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conf 파일 완벽 가이드 입니다. > 개발자팁

개발자팁

개발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d.conf 파일 완벽 가이드 입니다. 정보

PHP httpd.conf 파일 완벽 가이드 입니다.

본문

httpd.conf 파일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Section 1: Global Environment  : 아파치 전체적인 영향이 미치는 설정
    Section 2: 'Main' server configuration : 주 서버에 대한 설정
    Section 3: Virtual Hosts : 가상 호스트에 대한 설정
 
  자, 그럼 이제부터 이 아파치웹서버의 모든 환경을 설정하는 아파치환경파일 httpd.conf파일의 설정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Section 1: Global Environment
 
  전제환경설정 파트로 Section 1에서 설정하는 것들은 아파치 웹서버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친다.
 
ServerType standalone
 
  서버의 구동방법으로는 standalone과 inetd방식이 있는데,  standalone
방식은 하나의 웹데몬(아파치서버)이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모두 처리하는
방식으로 응답속도가 빠른 방법으로 주로 이방식을 사용한다. inetd 방식은
inetd라는 시스템의 /etc디렉토리 끝에 존재하는 inetd라는 슈퍼데몬이
클라이언트의 접속요구가 있을 때마다 웹서버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응답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인 standalone으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ServerRoot "/usr/local/apache"
 
  아파치서버의 홈디렉토리를 지정하며 절대경로로 지정한다. 이후로 나오는
대부분의 패스들은 이 경로에 대한 상대경로로 지정이 된다. 예를 들어
환경설정파일, 에러로그파일등의 상대경로의 기준이 되는 위치이다.


LockFile logs/accept.lock
 
  아파치 컴파일시 USE_FCNTL_SERIALIZED_ACCEPT나
USE_FLOCK_SERIALIZED_ACCEPT으로 컴파일 했을 때 사용되는
LockFile의 경로지정시에 사용된다. 가급적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PidFile logs/httpd.pid
 
  PidFile 설정은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했을때만 유효한
것으로 아파치 서버의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있을 때 그 프로세서ID(PID)를
기록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당연히 아파치서버가 재시작되거나 과부하로
인해 PID가 바뀌게 될 경우에는 이 파일의 PID값도 바뀌게 된다.  즉
다시말해서 여기서 지정된 파일(httpd.pid)에 실행되고 있는 아파치서버의
프로세스번호(PID)값이 기록된다고 하면 정답이다. ServerRoot를 기준으로한
상대경로로 지정된다.  절대경로로 지정하려면 "/"로 시작하는 절대경로를
적어주면 된다.

 
 

ResourceConfig conf/srm.conf
AccessConfig conf/access.conf

  아파치 서버의 환경설정파일은 3개이au httpd.conf, srm.conf, access.conf
가 그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설정파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지금은 httpd.conf파일안에 3개의 파트(Section)로 나누어서 하나의
파일안에서 설정을 하고 있다. srm.conf와 access.conf파일의 내용은 현재
비어있는 상태이지만, 필요하다면 이 파일 내에도 설정을 할 수 있다.
아파치 서버가 실행이 될 때는 httpd.conf, srm.conf, access.conf 순으로
언제나 이 3개의 파일을 모두 읽고 난뒤에 실행이 되기 때문이다. 만약 이
두 개의 파일을 서버가 무시하도록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거나 "#"으로 붙여
두면 주석처리되어 무시된다.
 
ResourceConfig /dev/null
AccessConfig /dev/null
 

Timeout 300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서버와 연결이 되었을 때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아무런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오류로 처리될 시간을
초단위로 설정한다. 초기값은 1200이며 보통은 300초로 지정을 한다.
네트웍의 속도가 나쁠수록 수치값은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KeepAlive On
 
  접속한 채로 특별한 요청없이 지속적인 연결을 허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허용하지 않으려면 off
 
MaxKeepAliveRequests 100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시간동안 아파치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최대의
개수를 지정한다. 0을 지정하면 제한없음을 의미하며, 서버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가능한 높은 값이 좋다.
 
KeepAliveTimeout 15

  아파치 서버는 같은 접속상태의 클라이언트에서 여기서 지정한 초만큼의
요청이 없었을 때 접속을 끊게 된다.

MinSpareServers 5
MaxSpareServers 10

  아파치 웹서버는 성능향상과 빠른 응답속도를 위해 유휴서버(현재
서비스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만들게 되는데 이 유휴서버의 개수는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유휴서버가 MinSpareServers의 개수(5) 보다
적게되면 추가로 생성을 하게 되며 MaxSpareServers의 개수(10)보다 많게
되면 죽이게 된다. 즉, 유휴서버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StartServers 5 
 
  아파치 웹데몬이 구동될 때 자식프로세스를 몇 개로 할 것인가를
지정한다. 시작할 때 동시에 띄우게 될 웹데몬의 개수이다. 그러나 웹데몬이
구동되고 난 뒤엔 시스템의 상황(부하율등)에 따라 대부분 합리적인
개수만큼 동적으로 생성되었다가 죽기도 하므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MaxClients 150

  아파치웹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최대갯수는 이 상한값으로
제한한다. 여기서 지정한 개수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생긴다면
아파치는 응답하지 않고 이 요청을 무시한다.  이를 제한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자원을 아파치 웹서버가 무한정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MaxRequestsPerChild 30
 
  아파치 웹서버의 자식프로세스들이 클라이언트의 요청 개수를 지정한다.
만약 자식프로세스가 이 값만큼의 클라이언트요청을 받았다면 이
자식프로세스는 자동으로 죽게된다. 이 값이 0으로 설정이 된다면
자식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죽는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0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프로세스의 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시스템의 부하조절과
자원낭비를 어느정도 방지 할 수 있다.
 
Listen 3000
Listen 12.34.56.78:80
 
  시스템의 기본값이외에 다른 IP Address와 포트에 대해서도 연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환경설정파일(httpd.conf) 맨뒤에 나오는 가상호스트(Virtual
Host)부분에서 설정되는 가상호스트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BindAddress *
 
  서버가 응답할 수 있는 IP Address를 설정하는 것이다. 하나의 시스템에
있는 아파치웹서버 하나로 여러 웹서버처럼 관리하는 웹호스팅서비스등에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여러 IP Address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으로
설정이 되었다면 모든  IP Address에 대해 응답할 수 있으며, IP Address를
지정한다면 지정한 IP Address에 대해서만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여러개의
IP Address를 ISP로부터 할당받아서 웹호스팅서비스를 하고자 한다면
이부분에서 지정해 주면된다. 이 설정파일의 맨 뒷부분에 나오는
<VirtualHost>~</VirtualHost>부분의 IP bind 가상호스트부분에서 아파치
웹서버가 응답할 수 있도록 하려면 여기서 IP Address를 지정해 줘야 한다.
 
ExtendedStatus On
 
  server-status로 아파치웹서버의 상태를 상태를 모니터링 할 때
"자세한상태정보"기능을 제공할 것인지(On) 아닌지(Off)를 설정하는 것이다.
 
### Section 2: 'Main' server configuration
 
  Section 2에서 설정하는 항목들은 아파치의 주된서버가 사용할 값들을
지정한다. <VirtualHost>에 정의된 가상호스트들에서 지정하지 않는 것은
여기서 지정된 값이 기본값으로 적용된다. 또한 여기서 지정하는 값을 각
<VirtualHost>내에도 지정할 수 있으며 이경우엔 각<VirtualHost>내에서
지정한 값이 우선적용된다.
 
Port 80

  아파치웹서버의 기본포트를 지정한다. 특별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80번으로 해둬야 한다. 사용가능한 포트는 0 ~ 65535이며 1024이하의
포트번호는 시스템에서 특별하게 예약되어 있으므로 80번 이외의 다른
포트를 사용하려면 1024이상의 포트번호를 지정해서 사용해야 할 것이다.
특별한 지정이 없다면 <VirtualHost>에 정의된 각각의 가상호스트들의
기본포트가 된다. 만약 <VirtualHost> 내에서 Port가 지정이 된다면 그
포트번호가 우선한다.
 
(특별히 PORT를 따로 지정해 줄 필요가 있을 때는 따로 지정해 주며,
이때는 웹서버로 접근할 때 반드시 따로지정한 PORT번호로 접근해야 한다.
예를들어 Port 1234로 지정했다면, 접근시 : http://www.domain.co.kr:1234
로 접속해야한다. 단, 80번은 default이므로 Port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도메인만으로 그냥 접근할 수 있다. 예: http://www.domain.co.kr )
 
User nobody
Group nobody

  아파치 웹데몬이 요청을 받았을 때 여기서 지정한 user와 group으로
응답을 하게된다. 이 설정은 ServerType이 Standalone방식이며, 아파치의
실행이 root권한으로 실행이 되었을 때 유효한 것이다. 많은
웹서버관리자들이 nobody로 설정을 해 두고 있으며, 만약 시스템에 nobody
user가 없다면 새로생성(useradd)을 해야 할 것이다. 단, root로 설정하는
것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되며 nobody이외의 다른 시스템사용자 id로 지정을
한다면 정말 신중히 모든면(시스템 보안 및 자원사용등)에서 깊게 고려를
해봐야 한다.
 
ServerAdmin www.manualand.co.kr
    ErrorLog /home/sspark/public_html/aw/error_log
    CustomLog /home/sspark/public_html/aw/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ServerAdmin은 해당서버의 관리자 전자우편이며,
        DocumemtRoot는 해당서버의 홈디렉토리이며,
        ServerName은 해당서버의 도메인이며,
        ErrorLog는 해당서버의 에러파일 위치이며
        CustomLog는 로그파일위치와 포맷을 지정한 것이다.
 
<VirtualHost _default_:*>
</VirtualHost>
 
  Default 가상호스트 설정으로 위에서 설정되지 않은 다른 모든 호스트에
대해서 응답을 하고자 할 경우설정해 준다.

추천
0

댓글 0개

전체 5,397
개발자팁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