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해보니 이미지 캐시서버 구축을 도커로 만들면 쉽겠네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생각해보니 이미지 캐시서버 구축을 도커로 만들면 쉽겠네요. 정보

생각해보니 이미지 캐시서버 구축을 도커로 만들면 쉽겠네요.

본문

어짜피 기본 캐시 기능만 있으면 가능하니...

 

Nginx 또는 아파치, DB는 필요없고, PHP만 설치해주면 끝이네요.

 

https://blog.lael.be/post/7605

 

위 링크에 있는 설명대로 

 

https://github.com/laelbe/my-image-cdn

 

위 소스가 들어가도록 잡아주면 되겠네요 ㅎㅎ

 

 

한번 작업해서 스크립트로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본 서버는... 되도록이면 Nginx가 좋을 것 같습니다.

 

핵심은 원본 서버의 이미지 URL을 CDN 도메인으로 바꿔주는 것이거든요.

 

 

워프나 라이믹스의 경우는 해당 플러그인이나 애드온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그누보드는 아쉽게도 그런게 없으니... Nginx의 sub 명령어를 이용하면 됩니다.

 

아파치는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니.. 원본 서버는 되도록이면 Nginx로 ㅎㅎ

 

아파치는

 

https://httpd.apache.org/docs/2.4/mod/mod_substitute.html

 

위 모듈이 있네요. 이걸 어떻게 하면 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ㅎ

 

 

 

아무튼 작업해서 팁 게시판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천
2
  • 복사

베스트댓글

댓글 12개

thumbor같은 경우를 보면,  이것 일아서 컨버전도 하고 캐싱도 합니다.

앞단에 Varnish 같은 것을 두어서 코드 변경없이 자기가 알아서 동작되면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그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다만 사용법을 제가 몰라서... 특히 Varnish는 어렵더라구요...

일단 Nginx로 완성해보려고 합니다.
캐디 완전 좋죠. 이미 그누보드에서 짧은주소 적용까지 해봤는데요.

https://www.wsgvet.com/web/237

뭔가 2% 부족한 느낌이 들어서 ㅠㅠ

그리고 제 실력 부족으로 100% 활용을 못하고 있어요. ㅎㅎ

캐디가 조금만 더 발전하면 충분히 범용으로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헐.. 빠르시단 ㄷㄷㄷㄷㄷ
대충 살펴봤는데 반정도만 이해되고 반은 딴나라 이야기네요 ㅎㅎ ㅠ
천천히 따라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