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ful 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일까요? 정보
Restful 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일까요?
본문
저는 잘 모르는 관계로
https://ko.wikipedia.org/wiki/REST
의 내용을 참고하여 이했습니다.
"엄격한 의미로 REST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란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전반을 일컫는다."
그런데 사용되는 예로는 주소체계 이외에
데이타를 다루는 방법까지도 포함하는 것 같은데 (Ajax 로 json 데이타를 가져오는것과 같은)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사실 대화 하다보면 용어에서 오는 오해가 참 많은 것 같습니다.
당연히, 이 사람도 이 용어를 내가 생각한것처럼 이해하고 있겠지 하고 대화를 하다보면
이야기 방향이 이상하게 흘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같은 용어로 대화를 하지만,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용어의 정확한 이해와 사용은, 특히나 프로그램 관련에서는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공감
0
0
댓글 7개

Drupal에서의 정의는 https://www.drupal.org/documentation/modules/rest
What is REST?
Web Services make it possible for other applications to read and update information on your site via the Web. REST is one of a number of different ways of making Web Services available on your site. In contrast to other techniques such as SOAP or XML-RPC, REST encourages developers to rely on HTTP methods (such as GET and POST) to operate on site resources.
If you are new to REST, you can find out more about HTTP methods, and other REST topics such as media types, and hypermedia, in the More info on REST section.
What is REST?
Web Services make it possible for other applications to read and update information on your site via the Web. REST is one of a number of different ways of making Web Services available on your site. In contrast to other techniques such as SOAP or XML-RPC, REST encourages developers to rely on HTTP methods (such as GET and POST) to operate on site resources.
If you are new to REST, you can find out more about HTTP methods, and other REST topics such as media types, and hypermedia, in the More info on REST section.


Rest
목적은
Web 서비스를 통해 다른 응용 프로그램 이 읽고, Web 을 통해 자신 의 사이트 에서 정보 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만듭니다.
정의는
HTTP 의 GET 이나 POST 를 이용하고,
주소체계에는 특정 규칙을 주어서 파라미터를 제외한 주소만으로
받을 데이타와 받을 데이타 타입 같은것을 지정해주는 방법 자체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xml, json 같은 데이타 타입을 지원을 하는 것이나
리스트 출력시에 ajax를 사용하는 것 같은 것은,
Rest 의 정의에 포함된 내용이 아니라는 뜻이며,
Rest 와 함께 구현되어져야 할 기능 정도 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리스트
http://domain/boards/free or http://domain/boards/free/xml or http://domain/boards/free/json
글보기
http://domain/boards/free/101 or http://domain/boards/free/101/xml or http://domain/boards/free/101/json
글쓰기
http://domain/write/boards/free
글쓰기 저장
http://domain/update/boards/free
글수정
http://domain/write/boards/free/101
글수정 업데이트
http://domain/update/boards/free/101
글삭제
http://domain/delete/boards/free/101
이런 류의 주소 체계를 rest 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모바일주소와 웹주소의 별다른 구분없이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
header 의 agent 정보로서 웹 화면을 뿌릴지 모바일 화면을 결정한다.
검색엔진의 seo 에도 유용하고,
sns 공유에도 유용하고,
앱이나 기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도 용이한 주소체계 전반
목적은
Web 서비스를 통해 다른 응용 프로그램 이 읽고, Web 을 통해 자신 의 사이트 에서 정보 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만듭니다.
정의는
HTTP 의 GET 이나 POST 를 이용하고,
주소체계에는 특정 규칙을 주어서 파라미터를 제외한 주소만으로
받을 데이타와 받을 데이타 타입 같은것을 지정해주는 방법 자체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xml, json 같은 데이타 타입을 지원을 하는 것이나
리스트 출력시에 ajax를 사용하는 것 같은 것은,
Rest 의 정의에 포함된 내용이 아니라는 뜻이며,
Rest 와 함께 구현되어져야 할 기능 정도 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리스트
http://domain/boards/free or http://domain/boards/free/xml or http://domain/boards/free/json
글보기
http://domain/boards/free/101 or http://domain/boards/free/101/xml or http://domain/boards/free/101/json
글쓰기
http://domain/write/boards/free
글쓰기 저장
http://domain/update/boards/free
글수정
http://domain/write/boards/free/101
글수정 업데이트
http://domain/update/boards/free/101
글삭제
http://domain/delete/boards/free/101
이런 류의 주소 체계를 rest 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모바일주소와 웹주소의 별다른 구분없이 사용할수 있어야 한다.
header 의 agent 정보로서 웹 화면을 뿌릴지 모바일 화면을 결정한다.
검색엔진의 seo 에도 유용하고,
sns 공유에도 유용하고,
앱이나 기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도 용이한 주소체계 전반
저도 첨엔 단순히 URI를 간편하게 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적용하다 보니 그런게 아니였네요..
URI의 리소스를 가지고, HTTP의 기본 GET, PUT, POST, DELETE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http://www.restapitutorial.com에 영어로 되어 있지만 눈 동냥으로 보면 대략의 이해는 갑니다.
추가로 http://www.hoons.net/lecture/view/391 참고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URI의 리소스를 가지고, HTTP의 기본 GET, PUT, POST, DELETE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http://www.restapitutorial.com에 영어로 되어 있지만 눈 동냥으로 보면 대략의 이해는 갑니다.
추가로 http://www.hoons.net/lecture/view/391 참고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네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이게 더 정확한 정의 일것 같습니다.
"URI의 리소스를 가지고, HTTP의 기본 GET, PUT, POST, DELETE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이게 더 정확한 정의 일것 같습니다.
"URI의 리소스를 가지고, HTTP의 기본 GET, PUT, POST, DELETE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재밌는 링크가 있어서 남깁니다. ^^
http://www.looah.com/article/view/1951
http://www.looah.com/article/view/1951

ㅎㅎ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