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사용을 위해 개념잡기 초보 질문 정보
그누보드 사용을 위해 개념잡기 초보 질문본문
1.개요
제로보드를 사용하던 중, 그누보드 게시판이 마음에 들어, 그누보드를 사용해 홈페이지를
제작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그누보드 구조와 사용에 대한 개념을 통 잡을 수 가
없습니다. 이곳의 질문과답변 또는 팁쪽의 초보 강좌란을 다 뒤져서 읽어보고 또 읽어 보아도
도저히감을 잡을 수가 없습니다.
제작하려고 하는 웹사이트 형태는 일반적인 형태인데,
가.상단에 메인 메뉴를 넣고
나.메인 메뉴 별로 클릭하면, 각 좌측 서브메뉴가 나오는 형태입니다. 이곳 홈페이지 처럼....
또한
다.각 메인 메뉴별로 메인메뉴 아래에 이미지가 따라서 변하는 형태 입니다...
2.문제점
도데체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가.head.php main.php,tail.php 부분을 어떤식으로 응용하여 여러 페이지들을 만들어야 하는지?
나.여러 페이지를 다양하게 만들고 나서, 각 메인 메뉴를 클릭했을때, 어떤식으로 불러와 적용하
는지? 인클루드를 어떤식으로 사용해서 각각의 페이지와 각 서브메뉴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보여질 수 있는지?
3.당부사항
좋은 프로그램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자세하게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와 관련된 예제를 포함하면 더욱 좋을듯 합니다. 현재 나와있는 설명을 가지
고는 적용이 어려워 초보자는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하겠습니다.
4.끝으로
html 과 include 약간의 지식을 가지고 하려니, 참으로 막막하기만 합니다.
head.php main.php tail.php 부분의 소스는 대충 이해하였습니다. 헌데 이것을 어떻게 적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웹사이트를 제작해야 하는지, 정말 개념조차 안서는 군요. 이것땀시 오늘도 날밤을
.......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제로보드를 사용하던 중, 그누보드 게시판이 마음에 들어, 그누보드를 사용해 홈페이지를
제작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그누보드 구조와 사용에 대한 개념을 통 잡을 수 가
없습니다. 이곳의 질문과답변 또는 팁쪽의 초보 강좌란을 다 뒤져서 읽어보고 또 읽어 보아도
도저히감을 잡을 수가 없습니다.
제작하려고 하는 웹사이트 형태는 일반적인 형태인데,
가.상단에 메인 메뉴를 넣고
나.메인 메뉴 별로 클릭하면, 각 좌측 서브메뉴가 나오는 형태입니다. 이곳 홈페이지 처럼....
또한
다.각 메인 메뉴별로 메인메뉴 아래에 이미지가 따라서 변하는 형태 입니다...
2.문제점
도데체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가.head.php main.php,tail.php 부분을 어떤식으로 응용하여 여러 페이지들을 만들어야 하는지?
나.여러 페이지를 다양하게 만들고 나서, 각 메인 메뉴를 클릭했을때, 어떤식으로 불러와 적용하
는지? 인클루드를 어떤식으로 사용해서 각각의 페이지와 각 서브메뉴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보여질 수 있는지?
3.당부사항
좋은 프로그램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자세하게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와 관련된 예제를 포함하면 더욱 좋을듯 합니다. 현재 나와있는 설명을 가지
고는 적용이 어려워 초보자는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하겠습니다.
4.끝으로
html 과 include 약간의 지식을 가지고 하려니, 참으로 막막하기만 합니다.
head.php main.php tail.php 부분의 소스는 대충 이해하였습니다. 헌데 이것을 어떻게 적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웹사이트를 제작해야 하는지, 정말 개념조차 안서는 군요. 이것땀시 오늘도 날밤을
.......
좋은 답변 부탁 드립니다.
댓글 전체
제로보드 사고로 그누보드를 이해하려면 꽤나 애 먹습니다. 처음으로 그누를 배우는 마음으로 시작하셔야 할 듯합니다. 저도 조금 배우는 처지라서 여러 고수들 앞에서 엉뚱한 소리할까봐 글 적기도 부담스럽네요.
팁란에서 기초 개념에 대한 설명이 있으니깐 그것을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종류를 이해하시고, 그렇다면 하나의 웹페이지를 어떻게 네 등분을 하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하면 됩니다.
보통 헤드서브는 맨 처음에서 바디 앞에 있는 기본 설정 부분들, 헤드는 네비게이션바를 비롯하여 로그인 부분까지
메인은 본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그리고 테일은 일반적으로 모든 페이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를 바라는 꼬리 부분, 테일서브는 마지막 부분을 테일에 다 담지 마시고 조금 남겨두셔서 그부분을 붙여 넣으시면 되겠죠.
////////////////////////////////////////////////////////////////////////////////////////////////////
[모든 페이지마다 넣어야 할 부분들: 제로의 절대경로표시처럼]
<HEADSUB> <-------각 페이지에서 안보이는 부분/ 주로 기본적인 설정 부분
----------------------
<HEAD> <-------각 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머리 부분
-------------
MAIN <------각 페이지에서 변화되어 달리 보여지는 부분
-------------
<TAIL> <----------각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꼬리 부분
----------------------
<TAILSUB> <----------이렇게 잘라놓았으니 끝을 닫아주어야 하니간 마지막의 필요한 부분
/////////////////////////////////////////////////////////////////////////////////////
그러면 DESIGN, STYLE, NONE에 따라 어떤 모양새로 나타날지를 생각해보시 바람
예를 들어 게시판에서(gblist, gbform, gbview.php에서) Doctype이 none으로 되어 있으면 게시판 모양만 있죠. 제로처럼, 그러나 design으로 되어 있으면 게시판 전후에 위에서 설정한 것들이 나타납니다.
끝으로, 일반적인 표시로 링크를 표시하면 안 열림, 그러므로 링크 표시법이 다르다고 생각해야 함
<a href="./?doc=sub/intro.php" > 에서 ./?doc가 들어가 있죠? 이것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페이지에는 위에서 말한 [ ]부분이 있어야 합니다. 팁란에서 기초 개념 잡기의 설명에 나와 이습니다. 읽어보세요.
웹페이지에 [ ]가 있으면 로그인이나 최신글의 인쿠르드는 제로와 비슷해서 무조건 나타남.
저도 잘 모르는데,, 지금까지 이렇게 하니깐 나타나고 연결됩디다.....한번 해보슈......
팁란에서 기초 개념에 대한 설명이 있으니깐 그것을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종류를 이해하시고, 그렇다면 하나의 웹페이지를 어떻게 네 등분을 하는 것이 좋을지를 고민하면 됩니다.
보통 헤드서브는 맨 처음에서 바디 앞에 있는 기본 설정 부분들, 헤드는 네비게이션바를 비롯하여 로그인 부분까지
메인은 본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그리고 테일은 일반적으로 모든 페이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기를 바라는 꼬리 부분, 테일서브는 마지막 부분을 테일에 다 담지 마시고 조금 남겨두셔서 그부분을 붙여 넣으시면 되겠죠.
////////////////////////////////////////////////////////////////////////////////////////////////////
[모든 페이지마다 넣어야 할 부분들: 제로의 절대경로표시처럼]
<HEADSUB> <-------각 페이지에서 안보이는 부분/ 주로 기본적인 설정 부분
----------------------
<HEAD> <-------각 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머리 부분
-------------
MAIN <------각 페이지에서 변화되어 달리 보여지는 부분
-------------
<TAIL> <----------각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꼬리 부분
----------------------
<TAILSUB> <----------이렇게 잘라놓았으니 끝을 닫아주어야 하니간 마지막의 필요한 부분
/////////////////////////////////////////////////////////////////////////////////////
그러면 DESIGN, STYLE, NONE에 따라 어떤 모양새로 나타날지를 생각해보시 바람
예를 들어 게시판에서(gblist, gbform, gbview.php에서) Doctype이 none으로 되어 있으면 게시판 모양만 있죠. 제로처럼, 그러나 design으로 되어 있으면 게시판 전후에 위에서 설정한 것들이 나타납니다.
끝으로, 일반적인 표시로 링크를 표시하면 안 열림, 그러므로 링크 표시법이 다르다고 생각해야 함
<a href="./?doc=sub/intro.php" > 에서 ./?doc가 들어가 있죠? 이것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페이지에는 위에서 말한 [ ]부분이 있어야 합니다. 팁란에서 기초 개념 잡기의 설명에 나와 이습니다. 읽어보세요.
웹페이지에 [ ]가 있으면 로그인이나 최신글의 인쿠르드는 제로와 비슷해서 무조건 나타남.
저도 잘 모르는데,, 지금까지 이렇게 하니깐 나타나고 연결됩디다.....한번 해보슈......
Gendalf 님의 답글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님이 기존에 작성해 놓으신 글은 게시판을 통하여 모두 잘 보았습니다. 어떤 다른분이 작성하신 글보다 감동의 글이더군요. 저 또한 님과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습니다.
허나 전 아직까지 미로에 빠져있습니다. 그누보드를 인스톨하고 파일을 하나하나 열어놓고 이리저리 연결하여
어떻게 만들어 보나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도 좋은 방법이 떠오르질 않습니다. 헤더,메인,풋더, 이런건 노프레임 홈페이지를 만든다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나 그누보드를 접하고 나면, 기본 구조는 이해를 하더라도 index.php 를 만드는것 왜에 다른 페이지 예를 들면 인사말 소개 또는 찾아오시는 길 이런 페이지들을 어떻게 응용하여 만들어 가는지 도무지 감이 안잡혀서 답답한 마음을 금할길이 없습니다
위에서 예를 드신것은 index.php 페이지 하나를 만들기 위해 헤더,메인,풋더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인가요?
그럼 메인메뉴와 연관된 촤측서브메뉴들은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나요, 헤더 페이지는 공용으로 사용한다
고 치면, 메인에 해당하는 페이지 부분에 좌측서브메뉴를 위치시켜 각기다른 페이지마다 좌측서브메뉴를
불러와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그런데 그누보드에서의 설명은 헤더부분에 좌측 아웃로그인 밑에 좌측 서브메뉴를
놓아야 하는 것처럼 설명이 되어있거나, 다른분들의 도해를 통해, 헤더쪽에 위치하는 걸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헤더는 전페이지에 공통으로 들어갈텐데... 그래서 문제입니다.
그누보드 소스를 살펴보고 수정할라 치면, 꼭 남이 만들어 놓은 소스를 이리저리 고쳐서 내것으로 수정해 쓰는
기분이 듭니다. 제로보드 사용시는 웹페이지 디자인을 다 해놓은 상태에서 필요한 게시판과 로그인 검색폼을
레고와 같이 이리저리 불러다 붙여 넣으면 되었는데,,,, 암튼 개념을 180도 전환하여 사고하는 방법부터 바꿔야
되겠는데,,,, 상단과 같이 index.php 파일 외 다른 페이지들을 어떻게 증식시켜야 하는지 통 모르겠습니다.
그누보드 사용자가 많다고 들었는데,,, 여지껏 자세한 매뉴얼이 나오지 않았다는게 참으로 아이러니 합니다.
그누보드의 최대 장점은 게시판,최근게시물,아웃로그인,검색폼 그누보드를 정확히 인스톨을 하면 전체 에러없이
작동한다는데 있는것 같습니다. 제로보드는 각각 셋팅조건이 맞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비하여.....
일단 오기가 생겨서 더 욱더 적용해 보고 싶은 마음에 글을 올립니다. 님의 깊은 관심에 다시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허나 전 아직까지 미로에 빠져있습니다. 그누보드를 인스톨하고 파일을 하나하나 열어놓고 이리저리 연결하여
어떻게 만들어 보나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도 좋은 방법이 떠오르질 않습니다. 헤더,메인,풋더, 이런건 노프레임 홈페이지를 만든다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나 그누보드를 접하고 나면, 기본 구조는 이해를 하더라도 index.php 를 만드는것 왜에 다른 페이지 예를 들면 인사말 소개 또는 찾아오시는 길 이런 페이지들을 어떻게 응용하여 만들어 가는지 도무지 감이 안잡혀서 답답한 마음을 금할길이 없습니다
위에서 예를 드신것은 index.php 페이지 하나를 만들기 위해 헤더,메인,풋더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인가요?
그럼 메인메뉴와 연관된 촤측서브메뉴들은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나요, 헤더 페이지는 공용으로 사용한다
고 치면, 메인에 해당하는 페이지 부분에 좌측서브메뉴를 위치시켜 각기다른 페이지마다 좌측서브메뉴를
불러와야 한다는 말씀인가요? 그런데 그누보드에서의 설명은 헤더부분에 좌측 아웃로그인 밑에 좌측 서브메뉴를
놓아야 하는 것처럼 설명이 되어있거나, 다른분들의 도해를 통해, 헤더쪽에 위치하는 걸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헤더는 전페이지에 공통으로 들어갈텐데... 그래서 문제입니다.
그누보드 소스를 살펴보고 수정할라 치면, 꼭 남이 만들어 놓은 소스를 이리저리 고쳐서 내것으로 수정해 쓰는
기분이 듭니다. 제로보드 사용시는 웹페이지 디자인을 다 해놓은 상태에서 필요한 게시판과 로그인 검색폼을
레고와 같이 이리저리 불러다 붙여 넣으면 되었는데,,,, 암튼 개념을 180도 전환하여 사고하는 방법부터 바꿔야
되겠는데,,,, 상단과 같이 index.php 파일 외 다른 페이지들을 어떻게 증식시켜야 하는지 통 모르겠습니다.
그누보드 사용자가 많다고 들었는데,,, 여지껏 자세한 매뉴얼이 나오지 않았다는게 참으로 아이러니 합니다.
그누보드의 최대 장점은 게시판,최근게시물,아웃로그인,검색폼 그누보드를 정확히 인스톨을 하면 전체 에러없이
작동한다는데 있는것 같습니다. 제로보드는 각각 셋팅조건이 맞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비하여.....
일단 오기가 생겨서 더 욱더 적용해 보고 싶은 마음에 글을 올립니다. 님의 깊은 관심에 다시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고수님들! 틀리게 이해한 부분이 있으면 보충 설명 꼭 부탁드립니다. 알아서 떠드는 것이 아니라 이해한 바가 맞는지 확인해서 긴 시간 조목조목 적는 수고를 하고 있습니다>
인덱스 페이지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기본적으로는 로그인의 회원가입, 정보수정, 비밀번호찾기 등에 나타나는 폼이 결정됩니다. DESIGN, STYLE, NONE을 통해 각기 다르게 나타나지만 어쨋던 인덱스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쪼개어 놓은 것에 영향을 입게 되지요.
그누보드 설명자들이 말하는 좌측의 메뉴부분(로그인까지 포함한 부분)을 헤더로 두는 것은 메인부분에 주로 게시판이 들어가기 때문일것입니다. 헤더와 메인 사이는 주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가로 로그인을 쓰기 때문에 모양으로 따지면 위의 1/3을 잘라놓은 형태가 됩니다. 이 밑에서 여러가지 형태들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지요.
사실 그누를 써보니 그누가 더 다양한 표현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을 클릭하여 창을 띄울때 제로는 새창 형식으로 그누의 none모양만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누는 design, style이라는 것이 또 더 있지요.(맞나? 어쨋던 초보가 이해한 방식으로 써봅니다!)
헤더와 메인을 나름대로 일단 자르고 열어보시면 어떻게 대충 잘라야 할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건 주관적인 것이니깐요.
웹페이지는 인덱스 페이지외에 다른 링크된 페이지들이 있는데
Kinds of Linked Pages ----> 그냥 xxx.html
게시판 달린 html
이렇게 있지 않습니까?
게시판이 없는 페이지는 그냥 링크를 걸면 아무런 상관이 없이 그 페이지 자체가 다 나타납니다. 그러니 기존의 만든 것을 그대로 쓰면 됩니다. 다만 링크주소가 조금 다르더군요. 앞선 말한 것 처럼 ?doc=를 더 삽입해야 한다는...
<<<<<물론 다른 방법, 그누스타일? >>>>> 이하 존칭 생략 ! 쓰다보니 설명글처럼 반말이....죄송!
1. 불변상위 부분 head.php
2. 변하는 부분 1, 2, 3, -----> 메뉴부분을 포함해서...글 내용이나 게시판 수용부분
3. 불변하위부분 tail.php
보통 웹페이지를 만들면 각 페이지 1, 2,3등은 위의 구조로 되어있다. 다라서 내가
aboutus. html이라는 웹페이지를 만들었다. 이것을 가지고 공통적인 부분 head, tail부분(sub포함)을 제외한 나머지 그부분을 추출하면 이부분이 인덱스처럼 메인부분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인덱스페이지를 만들때 나눈 head, headsub, tail, tailsub를 내가 만든 aboutus.html페이지에서 제거를 한다. 그러면 그 부분이 메인부분으로서
그 부분을 따로 aboutus.php로 만든다.
-----------------------------------------
만드는 방법?
해당부분의 code를 복사한후 바탕화면으로 가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new 라는 항목(한글 윈도우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text doucment라는 메모장을 클릭하여 연다. 그리고 복사한 것을 붙이고 save as...를 클릭한후(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으로 abouus.php로 적고 저장하면 바탕화면에 aboutus.php라는 파일이 생겨난다.
-------------------------------------------
이것을 head.php와 같은 파일들이 있는곳에 넣어둔다. 그리고 메뉴바에서 링크를 걸때 ?doc=aboutus.php라고 적고 서버에 올린 후 웹브라우저를 열어본다.
이때 aboutus.php 맨 상단에 [ ]를 안 넣었다면...이상하게 뜨거나 안뜨지요. 이것 반드시 main.php이 있던 문구를 삽입한다.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주목해서 볼것
$html_title = "그누보드 3";
?>
이때 doctype이 degin이어야 aboutus.php를 띄울때 인덱스에서 만들때 둔 headsub,head, tail, tail,tailsub도 함께 떠서 자신의 aboutus.html의 내용전체가 다 나타난다.
그러면?
aboutus.html이라는 페이지에서 메인에 해당하는 부분이 새로운 스타일 시트가 적용되어져 있다. 그래서 이것인 소위 headsub부분에 더 첨가가 되어 있다. 다시말해 인덱스에서 만들때 만들어둔 headsub부분과 지금의 aboutus.html에서 나눌 headsub부분이 다르다는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aboutus.html=head.sub(new) +head(new) + aboutus.php + tail(new) + tail.sub.php(new)
이런 경우, 무조건 aboutus.html에서 메인부분만 복사해서 [] + 해당내용=aboutus.php를 만들면 그것이 적용이 안된다. 따라서 다르게 변형된 headsub, head등이 있을 경우에는 indexdoctype.php에 가서 이것들을 한 묶음으로 나타나도록 첨가를 해준다.
------------------
// DESIGN 은 상단, 하단 파일을 필요로 하는 TYPE
case "DESIGN" :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 DESIGN 은 상단, 하단 파일을 필요로 하는 TYPE
case "DESIGN1" : <-----design1 : 그러면 aboutus.php위의 문구도
include './head1.sub.php'; <--new one 당연히 design1으로 해야 동일시되죠!
include './head1.php'; <--new one
echo $ob_content;
include './tail1.php'; <--new one : tail이나 tailsub가 변동이 없다면 굳이 안해도 됨
include './tail.sub1.php'; <--new one
break;
---------------------------------------------
aboutus.php 맨 상단에
------------------------------------------------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1"); <------------뭐라고 적어놓았는가? DESIGN1 !!!!!!!!!!!!!!!
$html_title = "그누보드 3";
?>
----------------------------------------
이렇게 하면 인덱스와 다른 aboutus.html 전체 내용이 다 뜬다. 그런데 조금 귀찮아서
그냥 ....?doc=aboutus.html이라고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지만 모든 페이지의 헤더와 테일의 부분이 변동이 없다면, 그냥 메인 부분들만 각기 새로운 이름을 붙여서 쓰면 되니깐 이것도 용량을 줄이는데는 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충 이해한바로,,,,,,,,,
<<<<<<<<<<<<<<<<<<<<<<<<<<<<<<<<<<<<<<<<<<
게시판이 있는 페이지는 인덱스 페이지에서 자르는 것과 상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게시판을 넣을 웹페이지를 상단, 하단 파일 (제로처럼 head, foot.php)로 나누어서 넣기 때문에 그냥 제로처럼 다루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게시판의 문서종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 조금식 다르게 나타납니다.
직접 실험을 해보십시오. design, style, none일때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실, 이 실험하다가 그누 게시판의 파일구조와 종류를 파악하는 훈련이 됩니다. 게시판의 문서의 어떤 것을 찾아서 문서종류를 바꿀지 뒤져야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게시판의 글쓰기를 할때 어떤 모양이 나타나는지...이것을 보면서 아, 처음 인덱스 페이지를 어떻게 쪼개는것이 이렇게 다양하게 나타나게 보이는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문서 종류와 인덱스 페이지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서로 상관이 있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1. 매 페이지마다 쓰는 상단의 표현법 2. 그 표현법에 있는 문서종류 3. 그리고 그 영향을 받는 헤더와 테일, 이것이 웹페이지에서 기본 룰로서 영향을 줍니다.)
어쨋던 이것 이해하시면 그누를 조작하는 것도 조금 알수 있습니다. 제로는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이용만 하는데 반해서.....)게시판을 아는 즐거움이 그누에는 잇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것들이 좀 성가셨습니다. 복잡한 것처럼 느껴지니깐요.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제로보다는 다양한 표현법이 더 있다는 생각에 좀더 풍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즐겁게 수용이 됩니다. 그리고 님이 말하신 것처럼 제로보다 안정적입니다. 다만 기본 룰(그누의 기본 판때기)을 준수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지만, 이것이 더 다양한 표현법을 준다고 생각하시면 조금 위로가 되실 것입니다.
(이렇게 쓰고보니 거의 그누맨이 된 기분이네요....그렇게 매니어 수준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그리고 나중에 로그인이나 최신글, 게시판 스킨을 만들때 생각보다 조작하기가 쉽습니다. 스킨 조작이 편하다는 것이 저는 다소 제로보다는 좋습니다. 그누에서 제공하는 기본 스킨들의 php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소위 삽질하기가 용의하다고나 할까요. 제로의 게시판은 직접 뜯어보지 않았지만...조금 복잡한 형태였습니다.
어쨋던 실험정신으로 몇번 해보시고 날밤 새우시면 그누의 장점을 알게 될 것 같습니다. 사실 느낌으로 이야기 한다면 조금 성가신 면이 있지만 어떻게 생각하면 조금 고급스럽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 불만은 그누가 깔끔한데, 치밀하지 않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조금 모양새가 오밀조밀한 느낌을 주지 않고 약간 blur의 느낌을 준다고나 할까? 조금 느슨한 느낌을 줍니다. 공간의 여백에서 오는 기분?????
제로의 게시판들은 조금 공간의 압축미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스킨 제작에서 오는 기분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인덱스 페이지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기본적으로는 로그인의 회원가입, 정보수정, 비밀번호찾기 등에 나타나는 폼이 결정됩니다. DESIGN, STYLE, NONE을 통해 각기 다르게 나타나지만 어쨋던 인덱스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쪼개어 놓은 것에 영향을 입게 되지요.
그누보드 설명자들이 말하는 좌측의 메뉴부분(로그인까지 포함한 부분)을 헤더로 두는 것은 메인부분에 주로 게시판이 들어가기 때문일것입니다. 헤더와 메인 사이는 주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가로 로그인을 쓰기 때문에 모양으로 따지면 위의 1/3을 잘라놓은 형태가 됩니다. 이 밑에서 여러가지 형태들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지요.
사실 그누를 써보니 그누가 더 다양한 표현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을 클릭하여 창을 띄울때 제로는 새창 형식으로 그누의 none모양만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누는 design, style이라는 것이 또 더 있지요.(맞나? 어쨋던 초보가 이해한 방식으로 써봅니다!)
헤더와 메인을 나름대로 일단 자르고 열어보시면 어떻게 대충 잘라야 할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건 주관적인 것이니깐요.
웹페이지는 인덱스 페이지외에 다른 링크된 페이지들이 있는데
Kinds of Linked Pages ----> 그냥 xxx.html
게시판 달린 html
이렇게 있지 않습니까?
게시판이 없는 페이지는 그냥 링크를 걸면 아무런 상관이 없이 그 페이지 자체가 다 나타납니다. 그러니 기존의 만든 것을 그대로 쓰면 됩니다. 다만 링크주소가 조금 다르더군요. 앞선 말한 것 처럼 ?doc=를 더 삽입해야 한다는...
<<<<<물론 다른 방법, 그누스타일? >>>>> 이하 존칭 생략 ! 쓰다보니 설명글처럼 반말이....죄송!
1. 불변상위 부분 head.php
2. 변하는 부분 1, 2, 3, -----> 메뉴부분을 포함해서...글 내용이나 게시판 수용부분
3. 불변하위부분 tail.php
보통 웹페이지를 만들면 각 페이지 1, 2,3등은 위의 구조로 되어있다. 다라서 내가
aboutus. html이라는 웹페이지를 만들었다. 이것을 가지고 공통적인 부분 head, tail부분(sub포함)을 제외한 나머지 그부분을 추출하면 이부분이 인덱스처럼 메인부분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인덱스페이지를 만들때 나눈 head, headsub, tail, tailsub를 내가 만든 aboutus.html페이지에서 제거를 한다. 그러면 그 부분이 메인부분으로서
그 부분을 따로 aboutus.php로 만든다.
-----------------------------------------
만드는 방법?
해당부분의 code를 복사한후 바탕화면으로 가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new 라는 항목(한글 윈도우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text doucment라는 메모장을 클릭하여 연다. 그리고 복사한 것을 붙이고 save as...를 클릭한후(다른 이름으로 저장?) 파일 이름으로 abouus.php로 적고 저장하면 바탕화면에 aboutus.php라는 파일이 생겨난다.
-------------------------------------------
이것을 head.php와 같은 파일들이 있는곳에 넣어둔다. 그리고 메뉴바에서 링크를 걸때 ?doc=aboutus.php라고 적고 서버에 올린 후 웹브라우저를 열어본다.
이때 aboutus.php 맨 상단에 [ ]를 안 넣었다면...이상하게 뜨거나 안뜨지요. 이것 반드시 main.php이 있던 문구를 삽입한다.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 <------------주목해서 볼것
$html_title = "그누보드 3";
?>
이때 doctype이 degin이어야 aboutus.php를 띄울때 인덱스에서 만들때 둔 headsub,head, tail, tail,tailsub도 함께 떠서 자신의 aboutus.html의 내용전체가 다 나타난다.
그러면?
aboutus.html이라는 페이지에서 메인에 해당하는 부분이 새로운 스타일 시트가 적용되어져 있다. 그래서 이것인 소위 headsub부분에 더 첨가가 되어 있다. 다시말해 인덱스에서 만들때 만들어둔 headsub부분과 지금의 aboutus.html에서 나눌 headsub부분이 다르다는 것이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aboutus.html=head.sub(new) +head(new) + aboutus.php + tail(new) + tail.sub.php(new)
이런 경우, 무조건 aboutus.html에서 메인부분만 복사해서 [] + 해당내용=aboutus.php를 만들면 그것이 적용이 안된다. 따라서 다르게 변형된 headsub, head등이 있을 경우에는 indexdoctype.php에 가서 이것들을 한 묶음으로 나타나도록 첨가를 해준다.
------------------
// DESIGN 은 상단, 하단 파일을 필요로 하는 TYPE
case "DESIGN" :
include './head.sub.php';
include './head.php';
echo $ob_content;
include './tail.php';
include './tail.sub.php';
break;
// DESIGN 은 상단, 하단 파일을 필요로 하는 TYPE
case "DESIGN1" : <-----design1 : 그러면 aboutus.php위의 문구도
include './head1.sub.php'; <--new one 당연히 design1으로 해야 동일시되죠!
include './head1.php'; <--new one
echo $ob_content;
include './tail1.php'; <--new one : tail이나 tailsub가 변동이 없다면 굳이 안해도 됨
include './tail.sub1.php'; <--new one
break;
---------------------------------------------
aboutus.php 맨 상단에
------------------------------------------------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define("_DOCTYPE_", "DESIGN1"); <------------뭐라고 적어놓았는가? DESIGN1 !!!!!!!!!!!!!!!
$html_title = "그누보드 3";
?>
----------------------------------------
이렇게 하면 인덱스와 다른 aboutus.html 전체 내용이 다 뜬다. 그런데 조금 귀찮아서
그냥 ....?doc=aboutus.html이라고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지만 모든 페이지의 헤더와 테일의 부분이 변동이 없다면, 그냥 메인 부분들만 각기 새로운 이름을 붙여서 쓰면 되니깐 이것도 용량을 줄이는데는 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충 이해한바로,,,,,,,,,
<<<<<<<<<<<<<<<<<<<<<<<<<<<<<<<<<<<<<<<<<<
게시판이 있는 페이지는 인덱스 페이지에서 자르는 것과 상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게시판을 넣을 웹페이지를 상단, 하단 파일 (제로처럼 head, foot.php)로 나누어서 넣기 때문에 그냥 제로처럼 다루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게시판의 문서종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 조금식 다르게 나타납니다.
직접 실험을 해보십시오. design, style, none일때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실, 이 실험하다가 그누 게시판의 파일구조와 종류를 파악하는 훈련이 됩니다. 게시판의 문서의 어떤 것을 찾아서 문서종류를 바꿀지 뒤져야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게시판의 글쓰기를 할때 어떤 모양이 나타나는지...이것을 보면서 아, 처음 인덱스 페이지를 어떻게 쪼개는것이 이렇게 다양하게 나타나게 보이는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문서 종류와 인덱스 페이지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서로 상관이 있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1. 매 페이지마다 쓰는 상단의 표현법 2. 그 표현법에 있는 문서종류 3. 그리고 그 영향을 받는 헤더와 테일, 이것이 웹페이지에서 기본 룰로서 영향을 줍니다.)
어쨋던 이것 이해하시면 그누를 조작하는 것도 조금 알수 있습니다. 제로는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이용만 하는데 반해서.....)게시판을 아는 즐거움이 그누에는 잇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것들이 좀 성가셨습니다. 복잡한 것처럼 느껴지니깐요.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제로보다는 다양한 표현법이 더 있다는 생각에 좀더 풍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즐겁게 수용이 됩니다. 그리고 님이 말하신 것처럼 제로보다 안정적입니다. 다만 기본 룰(그누의 기본 판때기)을 준수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지만, 이것이 더 다양한 표현법을 준다고 생각하시면 조금 위로가 되실 것입니다.
(이렇게 쓰고보니 거의 그누맨이 된 기분이네요....그렇게 매니어 수준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그리고 나중에 로그인이나 최신글, 게시판 스킨을 만들때 생각보다 조작하기가 쉽습니다. 스킨 조작이 편하다는 것이 저는 다소 제로보다는 좋습니다. 그누에서 제공하는 기본 스킨들의 php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소위 삽질하기가 용의하다고나 할까요. 제로의 게시판은 직접 뜯어보지 않았지만...조금 복잡한 형태였습니다.
어쨋던 실험정신으로 몇번 해보시고 날밤 새우시면 그누의 장점을 알게 될 것 같습니다. 사실 느낌으로 이야기 한다면 조금 성가신 면이 있지만 어떻게 생각하면 조금 고급스럽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 불만은 그누가 깔끔한데, 치밀하지 않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조금 모양새가 오밀조밀한 느낌을 주지 않고 약간 blur의 느낌을 준다고나 할까? 조금 느슨한 느낌을 줍니다. 공간의 여백에서 오는 기분?????
제로의 게시판들은 조금 공간의 압축미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스킨 제작에서 오는 기분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참! headsub.php에서 자바스크립트 문구가 있습니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javascript.js'></script>
이것 없으면 새창이 열리지 않습니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javascript.js'></script>
이것 없으면 새창이 열리지 않습니다.
1.감사글
님의 글에 대하여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아주 자세한 예제들과 충분한 설명들로 인해 그누보드 기본구조를 공부하기 위해 이제껏 읽었던 모든 내용들이 하나하나 자리를 잡아가며, 정리가 되는 듯 합니다.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이것으로도 충분한 도움이 되었습니다. 실제 작업을 할때 또 시행착오가 발생하겠지만, --- 플래시 메뉴와
많은 이미지들에 관한 연결작업들 --- 하나하나 풀어나가다 보면 모두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2.추가글
그누보드 작업하신지는 몇개월 되셨나요? 현재 작업하시고 계시는 홈페이지-- 그누보드 게시판을 이용한 홈페이지--는 어느만큼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꼭 한번 보고싶습니다. url 을 적어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점차적으로 완성되어가는 홈페이지를 감상한다는게 신선한 재미를 가져다 주기 때문이지, 결코 나쁜 뜻은 없습니다.
3.끝으로
다시한번 감사를 드리며, 다가오는 2006년에도 하시는 일 모두 잘 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님처럼 좋은 분을 만나게 된것은 2005년말에 저에겐 마지막 행운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님의 글에 대하여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아주 자세한 예제들과 충분한 설명들로 인해 그누보드 기본구조를 공부하기 위해 이제껏 읽었던 모든 내용들이 하나하나 자리를 잡아가며, 정리가 되는 듯 합니다.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이것으로도 충분한 도움이 되었습니다. 실제 작업을 할때 또 시행착오가 발생하겠지만, --- 플래시 메뉴와
많은 이미지들에 관한 연결작업들 --- 하나하나 풀어나가다 보면 모두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2.추가글
그누보드 작업하신지는 몇개월 되셨나요? 현재 작업하시고 계시는 홈페이지-- 그누보드 게시판을 이용한 홈페이지--는 어느만큼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꼭 한번 보고싶습니다. url 을 적어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점차적으로 완성되어가는 홈페이지를 감상한다는게 신선한 재미를 가져다 주기 때문이지, 결코 나쁜 뜻은 없습니다.
3.끝으로
다시한번 감사를 드리며, 다가오는 2006년에도 하시는 일 모두 잘 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님처럼 좋은 분을 만나게 된것은 2005년말에 저에겐 마지막 행운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Gendalf님 글 잘 읽었습니다.읽다보니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다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게시판의 문서종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 조금식 다르게 나타납니다.
직접 실험을 해보십시오. design, style, none일때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부분에서요..design, style, none 이건 도대체 어디서 지정을 해줘야 되는 건가요?
"다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게시판의 문서종류를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 조금식 다르게 나타납니다.
직접 실험을 해보십시오. design, style, none일때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부분에서요..design, style, none 이건 도대체 어디서 지정을 해줘야 되는 건가요?
bbs하에 보면 gbform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gbform.php) 이 파일은 게시판의 글을 쓸때 보이는 화면의 내용입니다. 여기에 보면 문서 종류에 대해 설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따라서 여기에 설정한 문서 종류에 따라 글쓰기 화면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DESIGN
STYLE
NONE에 따라 글쓰기 상하 부분에 변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게시판의 리스트가 보이는 부분, 클릭을 해서 글쓴 것을 보는 부분들은 문서종류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문서종류의 변화에 영향을 입지 않지요.
일반적으로 그누보드를 설치하였을때 글쓰기화면은 스타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디자인으로 하고
앞뒤에 헤드와 풋 파일을 넣은 후 글스기를 클릭해보십시오. 그리고 난 다음에 다시 목록으로 넘어가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답은 스스로 한번 실험해보십시오. 그래야 다음에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경우, 당황해 하지 않을 것입니다. 게시판의 글쓰기 부분에 네비게이션바가 보이도록 하고 싶어서 디자인을 선택할 때 어던 문제가 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지, 특히 한 게시판은 앞뒤에 파일을 설치하지 않고, 한 게시판에는 앞뒤에 파일(head.php와 foot.php를 말하는 것입니다)을 두고 사용할 때
이것을 잘 고려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게시판의 앞뒤에 파일을 설정하는 경우, 문서종류를 스타일로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죠.
따라서 여기에 설정한 문서 종류에 따라 글쓰기 화면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DESIGN
STYLE
NONE에 따라 글쓰기 상하 부분에 변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게시판의 리스트가 보이는 부분, 클릭을 해서 글쓴 것을 보는 부분들은 문서종류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문서종류의 변화에 영향을 입지 않지요.
일반적으로 그누보드를 설치하였을때 글쓰기화면은 스타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디자인으로 하고
앞뒤에 헤드와 풋 파일을 넣은 후 글스기를 클릭해보십시오. 그리고 난 다음에 다시 목록으로 넘어가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답은 스스로 한번 실험해보십시오. 그래야 다음에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경우, 당황해 하지 않을 것입니다. 게시판의 글쓰기 부분에 네비게이션바가 보이도록 하고 싶어서 디자인을 선택할 때 어던 문제가 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지, 특히 한 게시판은 앞뒤에 파일을 설치하지 않고, 한 게시판에는 앞뒤에 파일(head.php와 foot.php를 말하는 것입니다)을 두고 사용할 때
이것을 잘 고려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게시판의 앞뒤에 파일을 설정하는 경우, 문서종류를 스타일로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