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이인(里仁)편 16장. 군자유어의(君子喩於義)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논어(論語) 이인(里仁)편 16장. 군자유어의(君子喩於義) 정보

논어(論語) 이인(里仁)편 16장. 군자유어의(君子喩於義)

본문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 喩於利

 

 

공자께서 말했다[子曰].

“군자는 의()를 밝히고[君子喩於義], 소인은 이()를 밝힌다[小人喩於利]”

 

 

* 공자는 자주 군자와 소인을 구분해서 말해준다. 이인편 11장, 위정편 14장, 자로편 23장 등이다.

  팔일편 7장에서 밝힌 군자무소쟁(君子無所爭)의 까닭을 더욱 분명히 밝히고 있다. 큰 사람[君子]은

  의()을 탐하므로 욕()을 버릴 수 잇지만, 소인은 이()을 탐하므로 욕을 버릴 수 없다.

[출처] 논어(論語) 이인(里仁)편 16장. 군자유어의(君子喩於義)

 

--------------------------------------------------------------

 

                                                                            - 소인 펌 -

 

추천
0

댓글 22개

The Duke of She asked Zi Lu about Confucius, and Zi Lu did not answer him. The Master said, "Why did you not say to him, 'He is simply a man, who in his eager pursuit of knowledge forgets his food, who in the joy of its attainment forgets his sorrows, and who does not perceive that old age is coming on?'"

 

The Master said, "I am not one who was born in the possession of knowledge; I am one who is fond of antiquity, and earnest in seeking it there."

 

The subjects on which the Master did not talk, were: extraordinary things, feats of strength, disorder, and spiritual beings.
이 사람이.
진지하게 쓰면 진지하게 답을 해야지.
아직 숙취가 있나 보군요.

이를 취한다는 것은 자본주의 아니오.
자본주의에서 이는 바로 궁극적인 목표아니요.
전체 199,681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