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 자동세팅.. 결국은 다른 방법으로 해결했어요. 정보
패스 자동세팅.. 결국은 다른 방법으로 해결했어요.
본문
아래부터 계속 자동세팅 방법가지고 도배질을 해서 정말 미안합니다.
혹시 저 같이 이런 경우 당하시는 분들께는 참고 되시기를... 하는 마음에 다시 올려요.
같은 루트 아래에 있다면 index.php와 command.php가 어디 있든, 다른 디렉토리에 있든,
혹은 index.php가 상위 디렉토리에 있든지 간에 path가 자동으로 맞추어져서
아웃로그인 같은 거 걸 때 패스 경로 때문에 애먹었던 점을 해결해 볼려고 했는데요...
결과적으로 소스수정 후에 DB환경파일을 못 찾아서 접속이 안 되었어요.
웃기는 것은, 유료계정에서는 안 되고.. 똑 같은 파일로 무료계정에 올린 것은 됐지 뭐예요.
마지막으로 유창화님의 도움을 받아
무료계정의 접속 주소는 "ID.Domain.com"이었던 것에 반해
유료계정의 접속 주소는 "Domaim.com/~ID"인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command.php에서 접속되는 주소환경을 강제로 잡기로 했어요.
그래서 추가한 유창화님 소스 중에서 $_SERVER['DOCUMENT_ROOT']와 $_SERVER['HTTP_HOST']를 강제로 절대경로와 주소창경로로 맞추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해결이 안 되었습니다.
원천적인 문제는 따로 있었던 것 같아요.
이제 결론을 말하자면,,,,,,
이번 사건(?)은 결국, 웹호스팅 담당자에게 무료도메인을 하나 달라고 해서 (처음 가입시 신청하는 건데 안했었음. 포워딩서비스) 그걸로 접속하는 것으로 해결하였어요.
그러니까, 유창화님의 소스는 원본 그대로 쓰고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때 주소창의 주소를 제공하는 도메인으로 하니까
잘 되더라구요... (ID.ro.ty 같은 거 말입니다.)
그런데 참 이상한 건
무료계정의 접속주소나, 호스팅업체에서 새로 준 접속주소나
어차피 2차도메인.. 가짜로 넘기는 건데 Domain.com/~ID 했을 때는 접속이 불량나고
ID.Domain.com으로 하면 정상으로 된다니 참 신기하네요.. ^^
하여튼 유창화님과 도와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
어차피 2차도메인.. 가짜로 넘기는 건데
==> 가짜가 아닙니다. DNS에 등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Domain.com/~ID 했을 때는 접속이 불량나고
==> 서버에 ID라는 계정이 없으면 그렇게 됩니다.
ID.Domain.com으로 하면 정상으로 된다니 참 신기하네요.. ^^
==> 아파치 virutal host 설정으로 해 주는 겁니다.
==> 가짜가 아닙니다. DNS에 등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Domain.com/~ID 했을 때는 접속이 불량나고
==> 서버에 ID라는 계정이 없으면 그렇게 됩니다.
ID.Domain.com으로 하면 정상으로 된다니 참 신기하네요.. ^^
==> 아파치 virutal host 설정으로 해 주는 겁니다.
==> 가짜가 아닙니다. DNS에 등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 주서버와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면 도메인관리 항목에서 지정 가능한 것으로 아는데요?
그렇지 않다면 ID.Domaim.com으로 계정 줄 때마다 무료도메인 업체에서 DNS 등록해야 하게요????
제 말은 ID.Domaim.com 이런 주소가 어차피 가짜다... 이 말이예요..ㅜ.ㅜ
==> 서버에 ID라는 계정이 없으면 그렇게 됩니다.
제가 지금 ~ID로 되는 계정가지구 하다하다 못해서 여기 글 올린건데... ㅠ.ㅠ
==> 아파치 virutal host 설정으로 해 주는 겁니다.
그러니까 왜 $_SERVER['DOCUMENT_ROOT']로 설정을 잡아줘도 ID.Domain.com의 virutal host 설정에서는 잡아주고 Domain.com/~ID의 virutal host 설정에서는 못 잡아주냐구요... 흑흑... ㅜ.ㅜ
:: 주서버와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면 도메인관리 항목에서 지정 가능한 것으로 아는데요?
그렇지 않다면 ID.Domaim.com으로 계정 줄 때마다 무료도메인 업체에서 DNS 등록해야 하게요????
제 말은 ID.Domaim.com 이런 주소가 어차피 가짜다... 이 말이예요..ㅜ.ㅜ
==> 서버에 ID라는 계정이 없으면 그렇게 됩니다.
제가 지금 ~ID로 되는 계정가지구 하다하다 못해서 여기 글 올린건데... ㅠ.ㅠ
==> 아파치 virutal host 설정으로 해 주는 겁니다.
그러니까 왜 $_SERVER['DOCUMENT_ROOT']로 설정을 잡아줘도 ID.Domain.com의 virutal host 설정에서는 잡아주고 Domain.com/~ID의 virutal host 설정에서는 못 잡아주냐구요... 흑흑... ㅜ.ㅜ
Domain.com/~ID
이렇게 했을때도 $_SERVER['DOCUMENT_ROOT']
값이 있는데요
차이점은
Domain.com 의 웹루트 경로가 찍히게 됩니다.
해결이 잘 안되거나 막힐 때는
아무생각없이 페이지 제일 상단에 여러가지 변수를 출력해보세요
그럼 원인을 찾게 되고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도 한번 찍어보세요
echo $_SERVER['DOCUMENT_ROOT'];
이렇게 했을때도 $_SERVER['DOCUMENT_ROOT']
값이 있는데요
차이점은
Domain.com 의 웹루트 경로가 찍히게 됩니다.
해결이 잘 안되거나 막힐 때는
아무생각없이 페이지 제일 상단에 여러가지 변수를 출력해보세요
그럼 원인을 찾게 되고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도 한번 찍어보세요
echo $_SERVER['DOCUMENT_ROOT'];
답변 감사합니다.
어쨌든 제가 잘 몰라서 헤매는 것이니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더 시도해 보겠습니다.~~
어쨌든 제가 잘 몰라서 헤매는 것이니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더 시도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