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MS의 정책을 교묘히 피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했네요. 정보
아마존이 MS의 정책을 교묘히 피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했네요.본문
뒤통수맞았네요.
이렇게 될 경우 MS의 다음 태도가 궁금해집니다.
- 패치할때 클라우드 정책 관련된 부분을 업데이트!? (이건 소송걸릴것 같고)
- 취약점 노패치 (근데 이건 자사에 침뱉는거고)
- 그냥 냅둔다 (그럼 손해가 막심할테고)
- 자사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아마존보다 저렴하게 시행한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어차피 맞은 뒤통수, MS는 어떻게 풀어나갈까요 ㅋㅋ
추천
0
0
댓글 9개

괜히 동대문에서 뺨 맞고 남대문에서 화풀이 하진 않겠죠? ㅎㅎㅎ
ㅋㅋㅋ 그러게요. 그래도 뭔가 큰 기업들 싸움은 재미있네요.
권모술수 싸움은 일반 기업소송 싸움보다 더 재미있어요 ㅋㅋㅋㅋㅋ
권모술수 싸움은 일반 기업소송 싸움보다 더 재미있어요 ㅋㅋㅋㅋㅋ

엔피씨님이랑 알쯔님 만담이 더 재밌어요.
아니예요! 알쯔가 절 괴롭히는겁니다! 타도 알쯔.

재미있군요 ㅎㅎ
기대됩니다^^
기대됩니다^^

오 저는 내부적으로 딜이 있으려니 했는데, 뒷통수였군요. ㅋㅋ
ㅋㅋㅋ 아마존의 서비스에 매력을 느낀 기업, 개인들이 늘어날수록 아마존이 MS에게 아무리 디바이스당 과금정책에 맞게 라이센스요금을 지불하더라도 아마존 과금정책상으로는 MS보다 몇십배는 이득이 되니까 MS는 딜 자체를 안했을 거예요.
게다가 MS는 정책등의 룰은 엄청나게 중요시 하는 애들이라 아마존한테 말도 못하고 있죠.
아플겁니다.
MS가 이걸 전략적으로 이길 방법을 생각하는 중일겁니다.
원래 그런기업이잖아요 ㅋㅋ
게다가 MS는 정책등의 룰은 엄청나게 중요시 하는 애들이라 아마존한테 말도 못하고 있죠.
아플겁니다.
MS가 이걸 전략적으로 이길 방법을 생각하는 중일겁니다.
원래 그런기업이잖아요 ㅋㅋ
제가 보기에는 뒤통수가 아니라 서로 윈윈인것 같은데요.
MS가 자신들의 정책을 위반하면서 돈을 받는다고요? 그것도 약관내용을 무시하고서라도?
한 디바이스당 라이센스 부여하는 정책을 상쇄시켜줄만한 댓가를 아마존이 준다고 하시는거죠?
윈윈 아니예요, 첫째로 아마존이 저 서비스를 하는데 아마존은 과금정책이 어떻던가요.
많이 쓰면 막대한 이익이 생기고 MS에는 단지 디바이스 금액만 주면 됩니다.
그런데 Windows 7이 안팔리는 제품도 아니고.. 어디가 윈윈인가요 ㅎㅎㅎㅎㅎ
그렇게 된다면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한 디바이스당 라이센스 부여하는 정책을 상쇄시켜줄만한 댓가를 아마존이 준다고 하시는거죠?
윈윈 아니예요, 첫째로 아마존이 저 서비스를 하는데 아마존은 과금정책이 어떻던가요.
많이 쓰면 막대한 이익이 생기고 MS에는 단지 디바이스 금액만 주면 됩니다.
그런데 Windows 7이 안팔리는 제품도 아니고.. 어디가 윈윈인가요 ㅎㅎㅎㅎㅎ
그렇게 된다면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