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형 댓글 > 십년전오늘

십년전오늘

10년전 추억의 책장을 넘기며

계층형 댓글 정보

계층형 댓글

본문

요즘 다음이나 네이버 기사를 보다 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게시판이 구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기사

댓글

-댓글에 대한 답글

-댓글에 대한 답글

...

댓글​

댓글

 

댓글은 2단계에서 끝나므로 "댓글에 대한 답글"을 한 사람에게 다시 답글을 남길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스마트폰에서 표현을 하다보디 답글에 답글, 답글에 답글에 답글과 같이 화살표를 표시하는 공간이 모자라서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믿고(?) 싶습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고자 아래와 같은 방식을 생각했습니다.

 

댓글은 2단계로 동일하지만 누구누구님께 라는 표시를 하여 답변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원글

댓글a

- a님께 답글b

- b님께 답글a

댓글c

- c님께 답글a

- a님께 답글c

- c님께 답글a

 

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을 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되면 레벨이 무한으로 늘어나지 않아도 돼 게시판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comment

 cid

 parent cid

 order num

 댓글

 1

 1

 -1

 댓글

 2

 2

 -2

 -답글

 3

 2

 -3

 -답글의 답글

 5

 3

 -4

 -답글

 4

 2

 -4 -> -5

 

 

위 표에서 cid 는 글을 쓴 순서입니다.

parent cid 는 부모 댓글 이구요.

order num 은 화면에 출력해 주기 위한 숫자 필드입니다.

 

cid 1번을 쓸때 order num 은 -1 이 됩니다.

cid 2번을 쓸때 order num 은 -2 가 됩니다.

cid 3번을 쓸때 order num 은 -3 이 됩니다.

cid 4번을 쓸때 order num 은 -4 가 됩니다.

cid 5번을 쓸때 order num 은 -4 가 되며 기존의 -4 아래로는 모두 -1 씩을 더해 줍니다.

 

흔히들 말하는 업데이트형 게시판이 되는 것이지요.

이렇게 order num 을 저장하게 되면 숫자 순서대로 출력을 할수 있으므로 "답글", "답글의 답글"만 제대로 표시해 주면 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무한으로 답글을 남길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댓글 답글 입력시 자신과 관련되지 않은 게시물도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복사

댓글 전체

뭐 그냥 간단히 @를 누르고 닉네임을 누르면 ajax로 검색이 됩니다.
그래서 해당닉네임을 자동검색같은 형태로 리스트화 시켜주고 선택을 하면
tag을 입력하는것처럼 여러면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메일이 전송되는 시스템입니다.
*** 님이 ***회원님을 거론 하셨습니다.

페북은 별도의 sort는 시켜주지는 않고 있습니다만..
sort도 해당 회원의 id나 nick으로 idx값으로 그냥 asx소팅시켜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그냥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

아 네이버도 비슷하게 따라하고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