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앱의 큰 방향성에 대해서 토의... (Restful) > 앱개발

앱개발

그누보드 앱의 큰 방향성에 대해서 토의... (Restful) 정보

그누보드 앱의 큰 방향성에 대해서 토의... (Restful)

본문

제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 실력은 거의 없습니다.  

 

단지 관심이 있어서.. 구글해본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크게 정해야 될 부분은

 

Restful

   무겁게 가지 않으면서 속도 유지,  간편함등을 유지한다고 하면..

  1-1. Slim Framework http://www.slimframework.com/

  1-2. Lumen  http://lumen.laravel.com/

 

Lumen웹사이트를 보면 속도 비교 차트 Slim이 1800, Lumen이 1900이라고 합니다. (조금 빠름?)

 

그러나 

 

http://phpsw.uk/talks/a-slim-3-primer  

 

여기 동영상을 보면 Slim Framework 3.0이 조만간 릴리스 될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저는 Slim으로 우선 공부 시작..

 

공감
0

댓글 23개

궁금 한것 몇개 여쭤보겠습니다.

1. cordova를 사용하여 앱을 제작시 Restful 은 필수 입니까?

2. http://sir.co.kr/so_app/9 와 같이 현재 그누보드 사이트의 주소 체계는 Restful 이라고 볼수 없습니까?

3. Restful 을 구현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까?



일단,

"Apache Cordova is a platform for building native mobile applications using HTML, CSS and JavaScript"

"Apache Cordova 는 HTML, CSS 그리고 JavaScript를 사용하여 모바일앱(native)을 만들기 위한 플랫폼이다"

라고 이해는 했습니다.



구글 apk 와 비교하자면,

apk 는 안드로이드 전용이며, 자바를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cordova 는 OS 에 제한적이지 않고, HTML, CSS 그리고 JavaScript 외의 언어는 필요하지 않다.

정도 인것 같습니다.



앞으로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1. restful은 거의 필수라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webview와 달리 cordova는 아무래도 app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기본되는
  html css js를 local에서 가지고 있고 해당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에서 reslful하는
  방식인듯 합니다. (저도 아직 초짜라..)
2. 그누보드같은 경우는 mvc패턴이 아닌 view에서 php를 포함하는 형태라
  view에서 핑요한 변수와 배열을 view에서 php단으로 처리하고 있기때문에
  조금 하이브리드 형태에선 받아올수 없는 형태입니다.
  요즘은 json형태로 주고 받는것이 보통입니다.
3. 프레임웍은 반즛이 필요한것은 아닌거 같습니다만..
  요즘 여러가지 cordova를 지원하는 프레임웍이 많이 나오는 추세입니다.

이상 허접답변입니다 ㅠㅠ
1. 현재까지 알고 있는 것으로는 필수는 아닙니다. 즉 Cordova가 javascript로 움직이다 보니.. 서버단에서 오는 데이타는 아무래도 JSON으로 와야 됩니다.

2. Restful인듯, Restful같지않은, Restful 같은...
위의 있는 비디오를 보면 Slim 3에서는 Twig이라는 것을 사용해서 웹사이트도 만들수 있게 하는 것 같습니다. (Twig-View는 아직 보지는 못했습니다.)

3. 아무래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지 않을까요?

Drupal에서 지원한다고 합니다.  Drupal처럼 그누보드에서 직접 지원을 안한다고 하면,  당연 Slim, Lumen 아니면 Laravel 같은 것을 사용해야 되겠죠..

https://www.drupal.org/documentation/modules/rest

아니면 이전에 벤지님이 하신다고 하는 방법으로..

PHP=MySQL <=> node.js = apps로 가는방법도 있습니다.
제가 restful 의 의미를 잘 못 알고 있는 건지, 일단,

위키에서는 아래 댓글과 같이 나옵니다.


핵심은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전반" 을 일컫는 말인것 같은데......

아무튼, restful 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가 이해 할 필요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프레임웤크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냐고 물어본것은,

그누보드을 프레임웤크를 사용하여 수정해서 사용하면,

그게 그누보드인가 하는 문제와

업데이트 반영시의 유지보수의 어려운 부분들 때문에

굳이 그런 선택을 해야 할까에 대한 의문때문이었습니다.


restful 이 제가 이해한것과 같이 주소 전반에 대한 규칙이라면,

굳이 프레임웤크를 쓰지 않고서도 어느정도 수정만 되면 가능할것 같아 보입니다.


지금의 그누보드 주소 체계는 완벽한 restful 의 형태는 아니겠지만,

어느정도 틀은 갖추어져 잇고, 저기에 데이타타입에 대한 정의나 포스트 전송시

좀더 restful 형태에 맞는 주소체계로 바꾸어 주면 되겠다 싶었습니다.
그누보드와는 다르게 봐야 될것 같습니다..    이 소모임이 잘 될려면 한개의 글과 3명의 댓글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각자의 글로 조금씩 토의가 되었으면 합니다.

새글하나 투척해주세요.
"이 소모임이 잘 될려면 한개의 글과 3명의 댓글이 필요합니다.  "

이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하겟습니다.

하루 한개의 글과 댓글 세개가 없으면,

소모임이 없어진다는 건가요?

일단, 글은 하나 적었습니다. ^^
리자님의 소모임 정책이 해가 뜰려면 1포인트가  필요한데. 1포인트가 15점이상이면 14-1이면 0, 글이 없으면 -1점입니다.

즉 처음 시작하면 10에서 시작하고,  15점이 넘을 려면 글 하나가 5점 댓글 하나가 1점입니다.  한 사람이 도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사람은 글하나, 댓글하나만 즉 최대 6점..

그래서 글이 3개의 글만 있으면 15점이 되는데..  보통 방문자가 적은 소모임은  보통 2사람정도가 자주 들어 오다 보니..

12점 기본에 댓글만 적어 주는 몇분이 있으면 계속 해가 뜨는 것이고..  그렇지 않은 곳은 흐림 또는 비로 표시되면.. 점점 밑으로 처지게 되다가 0점이 되면 화면에 안보이게(?) 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앱개발 소모임은 유창화님 글(4번)까지 하면 네개의 글이나 2사람의 글이고,  댓글도 전체를 보면, 유창화님, Jakekwak, Rido님, 아파치님
이렇게 하면 14점이 되어서 내일 해가 안뜨고 그냥 흐림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저는 이제 자러 가야 되는데.. 내일 해뜰 수 있게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서 많은 토의가 되고,  좋은 결과를 위해서 노력이 되었으면 합니다.
Restful

https://ko.wikipedia.org/wiki/REST

"엄격한 의미로 REST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란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전반을 일컫는다. "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전반"
헉스......저는 유창화님보다 못한 초보구요, 다 아시는 내용이실꺼예요....ㅋ


부족한 제가 아는 선에서 직관적으로 적을께요.

-------------------------------------------------

1) cordova 에서 RestFul 은 필수인가?

먼저 RestFul 도 여러 형태로 보는 관점이 있어서 정의부터 하면

http://blog.remotty.com/blog/2014/01/28/lets-study-rest/

의 중간쯤에 "컬렉션과 도큐먼트" 쪽으로 의견을 제시하신것으로 이해를 해서요
그누는 "컬렉션과 도큐먼트" 형태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구요 ( 문제가 있다라는건 아닙니다 )
"컬렉션과 도큐먼트" 로 URL 부분이 구성되는 Codeigniter 을 보면 개발시 문제는 전혀 않되지만
개발자에게 범용성을 제한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단, POST 와 Get 으로 날리면 되지만
느낌만 그렇게 들었어요...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할때는 직관적이다" 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다른 여타 엔진을 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긴 URL 보다는 좋은것 같구요.

결론) 브라우져용 사이트에서는 필수는 아닌것으로 생각하고 있구요.

        CoreDova 도 필수는 아니고, 서버의 URL 방식에 의존적이더라구요. 
        전체 구현 방식이 json 이나 XML 로 값을 주고 받기 때문에
        그누보드안에 구현 방식을 바꾸는 작업을 했구요, 그누와 독립적으로 파일을 생성해서
        CoreDova 에서 해당 URL 에 요청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니
        그누나 영카트 업그레이드시에 문제가 없었어요.

-------------------------------------------------

2) Slim과 Lum

제가 어떤 FrameWork 의 성능과 효율성 등등에 대해 가장 신뢰하는 부분이
개발했던 경험자분들의 후기을 가장 의존하고 있는데요...
확실한 기억은 아니지만, 지금 기억으로는 몇개월전에 어느분께서
Slim으로 개발 했는데, 작업을 하다보니 속도가 처음보다 확실이 느려졌다라고 하시던가?
그랬어요...너무 핵심만 있다보니, 확자알때 Lib 들이 많이 들어가고 복잡해져서그런건지
현재는 추측한 하고 있습니다.

외국에 눈팅하다보면 많은 개발자님들이 사용하고 계셔서
FrameWork 중 속도와 초중급형은 사용해서 구축해도 무관할것 같은데요
아시다싶이 FrameWork 을 사용해서 개발하다 보면 1~2 초 차이지만 점점 느려지는 느낌을 받아
캐쉬부터 View 엔진을 사용하게 되는데, 다른 함정이 발생 하더라구요.

같이 일하는 팀원이 기준 Framework 에 다른 Framework( 예로 view ) 을 같이 사용하게 되면
너무 어려워하고 작업량이 많아져서 힘들어해서요....예를들어 view 단을 _template 나 다른 여타
view 엔진을 사용하면 너무 힘들어서 포기할까봐 걱정이 많이 되더라구요.
맴버 충원수만 많으면 하나의 사이트을 구축할때
여러 FrameWork 을 사용해서 MVC 로 확실히 업무 분장 시키면 좋은데
아시다 싶이 한국은 맴버수을 너무 국한적으로 제한하다보니....

-------------------------------------------------

3) Coredova 을 공부 삼아 1번 해본건데 제가 공부한 영역에서는 2가지 방식으로 나뉘더라구요
    순수 웹뷰로 개발하는 방법과 모든 html + css + js + image 을 다 포함해서 앱속에 넣고
    값들만 Json 과 XML 로 주고 받은 방식
    저는 후자쪽( html + css + image 을 다 포함해서 앱속에 넣고 ) 을  치중해서 해봤는데
    용량은 좀 되더라구요...ㅠㅠ...그래서 좀더 용량을 줄이기 위해 CSS3 와 fontawesome 으로
    UI 을 구현해보니 확실하게 용량 차이가 있었습니다....용량이 큰 문제는 않 되겠지만
    앱에서 사용하는 메모리량에 차이가 난다라는 고정 관념이 있어서요
  ( Dos 시절에 너무 디여서.. ㅋ )
  그런데, 진행하다보니 UI 와 script 쪽으로 다른 엔진이 2014 년에 미국에서 대세을
  이뤘더라구요.....AngularJS....좀 파봤는데, 작은 용량에 어마어마한 기능에 놀랬어요.
  앞으로 대세가 이쪽으로 흐르지 않을까 관망중이예요..

-------------------------------------------------

그리고, 여담이지만

회사 자체 서비스이고, 앱과 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사이트라면
현 상황에서 저는  아래와 같이 방향을 정했어요.

데스크탑과 모바일 홈피 <---> (공중망 )<---> 팔콘  <--->  DB
앱 ( 하이브리드 )<---> (공중망 )<---> NodeJs  <--->  DB ( 위의 DB 와 같이 사용 )

무엇이든 개발할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부분이  Connect 시에 속도와
broken 이거든요..그래서, 동접이 많으면 서버가 아무리 빵빵해도
뻣어 버리니 위 처럼하면 서버 분할 할때도 용이하고, 영역 분할도 될것 같고
DB 는 분산화 시키면 될것 같아서요.
그누나 영카로 큰 사이트을 만들때도 이렇게 적용하면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Codedova 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XE8 도 한번 보시겠어요.
XE8 에서 앱쪽으로 개발해 본적은 없지만, 거의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것 같은데,
어떻게 판세가 바꿜지 몰라서 계속 관망중이예요.

https://www.youtube.com/watch?v=XhOwP8sdCA4

FrameWork 쪽은 기회가 된다면 팔콘을 공부해서 구축 하려구요.
2014 년인가? 2015 년의 framework 사용 순위 1위가 팔콘으로 바뀐것 같아서
설치해보고 조금 공부해 봤는데, 속도에 입이 쩌억 벌어졌어요.
단점이 OS 환경에 너무 국한적이라는게 치명적이고
어느분의 말로는Codeigniter 와  같이 많은 라이브러리가 내장 된게 아니라서
개발할때 좀 힘들지만 계속 UpGrade ( 기능 계속 추가 ) 중이라 기대하고 있거든요.


글 작성하면서 생각나는대로 마구 적었구요 두서 없는 글이라 죄송합니다.
잘못 된 부분이 있다면 지적 부탁 드릴께요.
않되는 머리로 공부하려니 공부할께 너무 태산이라 모르는게 너무 많아요..^-^
다른 고수님들 보시면 돌 던지실것 같아서.....왕창피 합니다........ㅜㅜ
성실하고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

너무 겸손하신거 같아요.

언급하신 내용중에 제가 모르는 부분이 태반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녀요...
저 모르는게 너무 태반이예요...ㅠ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ㅡㅡ)(__)


하나 빠져서 ......

-----------------------------------------------

[ 홈페이지 ]
데스크탑과 모바일 홈피 <---> (공중망 )<---> 팔콘  <--->  DB
앱 ( 하이브리드 )<---> (공중망 )<---> NodeJs  <--->  DB ( 위의 DB 와 같이 사용 )

[ 사내업무 처리용 ]
데스크탑 원도우 응용 (메모리테이블) <---> (공중망 )<---> **  <--->  DB ( 위의 DB 와 같이 사용 )

-----------------------------------------------

데스크탑 원도우 응용쪽이 슬슬 떠오르고 있더라구요.
빅 데이타에 대한 업무 처리와 인쇄( 예.. DM 발송 ),
하드웨어 제어쪽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에잇 PHP 하나 공부하는 것도 버거워 죽겠는데 ㅡㅡ/

ㅡㅡ. ㅡㅡ.ㅡㅡ. 눈이 안 보인다.

써도 되나? 눈치도 보이고, ㅡㅡ

...............................

잠시 거목들께서 나누시는 좌담을 보게되었습니다.

(지금만 두분께 선생님이란 존칭을 쓰겠습니다)

유창화선생님은 PHP계의 대부 (제 생각)
벤지선선생님 남겨 주신 글 읽으면서

이것을 모두 혼자 지니고 계셨어요?
힘드셨습니다.
한 개인이 저장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데..
다뤄보지 않고는 표현할 수 없는 표현들을 접하니 가치있습니다!

왕창피 무릅쓰고.. 고맙습니다.
저는 다 똑같다고 봅니다.

다 잘 하는 사람 없고
또 한개도 못하는 사람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잘하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고
아는 것은 자신있게 안다 하면 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고
알려달라고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속된말로 쪽팔린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런 면에서 solsu1 님은 충분히 훌륭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묵직함이 있어, 끼어야 할 자리는 아닌데 싶어
인사는 따로 드리고자 드린 댓글을 자폭하려고 왔습니다.
그런데 두 분께서 이렇게 말씀 주시니

"                      "

무슨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두 분 선생님 고맙습니다!
아녀요.
자신이 좋아하면서 관심있는 언어와 분야가 다 틀려서 ...
저도 그누와 학교, 다른 사이트들에서 많이 배우고 있어요.

그런데, 사는데는 도움이 거의 않되더라구요....ㅠ_ㅠ

초보인 저을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ㅡㅡ)(__)
RestFul 을 왜 얘기 하셨는지 이제 알았습니다.

외국에서 SOAP 보다 RestFul 을 더 선호한다라는 글을 방금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누을 RestFul 로 구축하는건 어떻게든 되겠지만,
그누 엔진 자체을 억지로  RestFul 에 맞추는것 보다
기본 구조을 따라가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어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누보드 자체적으로 지원해야 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걸릴것 같아서..

실력은 없지만,  개발 방향은
1. 그누보드는 건들지 않는다.. 즉 데이타베이스만 사용한다.
2. SlimFramework을 사용해서 JSON 출력해준다.
3. 무조건 출력이 아닌 인증을 통해서 한다.
4. 앱의 UI는 ionic으로 한다.
5. 앱에는 필요한 기능만 구현한다.

이렇게 정하고..
1차는 게시판에 읽고, 쓰고, 커멘트 쓰고..
2차는 쇼핑몰을 구현하고..
3차는 카카오 페이 같은 것을 붙여서, 바로 구매가 가능하게.. (애플페이, 삼성페이)

ㅎㅎ..

꿈은 거창하게..  그누보드 스킨 처음 만들어 올린것도, 그누보드 알고(PHP시작) 3년 반만에 올렸으니..  위의 것 언제 나올지는...
전체 758 |RSS
앱개발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