어와 줄거리를 갖게 된다.
자신만이 경험한 가장 진솔한 이야기는
모두에게 감동을 준다.
만화가 이두호 선생은 항상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한다.
이 말은 언제나 내게 감동을 준다.
평생을 작가로서 생활하려면
지치지 않는 집중력과 지구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가끔 지구력 있는 천재도 있다.
그런 천재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축복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그런 천재들은 너무나 많은 즐거움과
혜택을 우리에게 주고 우리들의 갈 길을 제시해 준다.
나는 그런 천재들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만 해도
가슴 벅차게 행복하다.
나 같은 사람은 그저
잠들기 전에 한 장의 그림만 더 그리면 된다.
해 지기 전에 딱 한 걸음만 더 걷다보면
어느 날 내 자신이 바라던 모습과 만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정상이든, 산중턱이든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바라던 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현세
출처 : http://littletrue.egloos.com/
살다 보면 꼭 한번은
재수가 좋든지 나쁘든지
천재를 만나게 된다.
대다수 우리들은 이 천재와 경쟁하다가
상처투성이가 되든지, 아니면 자신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평생 주눅 들어 살든지,
아니면 자신의 취미나 재능과는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고 평생 못 가본 길에 대해서
동경하며 산다.
이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추월할 수 없는
천재를 만난다는 것은 끔찍하고 잔인한 일이다.
어릴 때 동네에서 그림에 대한 신동이 되고,
학교에서 만화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아
만화계에 입문해서 동료들을 만났을 때,
내 재능은 도토리 키 재기라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 중에 한두 명의 천재를 만났다.
나는 불면증에 시달릴 정도로
매일매일 날밤을 새우다시피 그림을 그리며 살았다.
내 작업실은 이층 다락방이었고
매일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그제서야 쌓인 원고지를 안고 잠들곤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한달 내내 술만 마시고 있다가도
며칠 휘갈겨서 가져오는 원고로
내 원고를 휴지로 만들어 버렸다.
나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원망도 해보고
이를 악물고 그 친구와 경쟁도 해 봤지만
시간이 갈수록 내 상처만 커져갔다.
만화에 대한 흥미가 없어지고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점점 멀어졌다.
내게도 주눅이 들고 상처 입은 마음으로
현실과 타협해서 사회로 나가야 될 시간이 왔다.
그러나 나는 만화에 미쳐 있었다.
새 학기가 열리면 이 천재들과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꼭 강의한다.
그것은 천재들과 절대로
정면승부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천재를 만나면 먼저 보내주는 것이 상책이다.
그러면 상처 입을 필요가 없다.
작가의 길은 장거리 마라톤이지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천재들은 항상 먼저 가기 마련이고,
먼저 가서 뒤돌아보면 세상살이가 시시한 법이고,
그리고 어느 날 신의 벽을 만나 버린다.
인간이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신의 벽을 만나면
천재는 좌절하고 방황하고 스스로를 파괴한다.
그리고 종내는 할 일을 잃고 멈춰서 버린다.
이처럼 천재를 먼저 보내놓고
10년이든 20년이든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꾸준히 걷다 보면
어느 날 멈춰버린 그 천재를 추월해서
지나가는 자신을 보게 된다.
산다는 것은 긴긴 세월에 걸쳐 하는
장거리 승부이지 절대로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만화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한다.
그렇다면 매일매일 스케치북을 들고
10장의 크로키를 하면 된다.
1년이면 3500장을 그리게 되고
10년이면 3만 5000장의 포즈를 잡게 된다.
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자세와 패션과 풍경이 있다.
한마디로 이 세상에서 그려보지 않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이다.
거기에다 좋은 글도 쓰고 싶다면,
매일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를 하면 된다.
가장 정직하게 내면 세계를 파고 들어가는
설득력과 온갖 상상의 아이디어와 줄거리를 갖게 된다.
자신만이 경험한 가장 진솔한 이야기는
모두에게 감동을 준다.
만화가 이두호 선생은 항상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한다.
이 말은 언제나 내게 감동을 준다.
평생을 작가로서 생활하려면
지치지 않는 집중력과 지구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가끔 지구력 있는 천재도 있다.
그런 천재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축복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그런 천재들은 너무나 많은 즐거움과
혜택을 우리에게 주고 우리들의 갈 길을 제시해 준다.
나는 그런 천재들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만 해도
가슴 벅차게 행복하다.
나 같은 사람은 그저
잠들기 전에 한 장의 그림만 더 그리면 된다.
해 지기 전에 딱 한 걸음만 더 걷다보면
어느 날 내 자신이 바라던 모습과 만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정상이든, 산중턱이든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바라던 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현세
추천
0
0
댓글 9개

이현세 작가이자 화백님이 천재아닌지요..
글:야설록 그림:이현세
도 있었지만..^^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이현세 화백님에 "공포에외인구단"을 비롯한 작품들을 본 기억이 납니다..
원래 만화가들이 상상력 풍부하고 박학다식 하더군요..
책들도 닥치는대로 읽습니다..
경민대 만화학과 동네 후배가 있었는데
말하는거 들어 보면 참..대단했었습니다..
누구에 문하생으로 들어 갓다는 말은 들었지만 연락이 두절 된지가..
한참 오래 전이군요..
글:야설록 그림:이현세
도 있었지만..^^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이현세 화백님에 "공포에외인구단"을 비롯한 작품들을 본 기억이 납니다..
원래 만화가들이 상상력 풍부하고 박학다식 하더군요..
책들도 닥치는대로 읽습니다..
경민대 만화학과 동네 후배가 있었는데
말하는거 들어 보면 참..대단했었습니다..
누구에 문하생으로 들어 갓다는 말은 들었지만 연락이 두절 된지가..
한참 오래 전이군요..

서핑하다가 우연이 발견해서...
길면 않 읽었는데,
이번에는 처음부터 땡겨서 읽다보니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글이더라구요..
길면 않 읽었는데,
이번에는 처음부터 땡겨서 읽다보니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글이더라구요..
얼마전에 지인과 술잔을 기울이다 '천재를 만나면 어떻게 할꺼냐?' 라는 화두로 이야기를 나눈적이 있는데..
결론은 '천재를 만나면 피하라, 가까이 하지 마라' 였습니다..^^
본인에게는 그가 천재로 보일지는 몰라도 누군가는 또 본인을 천재로 여기고 있을수도 있으니, 애써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결론 이었습니다.
결론은 '천재를 만나면 피하라, 가까이 하지 마라' 였습니다..^^
본인에게는 그가 천재로 보일지는 몰라도 누군가는 또 본인을 천재로 여기고 있을수도 있으니, 애써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결론 이었습니다.

왜 맨날 싸워야 하고 투쟁이어야 하고, 경쟁해서 이겨야 하고.. 이해가 안되는 1人
1억 8천만년전인지 언젠지 인류의 조상이 되는 물고기 (아마 경이로운 지구 3편일거에요. ㅎㅎ) 는 경쟁에서 이긴게 아니라 더 살기좋은 환경으로 도망친 도망자 였습니다.
같은 사냥거리를 놓고 머리통 터지게 경쟁해야 한다면, 그 사람들은 그냥 경쟁하게 놔두고, 저는 경쟁이 없는, 더 풍부한 사냥거리가 많은 곳에 가서 혼자 사냥하는 방식을 더 선호 합니다. 그리고 그런 풍족한 환경에서 먹을거 잘먹고 지내면 더 힘도 쎄지는.... (경쟁력 업되는.)
이런 방식이 얼마든지 통한다는 것은 무구한 인류의 역사가 그 증거이고, 김택용이었나 송병구였나, 도망자 프로토스로 시전해 보여주었죠. (구석에 숨어서 테크트리 짱 올린다음 상대방 테란을 쓸어버린...)
인생 여러번 사는 것도 아니고 한번 사는건데, 그냥 편하고 쉽게, 적당히 즐기면서.. 돈도 적당히 벌면서 ㅎㅎㅎ
즐겁게 즐겁게. ㅎㅎㅎ
Life is easy. Enjoy Your Life. ^^
1억 8천만년전인지 언젠지 인류의 조상이 되는 물고기 (아마 경이로운 지구 3편일거에요. ㅎㅎ) 는 경쟁에서 이긴게 아니라 더 살기좋은 환경으로 도망친 도망자 였습니다.
같은 사냥거리를 놓고 머리통 터지게 경쟁해야 한다면, 그 사람들은 그냥 경쟁하게 놔두고, 저는 경쟁이 없는, 더 풍부한 사냥거리가 많은 곳에 가서 혼자 사냥하는 방식을 더 선호 합니다. 그리고 그런 풍족한 환경에서 먹을거 잘먹고 지내면 더 힘도 쎄지는.... (경쟁력 업되는.)
이런 방식이 얼마든지 통한다는 것은 무구한 인류의 역사가 그 증거이고, 김택용이었나 송병구였나, 도망자 프로토스로 시전해 보여주었죠. (구석에 숨어서 테크트리 짱 올린다음 상대방 테란을 쓸어버린...)
인생 여러번 사는 것도 아니고 한번 사는건데, 그냥 편하고 쉽게, 적당히 즐기면서.. 돈도 적당히 벌면서 ㅎㅎㅎ
즐겁게 즐겁게. ㅎㅎㅎ
Life is easy. Enjoy Your Life. ^^

나를 아는게 제일 중요한 듯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천재보다 더천재는 적당히 논다ㅇㅅㅇ;;
즉, 튈려고하지않음
이런 천재들도 의외로 많죠;
즉, 튈려고하지않음
이런 천재들도 의외로 많죠;

천재랑 꼭 싸우거나 도망쳐야 할까요?? 같이 살 수도 있을텐데... ^^;;

좋은 말이네여^^ 짧은 말을 길게 하는 능력...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본글보다 더 멋진 글이십니다.....ㅎ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