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 만드는 방법이 궁금해요 정보
그누보드 head 만드는 방법이 궁금해요본문
각 일반문서 만들기전에 head.php, tail.php를 만들려고 합니다.
그런데, 소스 문서구조를 살펴보니
1. headsub.php 는 <html> ~ </head>
2. head.php, 별도 문서내용 공간, tail.php : 모두 종합하면 <body> ~ "</body>태그 전까지."
3. tailsub.php 는 </body>~</html>
인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 에디터를 이용해 문서 작성하고, head.php/ 각문서내용 자리 /tail.php 만드려면-
메모장으로 불러내서, 위처럼 분리해서 저장해야하는지요?
헛갈려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그런데, 소스 문서구조를 살펴보니
1. headsub.php 는 <html> ~ </head>
2. head.php, 별도 문서내용 공간, tail.php : 모두 종합하면 <body> ~ "</body>태그 전까지."
3. tailsub.php 는 </body>~</html>
인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 에디터를 이용해 문서 작성하고, head.php/ 각문서내용 자리 /tail.php 만드려면-
메모장으로 불러내서, 위처럼 분리해서 저장해야하는지요?
헛갈려서 도움 부탁드립니다.
댓글 전체
두 분의 명료하고 구체적인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큰 도움 감사드립니다.
두 분 좋은날 되세요!
큰 도움 감사드립니다.
두 분 좋은날 되세요!
관련된 내용은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tiptech&page=1&wr_id=6311&ca_id= 보시면될꺼 같네요
한가지 힌트를 더 드리자면..
기존의 소스를 변경하지않고, 새로 스타일을 만드시는게 좋습니다.
즉 indexdoctype.php에서 해당 케이스를 임의적으로 만들고 그에 따르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수있습니다.
// NONE 는 상단과 하단 파일이 필요없는 TYPE
case "NONE" :
echo $ob_content;
break;
// NBBS 는 새롭게 만들어진 나만의 TYPE
case "NBBS" :
include './nbbs.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nbbs.tail.php';
break;
즉 이렇게 만드셔서 3단 레이아웃 즉 머리말, 본론,꼬리말 로 만드셔두 됩니다.
그리고 다른부분에 적용해달될부분이 많다면
해당 파일의 스타일만 지정해주시면 머릿말과 꼬리말은 재상용 할수 있겠죠.
위의 내용중 nbbs.head.php 와 nbbs.tail.php 는 본인이 직접 기존의 내용과 비슷하게 만들어주시면됩니다.
head.sub.php 의 내용과 head.php의 내용이 위의 내용에 필요한부분이 들어가야되며 (선언부)
관련 자바스크립등도 넣으시면됩니다.
만일 좀더 구조적으로 사용하시려면 디테일하게 자신의 스타일을 만든뒤 세분화 시켜 재활용할수있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작업은 아니니 한번해보세요.
한가지 힌트를 더 드리자면..
기존의 소스를 변경하지않고, 새로 스타일을 만드시는게 좋습니다.
즉 indexdoctype.php에서 해당 케이스를 임의적으로 만들고 그에 따르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수있습니다.
// NONE 는 상단과 하단 파일이 필요없는 TYPE
case "NONE" :
echo $ob_content;
break;
// NBBS 는 새롭게 만들어진 나만의 TYPE
case "NBBS" :
include './nbbs.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nbbs.tail.php';
break;
즉 이렇게 만드셔서 3단 레이아웃 즉 머리말, 본론,꼬리말 로 만드셔두 됩니다.
그리고 다른부분에 적용해달될부분이 많다면
해당 파일의 스타일만 지정해주시면 머릿말과 꼬리말은 재상용 할수 있겠죠.
위의 내용중 nbbs.head.php 와 nbbs.tail.php 는 본인이 직접 기존의 내용과 비슷하게 만들어주시면됩니다.
head.sub.php 의 내용과 head.php의 내용이 위의 내용에 필요한부분이 들어가야되며 (선언부)
관련 자바스크립등도 넣으시면됩니다.
만일 좀더 구조적으로 사용하시려면 디테일하게 자신의 스타일을 만든뒤 세분화 시켜 재활용할수있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작업은 아니니 한번해보세요.

main.php 상단에 소스를 보시면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문이 있습니다.
define("_DOCTYPE_", "DESIGN");
_DOCTYPE_값이 DESIGN"거라는 뜻이죠..
그럼 indexdoctype.php 요 파일에서
_DOCTYPE_값이 DESIGN 라면
case "DESIGN" :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이게 실행이되죠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요게 실행이되고
echo $ob_content;
요게 메인부분 현재 파일을 출력하는거죠 main.php가 출력이 되게죠
하단부분엔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이런식으로 출력하고 break로 끝내죠..
각 페이지를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 소스를 삽입해보세요
그리고
DESIGN요걸 NONE로도 바꾸면서 해보고요
main1.php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main2.php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NONE");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식으로 상단을 하시면 이해가 금방 될듯싶습니다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문이 있습니다.
define("_DOCTYPE_", "DESIGN");
_DOCTYPE_값이 DESIGN"거라는 뜻이죠..
그럼 indexdoctype.php 요 파일에서
_DOCTYPE_값이 DESIGN 라면
case "DESIGN" :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이게 실행이되죠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요게 실행이되고
echo $ob_content;
요게 메인부분 현재 파일을 출력하는거죠 main.php가 출력이 되게죠
하단부분엔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이런식으로 출력하고 break로 끝내죠..
각 페이지를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 소스를 삽입해보세요
그리고
DESIGN요걸 NONE로도 바꾸면서 해보고요
main1.php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html_title = "그누보드3";
?>
main2.php 만들고
상단에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NONE");
$html_title = "그누보드3";
?>
이런식으로 상단을 하시면 이해가 금방 될듯싶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분명히 눈에 들어오니 좋습니다.
한가지만 여줍겠습니다.
"만약 head.sub를 없애려면 head.sub나 tail.sub 내용을 head과 tail파일에 넣어 주면" 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indexdoctype.php 도 변경해야야 할듯 싶은데,
알듯도 하지만, 명확히 확인받고 싶어서 그러하오니 죄송하지만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한가지만 여줍겠습니다.
"만약 head.sub를 없애려면 head.sub나 tail.sub 내용을 head과 tail파일에 넣어 주면" 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indexdoctype.php 도 변경해야야 할듯 싶은데,
알듯도 하지만, 명확히 확인받고 싶어서 그러하오니 죄송하지만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경우에 에디터를 이용해 문서 작성하고, head.php/ 각문서내용 자리 /tail.php 만드려면- << 만약 head.sub를 없애려면 head.sub나 tail.sub 내용을 head과 tail파일에 넣어 주면 되겠지요.
메모장으로 불러내서, 위처럼 분리해서 저장해야하는지요?<< 네 그래야 됩니다. ^^
저는 이렇게 분리 했네요.
왼쪽에 아웃로그인 들어가게 하고
중간에 내용
오른쪽에 투표등 넣기 위해 삼등분 했어요.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제목 없음</title>
<meta name="generator"meta tag">
</head>
<!--여기까지 head.sub-->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table border="0" width="100%">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td>
<td width="150">
</td>
</tr>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여기까지 head-->
<!--//여기부터 메인-->
내용내용내용내용
<!--//여기까지 메인-->
<!--//여기부터tail-->
</td>
<td width="150">
</td>
</tr>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td>
<td width="150">
</td>
</tr>
</table>
<!--여기까지 tail-->
<!--여기부터 tail.sub-->
</body>
</html>
메모장으로 불러내서, 위처럼 분리해서 저장해야하는지요?<< 네 그래야 됩니다. ^^
저는 이렇게 분리 했네요.
왼쪽에 아웃로그인 들어가게 하고
중간에 내용
오른쪽에 투표등 넣기 위해 삼등분 했어요.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제목 없음</title>
<meta name="generator"meta tag">
</head>
<!--여기까지 head.sub-->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table border="0" width="100%">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td>
<td width="150">
</td>
</tr>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여기까지 head-->
<!--//여기부터 메인-->
내용내용내용내용
<!--//여기까지 메인-->
<!--//여기부터tail-->
</td>
<td width="150">
</td>
</tr>
<tr>
<td width="150">
</td>
<td width="70%">
</td>
<td width="150">
</td>
</tr>
</table>
<!--여기까지 tail-->
<!--여기부터 tail.sub-->
</body>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