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식)강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르는 이유를 설명하세요 > 퀴즈게시판

퀴즈게시판

답을 맞히시면, 문제를 내신 회원님이 채택을 해드립니다.
채택은 '좋아요'와 같습니다.

(주관식)강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르는 이유를 설명하세요 정보

(주관식)강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르는 이유를 설명하세요

본문

중학교때 한번은 시험안치고 이문제로 점수를 채점한적이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설명하신 분에게 드림니다
  • 복사

댓글 15개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좀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물은 중력이 작은 곳에서 큰 곳으로 이동합니다.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것이죠.

강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르는 이유는, 바다가 산보다 높은 곳에 있기 때문입니다.
바다가 산보다 높은 곳에 있다는 게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거꾸로 말을 바꾸어보면 산이 바다보다 저지대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 등 일부 지역은 바다보다 저지대에 땅이 있습니다.
그런 곳은 바다에서 땅으로 물이 흐르기 쉽죠.
그런 땅에 산이 솟아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산이 높은 산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동네 뒷산도 산입니다.

바다보다 훨씬 저지대에 아주 작은 높이의 산이 있는 거죠.

그 곳은 신기하게도 바다에서 산으로 강이 흐른답니다.
  • 채택 0
행님님말이 맞네요.
강이 바다로 흐르는것은 이치입니다.
바다 물은 증기화 되서 구름으로 바뀝니다. 그증기는 모여서 구름을 현성하고 때에 따라서 산위로 흘러 산위에서 비를 뿌립니다.
이로서 물의 순환으로 바다에서 산으로 물이 흐르는것이지요.
이또한 자연의 이치입니다.
  • 채택 0
바다에서 바닷물이 증발 후에 구름이되어. 충분한 수증기(?)가 모였을때.

무거워져. 구름이 버티지 못할때 비나 눈을 뿌리게 된다.

그것은 산에서 부터 떨어져. 계곡(산)에서 강에서 흐르게되고 강은 낮은위치의 바다로

흘려가게된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순환 하여.. 산,계곡,바다에 우리가 살아갈 물이 생기고
생명수가? 되는것이다.

 라니냐, 엘니뇨,에 의해 지구온난화가 가중되어 기상이변이 잦아지고 있다.
 (이것들은 수증기를 많이 많이 빼앗아 먹을 것이다.)

또한 남극과 북극이 점차 얼음이 녹아가고 있다. 서서히 점점 녹게되면

수증기가 많이 생긴다.  그렇다면 홍수와 폭우, 폭설 같은 기상이변이 생길 것이다.

지구온난화가 가중이 된다면. 우리는 물을 먹지 못할수도 있다. 

그러므로. 친환경을 사랑하자!!

-------------------------------------------------------------------------------------
바닷물이 산으로 올라간다??

그럴수도 있겠다.
산은 점점 깍여서 낫아지게되면 물론 산에 물이 흘려들어갈수도 있다.

하지만 이건 좀 아니다,

바닷물의 성분인 염분이나 그외에도..

깍이거나 녹일 성분은 잔뜩 있을것이다.

산은 우리의 홍수를 막아주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해준다.

허나. 이게 깍이게 되고 점정 도시와 같은 지대에 있다면..

우리는 살수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해구가 있다.

왜냐하면 바다는 산보다 깊기 때문이다.

 그만큼 해구가 깊기 때문에. 우리의 생활터전을.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해구가 깊지 않다면. 우리는 어떻게될까?? 댐만으로는 물을 수용할수있을까??

물의수용에 더 더 어려움을 격을수도있다.

나는 정부의 태도가 화가난다. 산림을 벌목하고 헐어버리고 그위에

스키장을 만드는 .. 정부는 거기서 거기다.

나쁜넘들아!! 산림을 지켜줘~..
  • 채택 0
산에서 흐르는 시냇물이 강물이 되어 바다로 끊임없이 흐르는 이유는 바다가 강물의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바다는 모든 강물을 지배하고 있으며 모든 강물은 어제나 바다에 모이게 되어있다. 사람의 이치도 이와 같아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모이기를 원하는 자는 사람들의 아래에 있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의 앞에 서기를 원하는 자는 사람들의 뒤에 서야 한다. 그리하면 위에 있다 하더라도 사람들이 그 무게를 느끼지 못하고 앞에 있다 해도 사람들이 무례하다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 채택 0
강 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르는 이유라.

근데 중요한건 "강"이 "바다" 에서 "산"으로 흐른다는건 뭔말인지. 바다도 흐르는거고 강도 흐르는건데.
만약에 "산"이 해산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성립할수도있겠네요 하지만 강이 바다에 나오는순간 그것은 강이 아니고 바다이기 때문에. 아닐수도있고.
또한 "흐른다"라는것은 액체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것을 말하는데.
바다가 산보다 높은곳에 있으면 강이 바다에서 산으로 흐른다가 성립될수도 있겠네요.

근데 바다에서 산으로 흐른다라는것도 말에 모순이 있는것이
바다->강->산 이렇게 되어야하는데, 질문에서 바다랑 강의 의미를 어떤지 주지도 않고. 강이 바다에포함되었다라고 할수도 있고 바다가 강에 포함되엇다라고 할수도 있어서...

맞나요?
  • 채택 0
좀더 멋진답변을 기대했었는데...
명제는 거짓이지만 그걸 설명한다는건 거짓=참이라고 가정하는것이고 문제가 맞을경우 답도 오류없이 맞게 서술되어야해요 하지만 문제가 거짓일경우 답도 거짓이 되어야하는거죠
즉 당연히 산으로 흐른다는 내용이 있고 말도안되는 소릴쓰면 답이 아닐지요?

정답이 처음부터 없었던 문제였지만 가장포인트가 적고 장문을 써주신 인후지덕님께 드릴께요
  • 채택 0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