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을 공부 해보면서 느낀건데 왜 반응형으로 하느냐 ?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반응형을 공부 해보면서 느낀건데 왜 반응형으로 하느냐 ? 정보

반응형을 공부 해보면서 느낀건데 왜 반응형으로 하느냐 ?

본문

반응형을 공부 하면서 문득 드는 생각이 왜 반응형으로 할까 ? 라는 생각이 문득 드는군요 

반응형 말 그대로 모든 기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하는 것일텐데 

사실상 반응형에서 웹을 만드는 것의 한계를 느낀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만약 pc메뉴와 모바일 메뉴가 단단한 텍스트 위주일 경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모바일과 pc에 대응하기 위해서 

두가지를 고려해서 전체 메뉴를 구성해야 한다등 많은 제약이 있다는걸 깨달았네요 

그렇다고 메뉴를 모바일용과 pc용 두개의 상단을 만들어서 코딩해 놓고 특정 해상도 까지는 미디어쿼리로 pc메뉴를 display:block; 모바일 메뉴를 display:none;​ 를 해놓으면 쉬운데 이게 과연 반응형일까 ? 웹표준에도 안맞을텐데라는 

생각이 들고 그렇다고 메뉴 하나로 통일 하자니 쇼핑이나 복잡한 카테 고리 같은 경우 구성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라는 

결론을 얻게 되네요 

 

그렇다면 왜 우리가 반응형으로 만들어야 하느냐 ? 라는 질문을 할 수 밖에 없는데 결론은 모든 기기에 대응인데 

어자피 pc버젼으로 특정 이상 해당도 즉 모바일 기기 기준 800px이 max라고 가정 한다면 800px 이상부터 pc로 보고 

로고가 왼쪽으로 붙고 메뉴가 오른쪽으로 붙게 그리고 컨덴츠를 100프로 하면 반응형이 되고 

800px 이하 모바일일 경우 그에 맞게 모든 메뉴를 100%가로로 코딩을 해놓으면 되는게 굳이 까다로운 코딩과 함께 그 모든 틀에 모바일 메뉴와 pc메뉴의 공통성과 통일을 하면서 까지 전체를 반응형으로 제작 해야 하는가 ?

어자피 반응형으로 제작 한다고 해도 800px 이하의 기기에서 800px 이상에 화면을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모바일로 제작을 한다고 할 지언정 모든 사람들이 100px마다 끊어서 기기에 대응을 하는것도 아닌데 ? 라는 생각이 문뜩 드네유 

 

둘다 어자피 기기에 대응을 하는데 문제는 사용자가 아닌 만드는 사람이 이 모든 제약의 틀 안에서 모바일 300~1920까리 메뉴 하나를 가지고 pc와 모바일에 테블렛 까지 전부 대응해 가면서 만들어야 하는냐 간단한 회사 소개 같은 사이트에는 몰라도 복잡한 정보를 다루는 쇼핑이나 이런 곳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반응형이라고 해서 모두 따라갈 필요가 없다라는 결론을 얻게 됩니다. 

 

실제 네이버나 다음같은 경우에도 지금도 신규 오픈 되는 사이트의 경우에도 모바일과 pc 둘다 제작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반응형으로 사이트를 만들어 보다가 굳이 ? 왜 ? 라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남겨 봅니다. 

 

이러한 제약과 모든 복잡한 구성을 고려해서 반응형으로 만드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요즘 글을 보면 반응형이 대세 대세 하는데 노력대비 과연 이게 주는 효과가 무엇인가 ? 라는 생각이 드는 저녁이네요

 

추천
0
  • 복사

댓글 6개

그러게요. 저도 궁금하네요. 조립부품을 가져다 개성없는 제품을 만드는데 너무 힘을 빼는건 아닌가.. 뭐~ 그런 생각.
'그누보드4'도 제대로 모르면서 '그누보드5'로 넘어온 초보입니다.
아는 것이 적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스타일을 꾸미는 것이 반응형이 좀더 쉽지않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전화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도 Mobile판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익숙하지 않거나 불편한 점도 있고, PC판에 비해 기능이 한정적이거나 부족한 경우도 많더군요.
어느 회원님에게서 받은 부트스트랩을 결합한 빌더(?)를 하나 시험 삼아 설치해보았는데...
Mobile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화기에서 반응형이 구현되니 더 낫다 싶더군요.
인터넷을 하실때도 모바일판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국내 웹사이트 대부분은 웹사이트 접속시 기기를 감지
즉 에이전트를 감지해서 모바일판으로 자동으로 넘겨 주죠 근데 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익숙하지 않으셔서 불편하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하셨는데 pc버젼을 스마트폰으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작은 폰트와 무리수가 따릅니다.
데이터 패킷도 문제이기도 하지만요
또 반응형의 경우 내가 pc버젼으로 보고 싶다고 해서 볼 수 있는게 아니죠 즉 어자피 모바일에 맞춰서 꾸며 놓은 모바일 판을 보시는거랑 다름이 없다는 이야기죠
예로 모바일이 맞춰서 모든 스타일 시트를 미디어쿼리로 컨트롤 하여 모바일에 최적화 해서 보여주는데 이게 과연 익숙하지 않는거랑 아무련 관련이 없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일반 웹사이트야 pc버젼과 모바일 자기가 원하면 pc버젼으로 볼 수 있지만 미디어쿼리를 사용한 반응형은 사이트 운영자가 컨트롤 해서 모바일 반응과 pc버젼으로 볼 수 있는 미디어쿼리나 코드를 구현해 놓지 않는 이상 어자피 모바일에 최적화된 사이트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기기에 따른 모바일이라고 하면 네이버 모바일 처럼 모바일에서 데이터패킷에 따른 반응형을 구현해도 충분한데 굳이 사이트 통을 통째로 반응형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나 ? 흔히들 반응형으로 제작시 모든 메뉴를 반응형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배로 들어 간다고 하죠 이게 과연 무슨 효과가 있는 것이냐? 라는게 궁금할 뿐입니다.
단 한가지 이유겠죠.
홈페이지를 가장 잘 효과적으로 해당기기들에게 어필(접근/구현)하여 홈페이지에 있는 정보의가치를 높이는게 목적이죠.
 그것 땜에 웹표준이 있으면서도 크로스브라우징에 목메는거고 또 크로스브라우징의 범위를 넘어 반응형으로 까지 확장하며 웹퍼블리셔나 웹디들의 머리를 쥐어뜯게 하는거죠.
홈페이지를 가장 잘 효과적으로 해당 기기들에게 어필 접근을 구현 한다고 하면 지금도 모바일과 웹 사이트에서 잘 구현 되어 있지 않나요 ?
즉 네이버 같은 경우 아이패드 부터는 pc버젼을 기본으로 보여 주는 것으로 알고 있고 자기가 모바일을 선택 하면 기기 해상도에 따른 모바일 최적화 기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위에 의문을 가지는 것은 하나의 통으로 모든 사이트를 하나의 미디어 쿼리로 전부 복잡하게 컨트롤 할라고 할까 ?
시간과 노력이 배가 든다고 하든데 이게 왜 대세라고 하는 것이며 과연 그에 따른 효율이 무엇인가 ?
지금도 모든 웹사이트는 모바일과 웹버젼 효율에 따라 사이트가 전부 구현 되고 이미 대형 사이트들은 아이패드와 스마트폰에 따라 모바일이 구현 되고 있음에도 굳이 웹사이트 하나를 왜 통째로 복잡하게 컨트롤 하는 것인가? 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더라구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