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자체가 처음입니다. 정보
그누보드 자체가 처음입니다.본문
호스팅도 처음이구요..
XE로 설정해서 쓰다가 한참 헤메이고 해서 찾아온 그누보드입니다.
1.유료인가요?
2.문자셋?이 UTF-8인가 그거인데 euc-kr로 전환해야 하나요??
(둘중 어느게 쓰기 나은지...왕초보입니다.)
3.설치는 어렵지 않은가요??
댓글 전체
1. 무료입니다.
2. 배포버전이 euc-kr도 있고, utf-8도 있습니다.
3. 설치는 http://sir.co.kr/manual/youngcart4/?man=g4.install2.htm 보시면 쉽게 하실 수 있어요.
2. 배포버전이 euc-kr도 있고, utf-8도 있습니다.
3. 설치는 http://sir.co.kr/manual/youngcart4/?man=g4.install2.htm 보시면 쉽게 하실 수 있어요.
1. 개인적 사용은 물론, 상업적 사용으로도 무료라고 하네요.
2. utf-8 , euc-kr 버전 둘 다 있구요. 보통 다국적용 사이트 제작시 utf-8 을 쓰는데, 앞으로의 대세는 utf-8 인 것 같습니다. 향후 유지관리차원에서도, 웬만하면 utf-8 이 좋을 것 같아요.
3. 저도 그누보드 처음 써보는데, 굉장히 쉽습니다. 근데, utf-8 최근 버전 설치시, 윈도우로 파일 다운 받아, 압축해제후, ftp 로 서버에 전송해 올리면, 이상하게도, index.php 파일이 빠져있더군요.
설치매뉴얼에서, 리눅스 서버상에서, " wget http://sir.co.kr/data/gnuboard4.tgz ' 로 파일 받고, 'tar xfz gnuboard4.tgz' 로 압축 해제후, 웹서버 루트에 폴더 올리고, 'chmod 777 gnuboard4' 로 속성 변경하니까,
제대로 설치가 됩니다.
2. utf-8 , euc-kr 버전 둘 다 있구요. 보통 다국적용 사이트 제작시 utf-8 을 쓰는데, 앞으로의 대세는 utf-8 인 것 같습니다. 향후 유지관리차원에서도, 웬만하면 utf-8 이 좋을 것 같아요.
3. 저도 그누보드 처음 써보는데, 굉장히 쉽습니다. 근데, utf-8 최근 버전 설치시, 윈도우로 파일 다운 받아, 압축해제후, ftp 로 서버에 전송해 올리면, 이상하게도, index.php 파일이 빠져있더군요.
설치매뉴얼에서, 리눅스 서버상에서, " wget http://sir.co.kr/data/gnuboard4.tgz ' 로 파일 받고, 'tar xfz gnuboard4.tgz' 로 압축 해제후, 웹서버 루트에 폴더 올리고, 'chmod 777 gnuboard4' 로 속성 변경하니까,
제대로 설치가 됩니다.
다운받아 설치해보시면 될 것을...ㅎㅎㅎ 무성의한 답변이 아니죠.
저도 이상하게 복잡한 xe가 싫어서 그누로 왔습니다
초보지요... 지금은 그래도 스킨 수정은 조금씩 하는 편입니다
무료고요
캐릭터셋은...
예전 자료들은 거의 euc-kr이 보통인 것 같습니다
차이점은 utf-8이 다국어지원을 한다는 정도뿐인 것 같고
utf-8이 비교적 표준에 더 적합하나 쓰이기 시작한지 2~3년? 정도랄까 아직 대세까지는 아니라서
euc-kr을 써도 별 무리가 없기에 아직까진 euc-kr이 많은 것 같습니다
메뉴에서 변환프로그램 가 보면 캐릭셋 바꿔주는 프로그램이 몇 개 있습니다
바꿔서 오류 나거나 하는 것은 없는 것 같으니 적당히 변환해가면서 쓰면 뭘 써도 무리는 없을 듯합니다
단 호스팅 서버가 utf-8을 지원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만, xe는 utf-8전용이므로 이점은 넘어가도 되겠고
그누보드는 2가지가 다 있으니까요 맘 가는대로 선택해서 쓰세요
설치 자체는 쉽습니다만......
제 경우는 메뉴(상단바) 부분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글로벌(1차)메뉴 로컬(2차)메뉴로 구분하고 글로벌 숫자만큼 sub메뉴를 만들어주는 특이한 구조였습니다
원래 상단바는 기본 구조상 없는 거였어요 없는 것을 만드는 식입니다
자유도가 높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처음에는 다소 공부가 필요한 부분 같습니다
자신의 욕심이 없는 편이라면 빌더자료실의 빌더 그대로 깔고 사용하면 어려운 부분은 없겠지만...
관리자 메뉴에서는 메뉴 그룹과 메뉴, 게시판 설정 정도를 관리할 수 있고
그 외의 것은 대부분 FTP로 대화한다고 봐야 할 듯한 것 같아 보여요(...?)
사실 xe에 여러 번 데이다 보니 그누는 떡먹기다 싶었는데 그렇게 쉽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매력이 있네요 XE는 알면 알수록 답답한 심정이었는데 그누는 뭔가를 조립해가는
재미가 있달까 질답란도 참 맘에 들었지요
초보지요... 지금은 그래도 스킨 수정은 조금씩 하는 편입니다
무료고요
캐릭터셋은...
예전 자료들은 거의 euc-kr이 보통인 것 같습니다
차이점은 utf-8이 다국어지원을 한다는 정도뿐인 것 같고
utf-8이 비교적 표준에 더 적합하나 쓰이기 시작한지 2~3년? 정도랄까 아직 대세까지는 아니라서
euc-kr을 써도 별 무리가 없기에 아직까진 euc-kr이 많은 것 같습니다
메뉴에서 변환프로그램 가 보면 캐릭셋 바꿔주는 프로그램이 몇 개 있습니다
바꿔서 오류 나거나 하는 것은 없는 것 같으니 적당히 변환해가면서 쓰면 뭘 써도 무리는 없을 듯합니다
단 호스팅 서버가 utf-8을 지원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만, xe는 utf-8전용이므로 이점은 넘어가도 되겠고
그누보드는 2가지가 다 있으니까요 맘 가는대로 선택해서 쓰세요
설치 자체는 쉽습니다만......
제 경우는 메뉴(상단바) 부분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글로벌(1차)메뉴 로컬(2차)메뉴로 구분하고 글로벌 숫자만큼 sub메뉴를 만들어주는 특이한 구조였습니다
원래 상단바는 기본 구조상 없는 거였어요 없는 것을 만드는 식입니다
자유도가 높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처음에는 다소 공부가 필요한 부분 같습니다
자신의 욕심이 없는 편이라면 빌더자료실의 빌더 그대로 깔고 사용하면 어려운 부분은 없겠지만...
관리자 메뉴에서는 메뉴 그룹과 메뉴, 게시판 설정 정도를 관리할 수 있고
그 외의 것은 대부분 FTP로 대화한다고 봐야 할 듯한 것 같아 보여요(...?)
사실 xe에 여러 번 데이다 보니 그누는 떡먹기다 싶었는데 그렇게 쉽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매력이 있네요 XE는 알면 알수록 답답한 심정이었는데 그누는 뭔가를 조립해가는
재미가 있달까 질답란도 참 맘에 들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