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AI로만 만든 홈페이지 입니다. 정보
순수 AI로만 만든 홈페이지 입니다.
본문
코딩한줄 안하고 readdy.ai 홈페이지에 유료로 회원가입하고
스크립트만 가지고 홈페이지를 제작 하였습니다.
제가 생각지 못한 부분에 대한 기획까지 해주네요 ㅎㅎ
백엔드는 없습니다.
이제는 진짜 AI로 홈페이지 만드는 수준까지 올라는 갔는데
딱 두가지 부족한 점은
한가지, 백엔드 연동하는 부분인에 이 부분만 자동으로 된다면 딱 일것 같습니다 ㅎㅎ
두가지, 헤더와 푸터 연동 (수정할때마다 헤더 푸터를 모든 페이지에 다 수정해야 함...)
요것만 해결되면 딱일것 같네요
7
관련링크
베스트댓글

@똥싼너구리 https://databutton.com/ 이 업체의 빌더가 백엔드까지 연동 되는 형태입니다. 무료 버전 크레딧이 너무 짜서, 테스트를 충분히 못해봤네요.
mcp 도 있고, claude code, gemini code 같이 백엔드 쪽 전문으로 처리해주는 agent 들도 기능이 고도화되면, 홈페이지는 뚝딱일거 같네요.
만들어주는 스타일이 비슷하게 나오는데, 이건 figma 링크나 웹사이트 링크에서 스타일 복제를 해달라고 하면 될것 같네요.(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나, 당근 스타일의 홈페이지나 인공지능 기준에선 같은 업무가 아닐까 합니다.)

@하늘뚱 그누보드와 같은 설치형 솔루션은 적용하긴 힘들테고 클라우드 형태의 서비스로 적용해야죠^^
프론트와 연동 하려면 토큰 기반의 인증 시스템을 가진 클라우드 솔루션이 있으면 딱일것 같습니다.

readdy.ai 유료로 가입하면 한달에 5000 크래딧을 주는데 저 홈피 만드는데 2000정도 들었네요
한달에 한두번 홈페이지 공지사항 업데이트 하고
수정되면 컨텐츠 업데이트 하면 크래딧이 좀 들테고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면 5천 크래딧이면
홈페이지 2~3개 정도 유지보수 할 정도는 되는것 같습니다.
연간 결제하면 한달에 16달러 정도 되니 가격대비 괜찮은듯?
하기도 합니다.
댓글 15개

헐...
다 주거쓰~~
ㅠㅠ

@해피아이 무시무시하죠 ㅠㅠ

아아아... 새 삶을 찾아야~~ ㅋㅋ

@아이스웨덴™
이제는 기존 개발 회사가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극히 일부 분야만 적용되는 것이고
일반적인 개발 분야는 아직 대체하기 불가능 할겁니다.^^

어마어마하네요~
백엔드는 아직 개발자의 영역인가요?

@리자 이제 백엔드는 AI 와 연동되는 클라우드 시스템이 생기지 않을까요?
단순 기본 홈페이지의 경우는 백엔드는 단순하기 때문에 프론트는 AI로 만들고 백엔드가 필요한 부분 연동 소스는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하면 쉽게 가능할것 같습니다.

@똥싼너구리 https://databutton.com/ 이 업체의 빌더가 백엔드까지 연동 되는 형태입니다. 무료 버전 크레딧이 너무 짜서, 테스트를 충분히 못해봤네요.
mcp 도 있고, claude code, gemini code 같이 백엔드 쪽 전문으로 처리해주는 agent 들도 기능이 고도화되면, 홈페이지는 뚝딱일거 같네요.
만들어주는 스타일이 비슷하게 나오는데, 이건 figma 링크나 웹사이트 링크에서 스타일 복제를 해달라고 하면 될것 같네요.(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나, 당근 스타일의 홈페이지나 인공지능 기준에선 같은 업무가 아닐까 합니다.)

@솔그루 이제 이런류의 툴들이 어마어마하게 쏟아져 나오겠죠? ㅎㅎ
figma AI는 써보니 결과물이 별로였던것 같고
첨부주신 사이트는 진짜 크래딧이 많이 짜 보이긴 하네요
휴먼 서포트 레벨로 가면 700달러네요 ㅋㅋ
막 만들어 보기에는 겁나는 가격이긴 합니다 ㅋㅋ

백엔드 그누보드로 만드시면 되겠는데요. 프론단에 자주 바뀌는 텍스트 부분을
테이블명으로 각각 만들어서 최신 순으로 불러와서 뿌리는 방식으로 하시면 가능하겠습니다.

@하늘뚱 그누보드와 같은 설치형 솔루션은 적용하긴 힘들테고 클라우드 형태의 서비스로 적용해야죠^^
프론트와 연동 하려면 토큰 기반의 인증 시스템을 가진 클라우드 솔루션이 있으면 딱일것 같습니다.

readdy.ai 유료로 가입하면 한달에 5000 크래딧을 주는데 저 홈피 만드는데 2000정도 들었네요
한달에 한두번 홈페이지 공지사항 업데이트 하고
수정되면 컨텐츠 업데이트 하면 크래딧이 좀 들테고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면 5천 크래딧이면
홈페이지 2~3개 정도 유지보수 할 정도는 되는것 같습니다.
연간 결제하면 한달에 16달러 정도 되니 가격대비 괜찮은듯?
하기도 합니다.

@똥싼너구리 님 저도 유료 가입해서 쓰고 있는데요.
커서와 비교해서 프론트 퀄러티가 궁금해요.
저는 커서를 사용안해봐서요.

@수평선1203 커서는 퍼블리싱에 사용하지 않아서 아직은 비교를 하지 못했네요
시간 나면 한번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오! 소개용으로 뚝딱 내놓기 딱 좋으네요

@쪼각조각 지금은 랜딩 페이지용으로 하면 딱 맞을것 같아요
한페이지 정도만 하면 쉽고 빠르게 뚝딱 만들어질것 같아요
지금처럼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골치아파져서
AI 효율이 점점 떨어지는것 같아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