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질문 하나... RSS를 저장할 수는 있나요? 정보
갑자기 질문 하나... RSS를 저장할 수는 있나요?
본문
팁란을 돌아다니면서 RSS를 통해서 신문사 사이트로 부터
기사들의 제목을 자동으로 끌어다가 링크를 만들어 주는 PHP소스를 봤는데요....
또, fsockopen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구요...
제 생각에는 오히려 실시간이라서 불편한 경우도 있을 거 같아서 말예요...
특히 해외 교포 대상이라든지, 인터넷 환경 느린 곳에서
일일이 RSS로 기사를 끌어오는 페이지를 열면
너무 느려서 도저히 못 기다릴 정도도 많아서요...
뭐, 운영하는 사이트가 포털수준이면 몰라두,
그렇게 꼭 실시간으로 서비스할 필요도 없을 것두 같구....
만약에 계정에 올려둔 PHP가 자동으로 1시간 마다 기사를 긁어 와서
자동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저장하고 있다면 (이런걸 인덱스 만든다고 하나? 죄송..)
방문자가 더 빠르게 볼 수 있을 것두 같구, 디자인도 이뻐질 것 같은데 말예요...
이런 방법은 PHP로 할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하나요? 어떤 사이트에서 자료를 얻을 수 있을까요?
만약에 PHP로는 안되고 서버에 프로그램을 올려두고 해야 하는 경우라면,
유료 웹호스팅에서 FTP를 사용하는 정도 밖에 안되는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을까요?
고수님들의 조언이나 아이디어 교환을 기다릴께요.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전체
가져 왔으니 저장할 수 있죠.
하지만 RSS는 저장 안 하고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장점 아닌가요? 다른 것도 있겠지만요.
하지만 RSS는 저장 안 하고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장점 아닌가요? 다른 것도 있겠지만요.
그러니까, 저장하는 방법이 뭐냐구요... 그걸 알 수 있는 홈페이지라도 아시면...좀...ㅜ.ㅜ
글구,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속도상의 얼마나 손해인지 제가 많이 느껴봐서 그런거거든요...
뉴스사이트가 1초마다 새 뉴스를 올리는 것도 아니구... ㅜ.ㅜ
글구,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속도상의 얼마나 손해인지 제가 많이 느껴봐서 그런거거든요...
뉴스사이트가 1초마다 새 뉴스를 올리는 것도 아니구... ㅜ.ㅜ
> 그러니까, 저장하는 방법이 뭐냐구요...
이미 질문내용중에서 fsockopen함수에 관한 언급이 있었군요.
그누보드와 연동시키기 위한 나머지 사항은 rss관련 스킨을 참조하십시오.
> 글구,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속도상의 얼마나 손해인지 제가 많이 느껴봐서 그런거거든요...
누가(주체는 생략),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상태에서 답변을 주실 분이 상상만으로 답변을 할 수는 없겠지요.
지정된 시간마다 실행하는 방법이라면...
crontab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단순한 계정사용자의 경우는 불가능하겠군요.
다만, 비슷한 형태로 흉내를 낼 수는 있을지 몰라도,
이것은 동일한 형태가 아니라는 것은 아시겠군요.
이미 질문내용중에서 fsockopen함수에 관한 언급이 있었군요.
그누보드와 연동시키기 위한 나머지 사항은 rss관련 스킨을 참조하십시오.
> 글구, 항상 최신 것을 가져 온다는 것이 속도상의 얼마나 손해인지 제가 많이 느껴봐서 그런거거든요...
누가(주체는 생략),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상태에서 답변을 주실 분이 상상만으로 답변을 할 수는 없겠지요.
지정된 시간마다 실행하는 방법이라면...
crontab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단순한 계정사용자의 경우는 불가능하겠군요.
다만, 비슷한 형태로 흉내를 낼 수는 있을지 몰라도,
이것은 동일한 형태가 아니라는 것은 아시겠군요.
결국, 단순 계정 사용자는 힘들겠네요... ㅠ.ㅠ 아휴 안타까워라...
어쨌든 답변 주신 것, 감사합니다~~
단순 계정 사용자는 무조건 실시간으로 불러 올 수 밖에 없네요.. 그쵸?
아.. 그리고 실시간문제의 시비를 가릴려고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걸 답변 들을려고 한 것이 아니랍니다.
왜 저장하려는지에 대해 이유를 적으려고 한 것 뿐이거든요...
한가지 예를들자면, 해외의 경우 가정에 연결된 ADSL이 어떤 나라는 비만오면 우리나라의 1/10의 속도도 못 미칩니다. 질문에 이미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는 적었지요?
누가(해외교민이), 언제(한국뉴스를 볼때), 어디서(해외에서), 무엇을(실시간으로 불려지는 뉴스페이지를), 어떻게(무지 느린 인터넷 속도와 한국서버와의 엄청난 거리로), 왜(한국 소식을 보고 싶어서).
심지어는 뉴스 불러오는 동안 컴퓨터가 다운된 것처럼 아예 죽어버려요.(남미에 계신 교포가 말씀해 줌)
그래서 어떻게든 저장된 문서로 만들고 싶었는데.... 아... 모르는 것이 죄송할 뿐이지요 모.. ^^
답변 달아 주신 것 감사합니다~~
어쨌든 답변 주신 것, 감사합니다~~
단순 계정 사용자는 무조건 실시간으로 불러 올 수 밖에 없네요.. 그쵸?
아.. 그리고 실시간문제의 시비를 가릴려고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걸 답변 들을려고 한 것이 아니랍니다.
왜 저장하려는지에 대해 이유를 적으려고 한 것 뿐이거든요...
한가지 예를들자면, 해외의 경우 가정에 연결된 ADSL이 어떤 나라는 비만오면 우리나라의 1/10의 속도도 못 미칩니다. 질문에 이미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는 적었지요?
누가(해외교민이), 언제(한국뉴스를 볼때), 어디서(해외에서), 무엇을(실시간으로 불려지는 뉴스페이지를), 어떻게(무지 느린 인터넷 속도와 한국서버와의 엄청난 거리로), 왜(한국 소식을 보고 싶어서).
심지어는 뉴스 불러오는 동안 컴퓨터가 다운된 것처럼 아예 죽어버려요.(남미에 계신 교포가 말씀해 줌)
그래서 어떻게든 저장된 문서로 만들고 싶었는데.... 아... 모르는 것이 죄송할 뿐이지요 모.. ^^
답변 달아 주신 것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웹호스팅 환경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url_fopen의 옵션이 막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부 웹호스팅에서는 옵션이 풀려있습니다. 일례로 dasir.co.kr은 on/on 으로 체크되어 있습니다.)
fsockopen을 이용해 g4게시판 스킨에 등록되어 있는 RSS Reader스킨을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앞서 기재한 url_fopen의 설정이 on/on이라면 해당 스킨의 사용만으로도
아주 간편하게 수집이 가능합니다.
원 게시물 및 직전의 코멘트에서 말씀하시려는 바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습니다.
sir에서는 RSS READER쪽 메뉴를 지칭하는 내용이라는 것도...
저 또한 사무실에서는 해당 기능에 관해 모든 옵션을 체크한 상태에서 READER를 가동시키면,
네트워크 전송상태에 따라 웹브라우저가 다운되거나 심한경우에는
시스템 자체가 다운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때문에 RSS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라고도 볼 수 있는 실시간의 개념을 보완하기 위해서,
READER로 수집된 내용을 자신의 계정 DB에 저장(게시물의 일반적인 저장 형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고,
이것이 바로 g4게시판 스킨에 등록되어 있는 RSS READER 스킨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일단 sir자체의 (실시간 개념으로 돌아가고 있는)RSS READER를 이용하는 부분보다는,
READER 스킨으로 목적하는 분야의 게시물의 자신의 DB에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해 보시면 됩니다.
이것은 우려하는 바와 같이 큰 속도지연이나 부하를 일으키는 방식은 아닙니다.
구현형태는 쪽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url_fopen의 옵션이 막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부 웹호스팅에서는 옵션이 풀려있습니다. 일례로 dasir.co.kr은 on/on 으로 체크되어 있습니다.)
fsockopen을 이용해 g4게시판 스킨에 등록되어 있는 RSS Reader스킨을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앞서 기재한 url_fopen의 설정이 on/on이라면 해당 스킨의 사용만으로도
아주 간편하게 수집이 가능합니다.
원 게시물 및 직전의 코멘트에서 말씀하시려는 바가 무엇인지는 알고 있습니다.
sir에서는 RSS READER쪽 메뉴를 지칭하는 내용이라는 것도...
저 또한 사무실에서는 해당 기능에 관해 모든 옵션을 체크한 상태에서 READER를 가동시키면,
네트워크 전송상태에 따라 웹브라우저가 다운되거나 심한경우에는
시스템 자체가 다운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때문에 RSS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라고도 볼 수 있는 실시간의 개념을 보완하기 위해서,
READER로 수집된 내용을 자신의 계정 DB에 저장(게시물의 일반적인 저장 형태)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고,
이것이 바로 g4게시판 스킨에 등록되어 있는 RSS READER 스킨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일단 sir자체의 (실시간 개념으로 돌아가고 있는)RSS READER를 이용하는 부분보다는,
READER 스킨으로 목적하는 분야의 게시물의 자신의 DB에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해 보시면 됩니다.
이것은 우려하는 바와 같이 큰 속도지연이나 부하를 일으키는 방식은 아닙니다.
구현형태는 쪽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