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덴셜 스터핑 해킹에 대하여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크리덴셜 스터핑 해킹에 대하여 정보

크리덴셜 스터핑 해킹에 대하여

본문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이란 공격자가 사용자의 계정, 비밀번호, 기타 여러 가지 암호화된 개인 정보(Credential)를 여러 방식으로 획득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만한 시스템 및 사이트에 방문 후 무작위로 대입(Stuffing)하는 공격 방식을 말합니다.

**다크웹에서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 구입할수 있다고 함

 

사례

GS리테일,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받아 고객 9만명 개인정보 유출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5478)

이번 해킹 공격 방식은 ‘크리덴셜 스터핑’”이라며 “여러 경로를 통해 수집한 계정정보와 비밀번호를 특정 사이트에 접속해 무작위로 대입, 로그인 후 개인정보를 훔치는 수법”

 

과징금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2161400439680101582)

3731943363_1742253685.1158.png

 

그누보드에서 크리덴셜 스터핑에 관련하여 비밀번호 90일 이후 비밀번호 변경기능 추가해야 하는게 아닐까요???

 

법이 어처구니 없으니 그누보드도 개선을 해야 할듯 싶습니다

추천
2

댓글 2개

아 저는 스푸핑(spoofing)이라는 단어와 착각해서 댓글 달았다 지웠네요... 
-------------
재민이(gemini)에게 물어보니,

=====

보안에 spoofing이란 단어랑 비슷한거야?

네, "Spoofing"은 보안 분야에서 "Credential Stuffing"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공격자가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을 사칭하여 속이는 행위라는 점에서 일정 부분 유사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Spoofing (스푸핑) 이란?

Spoofing은 신뢰할 수 있는 주체로 위장하여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을 속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하는 공격 기법을 포괄적으로 의미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스푸핑 공격이 존재하며, 각각 목표와 방식이 다릅니다.

주요 스푸핑 공격 종류:

  • IP 주소 스푸핑 (IP Address Spoofing): 공격자가 자신의 IP 주소를 숨기고 다른 신뢰할 수 있는 IP 주소로 위장하여 공격 대상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익명성을 확보하는 행위입니다. DDoS 공격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MAC 주소 스푸핑 (MAC Address Spoofin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고유 식별자인 MAC 주소를 다른 주소로 위장하여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우회하거나 특정 장비로 위장하는 행위입니다.
  • 이메일 스푸핑 (Email Spoofing): 발신자 주소를 위조하여 마치 다른 사람이 보낸 것처럼 위장한 이메일을 보내는 행위입니다. 피싱 공격 등에 활용됩니다.
  • DNS 스푸핑 (DNS Spoofing): DNS 서버의 응답을 변조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IP 주소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행위입니다.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ARP 스푸핑 (ARP Spoofing): LAN 환경에서 ARP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자의 MAC 주소를 특정 IP 주소와 연결시켜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로채는 행위입니다. 중간자 공격에 활용됩니다.
  • 웹사이트 스푸핑 (Website Spoofing): 진짜 웹사이트와 매우 유사하게 만들어진 가짜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를 탈취하는 행위입니다. 피싱 공격의 일환으로 사용됩니다.

Credential Stuffing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

  • 유사점:

    • 기만 행위: 둘 다 공격자가 정상적인 사용자인 척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주체인 척하여 목표를 달성하려는 기만적인 행위를 포함합니다.
    • 악의적인 목적: 정보 탈취, 금전적 이득, 서비스 방해 등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수행됩니다.
  • 차이점:

    • 공격 대상:
      • Credential Stuffing: 개별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탈취하여 여러 서비스에 무단 접근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Spoofing: 더 넓은 범위의 대상을 공격하며, 사용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장비, 서버, 이메일 시스템 등을 속이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 공격 방식:
      • Credential Stuffing: 이미 유출된 계정 정보를 재활용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 Spoofing: IP 주소, MAC 주소, 이메일 주소 등 다양한 식별 정보를 위조하여 신뢰를 얻거나 시스템을 속이는 방식입니다.

결론적으로, Credential Stuffing은 유출된 계정 정보를 '사칭'하여 로그인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Spoofing' 개념에 포함될 수 있지만, 공격의 대상과 방식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Spoofing은 더 포괄적인 개념이며, Credential Stuffing은 특정 유형의 공격 수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혹시 특정 스푸핑 공격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전체 199,673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