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홈페이지서버 전기세 줄이기 정보
개인 홈페이지서버 전기세 줄이기
본문
개인용 나스를 이용 하라더군요^^
아래는 나스의 금액 나열입니다. 개인적으로
새로텍 U-Stor NDS-354 네트워크 스토리지
이게 제일 좋은듯 가격도 싸고^^
http://ezguide.co.kr/shop/cate_s.html?cid=1683
근데 나스는 어떻게 쓰는거죠?
아래는 나스의 금액 나열입니다. 개인적으로
새로텍 U-Stor NDS-354 네트워크 스토리지
이게 제일 좋은듯 가격도 싸고^^
http://ezguide.co.kr/shop/cate_s.html?cid=1683
근데 나스는 어떻게 쓰는거죠?
추천
0
0
댓글 21개
일반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드는 것 처럼--; 이 작은 기기로 서버를 운영 가능한가요?
가능 하다면--; 연결은 어케 하는 건지;;
가능 하다면--; 연결은 어케 하는 건지;;
외장하드네요--;;

외장 하드와 서버 기능이 통합 되어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서버기능 포함되 잇어봣자. 일반 컴퓨터로 서버를 만들면 되지 않나요?
보아하니. 저것의 기능이 일반 os(윈도나 맥킨이 깔린 컴퓨터) 에 서로 연결해야만 동작 되는것 같은데...
용량 증설외엔 별 필요없는 물건이네요. 서버 용도로 쓸경우만.
외장하드로 쓰면 좋은데..
보아하니. 저것의 기능이 일반 os(윈도나 맥킨이 깔린 컴퓨터) 에 서로 연결해야만 동작 되는것 같은데...
용량 증설외엔 별 필요없는 물건이네요. 서버 용도로 쓸경우만.
외장하드로 쓰면 좋은데..

일반 컴터를 서버로 만들면 전기세가 장난아니게 나옵니다..
위 제말 이해 못하셧네요. 저기 설명보니 컴퓨터에 연결을 시켜야지 동작된다고 하셧는데;
컴퓨터 끈 상태로는 외장하드도 동작 불능이죠.
컴퓨터 끈 상태로는 외장하드도 동작 불능이죠.

한달 돌려보고 부모님께 맞아 죽다 살아남..

컴퓨 터 꺼도 나스는 동작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란 넘에 접속 된데요?
컴터 꺼져 잇어도???
컴터 꺼져 잇어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설명하기가 까다롭네..
모르시군요..

NAS의 동작 원리
NAS는 네트위크에서 독립된 NFS파일 서버 또는 NT파일 서버로 동작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자신의 OS에 따라 UNIX에서는 NFS를 통해, NT에서는 CIFS를 통하여 NAS를 액세스
하게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는 UNIX일 경우 NFS 마운트, NT일 경우 네
트워크 드라이브 매핑을 통하여 NAS를 이용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토리지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NAS의 장점
NAS System이 파일 시스템을 직접 관리 한다는 것을 앞에서 언급한바 있다. 스토리지가 파일
시스템을 안다는 것이 과연 무슨 차이를 만들까? NAS system은 Intelligent하게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령 Application이 어떤 파일 하나를 Open하였다고 하자 NAS는 그 파일의
시작점 부터 끝점까지 알기 때문에 미리 파일을 Disk에서 일어서 Cache를 하여 향후 Application 의 요구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함으로써 이 기종의 서버간에도 파일 단위의 스토리지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서버가 하는 일을 자세히 살
펴보면 서버가 Database를 돌리든 다른 Package를 돌리든 간 Server Resource의 30% 이상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데 투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이것을 완전히 덜 수 있다면 훨씬
뛰어난 Performance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NAS는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하기 때문이다. NAS는 백업/복원에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구성에서
백업은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즉 파일 시스템을 서버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일 단위의
백업/복구를 원한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NAS에서는 파일
시스템이 스토리지에 있기 때문에 파일 단위의 백업/복구를 서버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NAS 는 Networking에서도 유리하며, Open TCP/IP Networking을 사용함으로써 기
존의 사용자들이 새로운 지식의 습득 없이도 쉽게 자신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Storage
Network를 구성할 수 있 으며,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NAS 시스템은 확장성도 우수하며, NAS Storage는 필요한 만큼 Switch 에서 붙여 쓸 수 있다.
물론 대용량을 지원하지만 설사 소용량이라도 네트워크에 붙을 수 있는 수 만큼 확장
NAS는 네트위크에서 독립된 NFS파일 서버 또는 NT파일 서버로 동작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자신의 OS에 따라 UNIX에서는 NFS를 통해, NT에서는 CIFS를 통하여 NAS를 액세스
하게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는 UNIX일 경우 NFS 마운트, NT일 경우 네
트워크 드라이브 매핑을 통하여 NAS를 이용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토리지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NAS의 장점
NAS System이 파일 시스템을 직접 관리 한다는 것을 앞에서 언급한바 있다. 스토리지가 파일
시스템을 안다는 것이 과연 무슨 차이를 만들까? NAS system은 Intelligent하게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가령 Application이 어떤 파일 하나를 Open하였다고 하자 NAS는 그 파일의
시작점 부터 끝점까지 알기 때문에 미리 파일을 Disk에서 일어서 Cache를 하여 향후 Application 의 요구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함으로써 이 기종의 서버간에도 파일 단위의 스토리지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서버가 하는 일을 자세히 살
펴보면 서버가 Database를 돌리든 다른 Package를 돌리든 간 Server Resource의 30% 이상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데 투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이것을 완전히 덜 수 있다면 훨씬
뛰어난 Performance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NAS는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파일 시스템을
스토리지가 관리하기 때문이다. NAS는 백업/복원에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구성에서
백업은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즉 파일 시스템을 서버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일 단위의
백업/복구를 원한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NAS에서는 파일
시스템이 스토리지에 있기 때문에 파일 단위의 백업/복구를 서버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NAS 는 Networking에서도 유리하며, Open TCP/IP Networking을 사용함으로써 기
존의 사용자들이 새로운 지식의 습득 없이도 쉽게 자신의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Storage
Network를 구성할 수 있 으며,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NAS 시스템은 확장성도 우수하며, NAS Storage는 필요한 만큼 Switch 에서 붙여 쓸 수 있다.
물론 대용량을 지원하지만 설사 소용량이라도 네트워크에 붙을 수 있는 수 만큼 확장
퍼 오시느라 수고 하셧습니다.
위 내용 이해 불가
위 내용 이해 불가

역시 펌--;
펌 ㅅㄱ
펌 ㅅㄱ

nas 자체가 또다른 하나에 컴퓨터라고 보시면 되실듯합니다.

이해 못하시겠죠.. 저도 다는 이해못해요.. 수능 준비때문에 잠수..
오늘 이후로 수능 볼때까지 지켜 보겟습니다.
그때까지 접하나 안하나--;
그때까지 접하나 안하나--;

접속은 할걸요.. 글도 쓰고 스킨도 올리고 다만 그럴 시간이 줄어든다느은
흠~~
무슨말인지 잘~~
ㅎ
무슨말인지 잘~~
ㅎ